페이지

2022년 4월 30일 토요일

금지되지 않는 책 unbanned books -뉴욕공공도서관, 미국 전역에 전자책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검열 반대와 도서관의 자유 옹호 활동

금지되지 않는 책 unbanned books

-뉴욕공공도서관, 미국 전역에 전자책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검열 반대와 도서관의 자유 옹호 활동
뉴욕공공도서관의 보도자료, ‘모두를 위한 책: 뉴욕공공도서관은 금지된 책을 읽을 권리를 지지합니다’Books For All: NYPL Supports the Right to Read Banned Books(2022년 4월 13일자, https://han.gl/QkCVy)에 따르면, 뉴욕공공도서관은 최근 미국 전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도서검열에 반대하고, 지적 자유, 도서관의 자유, 독서의 자유를 옹호하기 위해 일정 기간 미국 전역의 독자들에게 전자책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하기로 하였다 합니다.
‘금지되지 않는 책’unbanned books은 13세 이상의 미국인들이 무료 전자책앱인 SimplyE를 통해 모든 iOS 또는 Android 기기에서 검색, 대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책 중에는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등 최근 미국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검열과 논란의 대상이 된 도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미국도서관협회ALA는 도서 검열에 반대하기 위한 캠페인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뉴욕공공도서관의 ‘모두를 위한 책’도 이런한 캠페인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하겠습니다.(참고 https://han.gl/GFJKk #FReadom #UniteAgainstBookBans

2022년 4월 28일 목요일

2021-2027년 중국 공공도서관 산업 시장 발전 잠재력 및 전망 전략 분석 보고서 목차

2021-2027년 중국 공공도서관 산업 시장 발전 잠재력 및 전망 전략 분석 보고서 목차

2021-2027年中国公共图书馆行业市场发展潜力及前景战略分析报告(2021-01-17)

https://www.chyxx.com/research/202101/924027.html

 

 

목차

1: 공공도서관 연구배경

2: 공공도서관의 발전

3: 공공도서관의 디지털화 발전에 대한 분석

4: 무료 개방 공공도서관의 영향 분석

5: 공공도서관의 자원구축 및 활용전략

6: 공공도서관 서비스 항목 분석

7: 공공도서관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제언

8: 참고용 공공도서관 서비스 시스템 구축방식

9: 주요 공공도서관의 운영 분석

10: 공공도서관 발전 전망

 

1장 공공도서관의 연구배경

1.1 공공도서관의 정의, 기능 및 역할

1.1.1 공공도서관의 정의와 성격

1.1.2 공공도서관의 기본 기능

1.1.3 공공도서관의 중요한 역할

(1) 도시 문화 건설에서의 역할

(2) 공공 문화 서비스 시스템 구축에서의 역할

1.2 공공도서관의 발전정책 환경 분석

1.2.1 신세기 이후 공공도서관 정책의 변화

(1) "공공 문화 서비스 시스템 구축"으로 전환

(2) "자유롭고 개방적인"으로 전환

1.2.2 최신 공공도서관 정책의 해석

(1) "공공도서관 서비스 명세"의 해석

(2) "문화부 제14차 문화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의 해석

(3) "국가 현급 공공 문화 시설 건설 계획"의 해석

(4) "공공전자 열람실 건립계획" 시행계획의 해석

1.3 공공도서관 발전을 위한 사회적 환경 분석

1.3.1 문화산업의 현황과 발전

(1) 문화산업 현황

(2) 문화산업 발전 개요

1.3.2 주민 소득 및 문화 소비 분석

(1) 도시 및 농촌 거주자의 소득 분석

 

(2) 주민의 문화소비 분석

(3) 주민들의 독서 습관 조사 및 분석

 

2장 공공도서관의 발전

2.1 공공도서관의 발전 규모

2.1.1 공공도서관 기관 및 직원 규모

2.1.2 공공도서관 장서 규모

2.1.3 공공도서관 시설 규모

2.2 공공도서관의 수입과 지출

2.2.1 공공도서관의 자금조달 수입

2.2.2 공공도서관 기금의 지출

2.3 공공도서관의 주요 업무

2.3.1 공공도서관 대출 상황

2.3.2 공공도서관 강의 구성

2.3.3 공공도서관 전시조직

2.3.4 공공도서관의 교육조직

2.4 지역별 공공도서관 발전 현황

2.4.1 지역별 공공도서관 수 및 장서비교

2.4.2 지역별 공공도서관 시설 비교

2.4.3 지역별 공공도서관의 주요 사업활동 비교

2.5 공공도서관 평가 및 등급 매기기

2.5.1 공공도서관에 대한 평가 및 등급기준

2.5.2 공공도서관의 평가 및 등급화 결과

 

