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창 교수가 미국발 금융위기에 대해 쓴 칼럼을 읽었다.
우선 김우창 교수는 조셉 스티글리츠가 미국 정부의 금융위기에 대한 조처가 '위선'이라고 비판한 점을 주목한다. 금융위기의 문제가 "단순히 경제나 정치의 문제가 아니라 도덕과 윤리의 문제이고 문화의 문제"라는 것. 이 테제는 김우창 교수 다운 테제다.
경제와 정치의 문제를 도덕/윤리/문화의 문제로 여기는 김우창 교수의 견해는 "이번의 미국발(發) 세계 금융위기는 자본주의의 종말을 고하는 것이라는 견해"가 있는데 그렇다면 그 대안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으로 이어진다.
적어도 김우창 교수가 보기에 "하나의 커다란 기획을 세운다면, 인간적 삶의 신장을 위한 쉼 없는 조정과 균형의 노력이 필요 없어진다고 착각하는 제도가 실패하는 제도"라는 것이다. 대안이 뭐라고 규정적으로 말하기 어렵기에 이렇게 부정법을 쓰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 현 시점의 고뇌일 것이다. 하지만 김우창 교수는 여기에 한 가지 중요한 입각점을 제기한다. 그것은 '인간의 존엄을 잊지 않으면서도 언제나 새로운 물음에 열려 있는 것'이라야 한다는 것이다. '부의 축적이 인간됨의 모든 것이라는 강박'에 대한 물음과 비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리고 한 가지, 김우창 교수는 도정일 교수의 '시장전체주의'라는 용어가 아니라 '시장원리주의'라는 단어를 쓰고 있다는 것이 눈에 들어온다.
밑에 김우창 교수가 참조하였을 것으로 보이는, 조셉 스티글리츠의 글, '위선의 결과(fruit of hypocrisy)을 붙여둔다.
-------------------------------------
[김우창칼럼]금융위기 - 제도와 인간 가치 | |
입력: 2008년 09월 24일 17:56:12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9241756125&code=990311 | |
세계 굴지의 금융기관들이 줄지어 도산한다는 뉴스가 신문에 연일 보도되고 있다. 미국에서 시작한 도산과 파산의 폭풍이 영국과 기타 유럽 여러 나라의 경제를 흔들고 아시아에 밀려오고 있다. 무언가 대사변이 일어나고 있음에 틀림이 없다. 물론 경제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에게 그 원인이나 연계관계 그리고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이 일이 범상스러운 일이 아님을 몸으로 느낄 수는 있다.
소위 서브프라임 주택 융자 위기가 이야기되더니, 금융관계회사라는 프레디맥과 패니메이, 리먼브라더스에 이어 AIG 보험회사 등이 파산하거나 도산 직전에 이르게 되었다는 보도가 연이어 세상을 어지럽게 했다. 다만 지금 말한 회사 중에 셋은 미국정부의 긴급조처로 파산을 면하게 되었고, 이어 미국정부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위기로부터 금융회사들을 구출하기 위하여 의회에 7000억달러의 긴급예산 배정을 요구하였다. 이 액수는 미국이 이라크 전쟁에 투입한 경비에 비교된다고 하니까, 그 규모의 크기가 얼마나 막대한 것인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처로 일단은 사태가 수습될는지 모른다. 그러나 이번의 위기는 몇 개의 큰 사고가 아니라 오늘의 국제 금융시장 체제 전체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드러내는 일이고 더 나아가 자본주의 체제 자체의 종말의 시작을 가리킨다는 관점도 대두하고 있다.
-------------------------------------------
Dishonesty in the finance sector dragged us here, and Washington looks ill-equipped to guide us out Joseph Stiglitz , The Guardian, Tuesday September 16 2008 출처: http://www.guardian.co.uk/commentisfree/2008/sep/16/economics.wallstreet
Houses of cards, chickens coming home to roost - pick your cliche. The new low in the financial crisis, which has prompted comparisons with the 1929 Wall Street crash, is the fruit of a pattern of dishonesty on the part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incompetence on the part of policymakers.
We had become accustomed to the hypocrisy. The banks reject any suggestion they should face regulation, rebuff any move towards anti-trust measures - yet when trouble strikes, all of a sudden they demand state intervention: they must be bailed out; they are too big, too important to be allowed to fail.
Eventually, however, we were always going to learn how big the safety net was. And a sign of the limits of the US Federal Reserve and treasury's willingness to rescue comes with the collapse of the investment bank Lehman Brothers, one of the most famous Wall Street names.
The big question always centres on systemic risk: to what extent does the collapse of an institution imperil the financial system as a whole? Wall Street has always been quick to overstate systemic risk - take, for example, the 1994 Mexican financial crisis - but loth to allow examination of their own dealings. Last week the US treasury secretary, Henry Paulson, judged there was sufficient systemic risk to warrant a government rescue of mortgage giants Fannie Mae and Freddie Mac; but there was not sufficient systemic risk seen in Lehman.
The present financial crisis springs from a catastrophic collapse in confidence. The banks were laying huge bets with each other over loans and assets. Complex transactions were designed to move risk and disguise the sliding value of assets. In this game there are winners and losers. And it's not a zero-sum game, it's a negative-sum game: as people wake up to the smoke and mirrors in the financial system, as people grow averse to risk, losses occur; the market as a whole plummets and everyone loses.
Financial markets hinge on trust, and that trust has eroded. Lehman's collapse marks at the very least a powerful symbol of a new low in confidence, and the reverberations will continue. The crisis in trust extends beyond banks. In the global context, there is dwindling confidence in US policymakers. At July's G8 meeting in Hokkaido the US delivered assurances that things were turning around at last. The weeks since have done nothing but confirm any global mistrust of government experts.
How seriously, then, should we take comparisons with the crash of 1929? Most economists believe we have the monetary and fiscal instruments and understanding to avoid collapse on that scale. And yet the IMF and the US treasury, together with central banks and finance ministers from many other countries, are capable of supporting the sort of "rescue" policies that led Indonesia to economic disaster in 1998. Moreover, it is difficult to have faith in the policy wherewithal of a government that oversaw the utter mismanagement of the war in Iraq and the response to Hurricane Katrina. If any administration can turn this crisis into another depression, it is the Bush administration.
America's financial system failed in its two crucial responsibilities: managing risk and allocating capital. The industry as a whole has not been doing what it should be doing - for instance creating products that help Americans manage critical risks, such as staying in their homes when interest rates rise or house prices fall - and it must now face change in its regulatory structures. Regrettably, many of the worst elements of the US financial system - toxic mortgages and the practices that led to them - were exported to the rest of the world.
It was all done in the name of innovation, and any regulatory initiative was fought away with claims that it would suppress that innovation. They were innovating, all right, but not in ways that made the economy stronger. Some of America's best and brightest were devoting their talents to getting around standards and regulations designed to ensure the efficiency of the economy and the safety of the banking system. Unfortunately, they were far too successful, and we are all - homeowners, workers, investors, taxpayers - paying the price.
· Joseph E Stiglitz is university professor at Columbia University and recipient of the 2001 Nobel prize in economics josephstiglitz.com |
페이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