3장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발전 분석

3.1 공공도서관 디지털 구축 가속화의 불가피성

3.1.1 정보 기술 개발이 독자에 미치는 영향

3.1.2 디지털도서관이 전통도서관에 미치는 영향

3.1.3 공공도서관 디지털 구축의 의의

3.2 디지털도서관 구축의 핵심기술 및 아이디어

3.2.1 전자도서관 구축의 핵심기술

(1) 정보수집 및 이식기술

(2) 정보조직기술

(3) 정보검색 기술

(4) 정보보안 기술

3.2.2 디지털도서관의 자원구축 전략

(1) 디지털도서관의 정보자원 구축 전략

(2) 전자도서관의 표준화 및 디지털 저장 전략

(3) 전자도서관의 분류지표 및 검색전략

3.2.3 전자도서관 서비스 구축 분석

 

(1) 전자도서관 서비스 시스템 분석

(2) 전자도서관 서비스의 혁신방향

3.3 공공도서관의 전자독서시스템 구축전략

3.3.1 디지털 독서의 개념과 특징

3.3.2 디지털 독서의 장단점 분석

3.3.3 디지털 판독의 문제

3.3.4 디지털 독서를 처리하기 위해 공공 도서관이 취하는 조치

(1) 디지털 독서지도 강화

(2) 지식 구축의 방식을 바꾸다

(3) 컬렉션의 디지털화 가속화

(4) 모바일 도서관 시스템 구축

3.4 전국 전자도서관 서비스 시스템 구축 계획

3.4.1 기초가 이미 자리 잡고 있음

(1) 전국 도서관 서비스 체계의 예비 구성

(2) 국가 정보 인프라 환경을 점진적으로 개선

(3) 정보와 지식을 획득하는 방법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4) 국내 디지털도서관의 탐색과 실천은 기본적으로 성숙

3.4.2 "145개년 계획"의 내용

(1) 표준화된 하드웨어 플랫폼 구축

(2) 개방형 상호 연결된 소프트웨어 플랫폼 구축

(3) 공유 자원 시스템 구축

(4) 모든 미디어를 포괄하는 서비스 플랫폼 구축

(5) 디지털 자원의 수명 주기에 따른 표준 사양 시스템 구축

(6) 고도로 통합된 비즈니스 관리 플랫폼 구축

 

4장 공공도서관 무료 개방의 영향 분석

4.1 무료 개방 공공도서관의 의의와 도전

4.1.1 공공 도서관의 주요 콘텐츠는 무료이며 개방적입니다.

4.1.2 무료 개방 공공 도서관의 의미

4.1.3 공공도서관의 무료 개방이 직면한 과제

(1) 자금 부족

(2) 업무량 증가

(3) 관리의 어려움 증가

4.2 공공도서관 무료 개방 효과에 대한 조사 및 분석

4.2.1 조사 대상 및 조사 내용

4.2.2 조사 결과 분석

(1) 공공도서관 무료서비스에 대한 인식분석

(2) 무료서비스 시행 후 공공도서관의 변화 분석

(3) 공공도서관 무료서비스 항목 이용빈도 분석

(4) 허용 가능한 과금 서비스 항목 분석

 

(5) 공공도서관의 무료서비스에 존재하는 문제점 분석

(6) 공공도서관의 무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 분석

4.3 공공도서관의 무료 개방 서비스 제안

4.3.1 제도화된 정책 보증 메커니즘 구축

4.3.2 풀뿌리 공공도서관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에 주목

4.3.3 홍보를 통한 대중의 인식 제고

4.3.4 자유롭고 개방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

4.3.5 서비스 콘텐츠 확대 및 서비스 브랜드 육성

 

5장 공공도서관 자원 구축 및 활용 전략

5.1 공공도서관의 다큐멘터리 자원 구축을 위한 내용 및 제안

5.1.1 문서 자원 구성의 내용 및 원칙

(1) 문헌자원 구축의 내용

(2) 문서자원 구축의 원칙

5.1.2 문헌 자원 구성에서 다루어야 하는 여러 관계

(1) 핵심문헌과 일반문헌의 관계

(2) 양과 질 사이의 관계

(3) 품종과 레플리카의 관계

(4) 현재의 욕구와 미래의 욕구의 관계

5.1.3 문헌 자원의 합리적인 구성에 대한 제안

(1) 문헌 자원의 과학적 할당

(2) 문헌 자원의 사본을 합리적으로 조달

(3) 문서정보 자원의 성장 목표 설정

5.2 공공도서관 정보자원 통합의 필요성과 실현경로

5.2.1 공공도서관 정보자원 통합의 의의

(1) 독자의 정보자원 활용에 도움

(2) 도서관 서비스 경쟁력 구축에 기여

5.2.2 공공도서관 정보자원 통합의 실현 경로

(1) OPAC 기반 정보 자원 통합

(2) 데이터베이스 간 검색 기반 정보 자원 통합

(3) 자원 탐색 기반 정보 자원 통합

(4) 하이퍼링크 기반의 정보자원 통합

 

5.2.3 공공도서관 정보자원 통합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

(1) 정보 콘텐츠의 통합에 중점

(2) 지적재산권 보호에 주의

5.3 공공도서관 정보자원 공유 현황 및 발전방안

5.3.1 공공도서관의 정보자원 공유 개요

(1) 국립도서관 정보자원 공유 개요

(2) 지역공공도서관 정보자원 공유 개요

 

5.3.2 이 단계에서 공공 도서관의 공동 건설 및 공유의 새로운 기능

5.3.3 공공도서관의 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개발대책

(1) 표준화된 공유 메커니즘 구축

(2) 공유의 범위와 강도를 더욱 확대하고 강화한다.

(3) 현 단계에서는 지역공유체계 구축이 주축이다.

(4) 시스템 간 공유 모델 구축

(5) 문화나눔 사업을 적극 활용하여 서비스 수행

 

6장 공공도서관 서비스 항목 분석

6.1 공공도서관의 전통적 서비스 항목 분석

6.1.1 공공도서관 대출서비스 분석

(1) 공공도서관 대출서비스 발전 개요

(2) 공공도서관 공개대여 서비스 개선 전략

(3) 공공도서관 시청각자료 대출서비스 개선방안

6.1.2 공공도서관의 레퍼런스 컨설팅 서비스 분석

(1) 공공도서관의 참고서비스 현황

(2) 공공도서관 참고서비스의 발전동향

(3) 공공도서관의 참조·상담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한 대책

6.2 공공도서관의 확장서비스 항목 분석

6.2.1 공공도서관의 확장 서비스의 의미와 방법

(1) 공공도서관의 확장된 서비스의 의미

(2)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확대 방법

6.2.2 공공도서관 전시서비스 분석

(1) 공공도서관 전시서비스 발전 현황

(2) 공공도서관 전시자원 공유의 필요성

(3) 공공도서관 전시서비스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

6.2.3 공공도서관 강의 서비스 분석

(1) 공공도서관 강의실무 현황

(2) 공공도서관 강의 서비스에 존재하는 문제점

(3) 공공도서관 강의 서비스 개선 전략

(4) 공공도서관 강연회 현황 및 제안

6.2.4 공공도서관의 기타 확장 서비스 분석

(1) 여름독서서비스 분석

(2) 독자 활동 서비스 분석

(3) 입법의사결정 서비스 분석

6.2.5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확장 보장

(1)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 제공

(2) 조화로운 분위기 조성

(3) 사서 자신의 자질

6.3 특수집단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분석

 

6.3.1 미성년자를 위한 공공 도서관 서비스

(1) 미성년자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의의

(2) 중국과 미국 공공도서관의 마이너 서비스 비교

(3)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마이너서비스 발전을 위한 제언

6.3.2 장애인을 위한 공공 도서관 서비스

(1) 공공도서관 장애인 정보접근성 서비스 현황 조사

(2)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정보접근성 서비스 발전을 위한 제안

6.3.3 노인을 위한 공공도서관

(1) 노인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현황

(2) 노인을 위한 미국 공공도서관의 관행

(3) 고령자를 위한 일본 공공도서관의 개념

(4)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노인봉사 제안

6.3.4 공공 도서관은 농촌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 농촌서비스에 있어서 공공도서관의 의의

(2) 농촌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에 존재하는 주요 문제점

(3) 농촌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 도서관을 위한 혁신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제안

6.3.5 공공 도서관은 중소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 중소기업의 정보수요 특성

(2) 중소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의 초점

(3) 중소기업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사업

6.4 지방 공공 도서관의 주요 서비스 조사 및 분석

6.4.1 조사 대상 및 방법

6.4.2 조사 내용 및 결과

6.4.3 조사 결과 분석

(1) 특별 서비스의 일반 설정

(2) 특별 서비스 사례 설명

6.4.4 지방 공공 도서관의 주요 서비스 개발 전략

(1) 특성 자원에 주의

(2) 확장 서비스 확장

(3) 규칙 및 규정 개선

 

7장 공공도서관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제언

7.1 공공도서관 운영체계 개편을 위한 제언

7.1.1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관리시스템의 주요 특징

7.1.2 공공도서관 관리시스템에서 참고로 사용할 수 있는 모델

(1) 영국 공공도서관의 경영시스템 모델

(2) 미국 공공도서관의 경영시스템 모델

7.1.3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 운영체제 개혁을 위한 제언

7.2 공공도서관의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권고사항

7.2.1 현행 공공도서관의 인적자원 관리에 존재하는 문제점

 

7.2.2 공공도서관의 인적자원관리 메커니즘과 전략

(1) 인재양성 전략 실행

(2) 평생교육 전략

(3) 좋은 문화 분위기 조성

(4) 혁신환경 구축

(5) 고용 메커니즘 개혁

(6) 전문 및 서비스 관리팀 구성

7.3 공공도서관의 재정보증에 관한 제언

7.3.1 공공도서관 자금보증 현황

7.3.2 공공도서관 자금 확보를 위한 제안

(1) 가능한 한 빨리 법적 보호 장치를 구성하십시오.

(2) 자금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금융보안 체계 구축

(3) 다양한 형태의 자금원 개방

7.4 공공도서관의 성과관리를 위한 권고사항

7.4.1 공공도서관의 성과관리에 존재하는 문제점

7.4.2 공공도서관에서 성과관리를 구현하는 과정

(1) 성과관리 문화 구축

(2) 경영지표 체계 구축

(3) 성과평가 실시

(4) 성과평가 결과 피드백 및 적용

7.5 공공도서관 운영에 대한 독자 참여를 위한 권고사항

7.5.1 도서관 운영에 대한 독자 참여의 의의

7.5.2 독자의 경영참여 방식과 형태

(1) 비즈니스 교육 실시

(2) 워크샵 설정

(3) 다양한 형태 탐색

7.5.3 독자가 도서관 운영에 참여하는 방법

(1) 독자 참여를 위한 작업 규범 개발

(2) 독자 참여 범위 결정

(3) 안정적인 독자참여 관리조직 구축

7.6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 체계에 대한 제언

7.6.1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의의

(1) 중국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개발 현황

(2) 미국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 개발 현황

(3) 중국과 미국의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 발전 현황 비교분석

7.6.3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 보장제도 구축 및 개선을 위한 제언

(1) 자원봉사자 모집 절차의 표준화

(2) 자원봉사 지도 및 훈련 개선

(3) 정량적 성과평가 및 종합평가

(4) 인센티브 메커니즘 개선

 

8장 공공도서관 서비스 시스템 구축 모델에 대한 언급

8.1 "모바일 라이브러리" 모델 流动图书馆

8.1.1 광동 이동 도서관의 발전 역사

8.1.2 광동 이동 도서관모델 분석

(1) 작동 모드

(2) 관리 모드

(3) 재무 모델

(4) 자원 할당

(5) 시공효과

8.1.3 이동도서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8.2 "메인 브랜치 라이브러리" 모델 总分馆模式

8.2.1 "메인 브랜치 라이브러리" 모델 소개

8.2.2 지역공공도서관 서비스 체계 구축의 실천

(1) 쑤저우 모델苏州模式

(2) 샤먼 모델厦门模式

(3) 동관 모델东莞模式

 

8.2.3 공공도서관 일반 및 분관 서비스 시스템 구축 개선 방안

8.3 "도서관 도시" 모델 图书馆之城模式

8.3.1 선전深圳"도서관 도시" 건설 과정

8.3.2 선전 도서관 도시” “135개년 계획의 현황과 성과

8.3.3 선전 '도서관 도시' 건설을 위한 145개년 계획의 해석과 미래 전망

8.3.4 다른 지방 및 도시의 공공 도서관에 대한 "도서관 도시" 모델의 계몽

 

8.4 "도시 블록 셀프 서비스 라이브러리" 모델 城市街区自助图书馆模式

8.4.1 "City Block Self-Service Library" 서비스 기능 소개

8.4.2 “시티블록 셀프서비스 도서관운영모드 분석

(1) 도서관 내 다양한 ​​센터 및 부서의 조정

(2) 셀프 서비스 기계의 운영 및 유지 보수

(3) 물류 및 유통

8.4.3 "City Block Self-Service Library"의 실용적인 개발

 

8.5 "녹색토마토" 모델 青番茄模式

8.5.1 "녹색토마토" 소개

8.5.2 "녹색토마토" 서비스 모델의 구조

(1) 무료 대출

(2) 무료 배송

8.5.3 "녹색토마토"의 이익 모델의 해부

(1) 장점 중 하나: 기업 맞춤형 서비스

 

(2) 이익 포인트 2: 관심 경제

(3) 이익 포인트 3: 유동성

 

8.5.4 "녹색 토마토" 모델과 공공 도서관 간의 비교

(1) 주요 지표 비교

(2) 웹사이트 구축 및 활용 비교

(3) 독자 편의성 비교

(4) 장단점 비교

 

8.5.5 "녹색토마토" 모델이 공공 도서관에 미치는 영향과 계몽

(1) 공공도서관에 미치는 영향

(2) 공공도서관에 대한 시사점

 

9장 주요 공공도서관 운영분석

9.1 중국 국립 도서관의 운영 분석

9.1.1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간략한 소개

9.1.2 도서관 시설 분석

9.1.3 도서관 장서 자원 분석

9.1.4 도서관 서비스 프로젝트 분석

9.2 자본 라이브러리 운영 분석

9.2.1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간략한 소개

9.2.2 도서관 시설 분석

9.2.3 도서관 장서 자원 분석

9.2.4 도서관 서비스 항목 분석

9.3 상하이 도서관 운영 분석

9.3.1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간략한 소개

9.3.2 도서관 시설 분석

9.3.3 도서관 장서 자원 분석

9.3.4 도서관 서비스 항목 분석

 

9.4 천진도서관 운영 분석

9.4.1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간략한 소개

9.4.2 도서관 시설 분석

9.4.3 도서관 장서 자원 분석

9.4.4 도서관 서비스 프로젝트 분석

 

9.5 충칭 도서관 운영 분석

9.5.1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간략한 소개

9.5.2 도서관 시설 분석

9.5.3 도서관 장서 자원 분석

 

9.5.4 도서관 서비스 항목 분석

 

9.6 허베이성 도서관 운영 분석

9.6.1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간략한 소개

9.6.2 도서관 시설 분석

9.6.3 도서관 장서 자원 분석

9.6.4 도서관 서비스 항목 분석

 

9.7 광동성 중산도서관 운영분석

9.7.1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간략한 소개

9.7.2 도서관 시설 분석

9.7.3 도서관 장서 자원 분석

9.7.4 도서관 서비스 항목 분석

 

9.8 광시좡족자치구 도서관 운영 분석

9.8.1 라이브러리 개발의 간략한 소개

9.8.2 도서관 시설 분석

9.8.3 도서관 장서 자원 분석

9.8.4 도서관 서비스 프로젝트 분석

 

10장 공공도서관 발전 전망(ZY TL)

10.1 공공도서관의 발전 사명

10.1.1 도서관 발전의 미래에 대한 논의

(1) 도서관 소멸론 图书馆消亡论

(2) 도서관 발전론 图书馆发展论

 

10.1.2 공공도서관 개발 개념의 돌파구

(1) "2의 거실" 第二起居室개발 컨셉

(2) "3의 공간"第三空间의 전개 개념

(3) '2의 거실''3의 공간'의 차이점과 의의

(4) '3의 문화공간' 第三文化空间개발 개념의 해석

 

10.1.3 미래공공도서관의 사명

(1) 학습 및 정보 습득

(2) 오락 및 사회적 교류

(3) 성과와 욕망의 실현

 

10.2 공공도서관 개발의 핫스팟 분석

10.2.1 공공도서관의 입법문제 분석

(1) 일본 공립 도서관의 입법 경험이 주는 교훈

 

(2) 미국 지역 공공도서관의 입법 경험에서 얻은 교훈

(3) 135개년 계획 중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대한 입법연구의 진척도

(4) 145개년 계획 중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입법화 전망

 

10.2.2 "스마트" 공공도서관 智慧公共图书馆건설 분석

(1) 공공도서관을 위한 "스마트시티" 智慧城市요건

(2) "스마트시티" 개념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업무에 대한 가정

 

10.2.3 주제별 도서관 구축 분석

(1) 국내 테마도서관 구축 개요

(2) 주제별 도서관의 자원 구성

(3) 주제별 라이브러리의 주요 서비스 모드

 

10.2.4 지역사회 기반 공공도서관 서비스 분석

(1) 커뮤니티 서비스 개발의 불가피성

(2) 지역사회 기반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의미

 

10.2.5 Weibo 기반 공공 도서관 정보 서비스 분석

(1)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Weibo를 사용하는 공공 도서관의 의의

(2) 국내 공공도서관 웨이보 애플리케이션 현황 분석

(3)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Weibo를 사용하는 공공 도서관의 전략

 

10.3 공공도서관 투자 분석

10.3.1 공공도서관 투자특성 분석

(1) 투자자

(2) 건설자금의 출처

(3) 투자방법

10.3.2 공공도서관 투자현황

10.3.3 공공도서관 투자 전망

10.4 공공도서관의 발전 전망

10.4.1 공공도서관 개발 SWOT 분석

(1) 개발 이점

(2) 개발상의 단점

(3) 개발 기회

(4) 개발 위협

(5) SWOT 매트릭스

 

10.4.2 공공도서관의 발전동향 분석

 

10.4.3 공공도서관의 발전전망 전망

 

(1) 공공도서관의 발전규모 예측

(2) 공공도서관의 주요 사업활동 예측

 

목차의 일부:

그림 1: 공공 도서관의 기본 기능

그림 2: 도시 문화 건설에서 공공 도서관의 역할

그림 3: 공공 문화 서비스 시스템 구축에 있어 공공 도서관의 역할

그림 4: "공공 도서관 서비스 사양"의 해석

그림 5: 문화부 제14차 문화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 해석

그림 6: "국가 현급 공공 문화 시설 건설 계획"의 해석

그림 7: "공공전자 열람실 건설계획" 시행계획 해석

도표 8: 2016~2020년 중국 문화산업 부가가치 및 GDP 대비 비중 추이(단위: 억 위안, %)

도표 9: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문화 산업의 부가가치 및 성장률(단위: 억 위안, %)

도표 10: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도시 및 농촌 거주자의 소득 수준(단위: 위안)

 

 

천 개의 도서관이 있는 도서관의 도시, 선전

천 개의 도서관이 있는 도서관의 도시, 선전

선전도서관정보학회深圳图书情报学会와 선전도서관深圳图书馆이 펴낸 <선전 ‘도서관의 도시’ 2020년도 사업발전 보고서>深圳“图书馆之城”2020年度事业发展报告(2021)에 따르면, 선전(인구 약 1,756만명)에는 2020년 말 현재 총 1,012개의 도서관이 있다고 합니다. 공공도서관이 710개관(시급市级이 3개, 구급区级 9개, 가도급 이하 기층도서관街道及以下基层图书馆 698개), 셀프도서관自助图书馆이 302개, 24시간 서향정书香亭 67개. https://han.gl/vQkFc
선전은 1996년 중국 최초의 대규모 책 도시大面积书城的城市 건설, 2000년 ‘모두를 위한 독서’全民阅读 촉진 및 "독서의 달读书月" 실시, 2003년 ‘문화도시’文化立市 및 도서관의 도시图书馆之城 제안, 2006년 '24시간북바‘24小时书吧 최초 건립, 2012년 최초의 독서협회阅读联合 설립, 2014년 최초의 도시독서지수城市阅读指数 발표, 2015년 최초의 1구 1서성 1거리 1책방一区一书城、一街道一书吧 건설 제안, 2016년 최초의 독서 입법화, 유아 독서를 위한 책씨앗 프로젝트阅芽计划 개발 도시 등. 독서 및 도서관과 관련하여 선전이 가장 먼저 앞서 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https://han.gl/HLJpx
<선전, 모두를 위한 독서 발전 보고서 2022>深圳全民阅读发展报告2022에 따르면 2021년 선전시 성인 종합 독서율은 85.4%로 중국의 성인 종합 독서율보다 높으며, 1인당 9.15권의 종이책을 읽는다고 합니다. https://www.sohu.com/a/540420245_120046696
*사진1은 서향정书香亭, 사진2는 24시간북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