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5년 3월 19일 목요일

책 골라주는 팟캐스트 시대/민용준 엘르코리아 피처 에디터

http://www.huffingtonpost.kr/yongjun-min/story_b_6891790.html

말해주고 싶었다. 읽어주고 싶었다. 그래서 출판사는 팟캐스트를 열었다. 거기 독자가 있었다.
영화평론가 이동진이 진행하는 <이동진의 빨간 책방>은 영화가 아니라 책에 관한 팟캐스트다. 소설가 김중혁 작가가 항상 고정 게스트로서 옆자리를 지킨다. 평론가와 작가가 진행하는 책에 관한 방송이라고 하니 진지하고 엄숙할 것만 같지만 유쾌하고 엉뚱한 만담이 귀를 잡아 끈다. 본질적으론 책에 대한 성실한 탐구와 지적인 관점과 뚜렷한 성찰이 마음을 붙잡는다. 2년 전에 시작된 <이동진의 빨간 책방>은 스타 평론가와 인기 작가가 진행하는 팟캐스트라는 점에서 화제를 모았고, 2년 동안 전체 팟캐스트 순위에서 상위권을 지켜왔다. 인기를 모으는 대부분의 팟캐스트가 시사나 정치, 섹스에 대한 소재를 다루고 있음을 상기했을 땐 놀라운 선전이다. 더욱 흥미로운 건 <이동진의 빨간 책방>이 출판사 '위즈덤하우스'에서 운영하는 팟캐스트라는 사실이다.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출판사는 위즈덤하우스뿐만이 아니다. 문학평론가 신형철이 진행하는 '문학동네'의 <문학이야기>, 소설가 황정은과 김두식 교수가 진행하는 '창작과 비평'의 <라디오 책다방>이 대표적이다. 출판사가 팟캐스트를 기획하는 상황을 보도하는 다수의 언론에선 출판 시장의 불황으로 인한 현상과 연관해서 설명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단지 그것 때문일까. 만약 출판 시장의 불황을 타파하기 위한 의도를 앞장세운 기획이었다면 어떻게든 해당 출판사의 도서를 홍보하는 마케팅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졌어야 하지 않을까. <이동진의 빨간 책방>에선 언젠가부터 자사 출판사의 도서를 홍보하는 광고성 코너를 짧게 삽입하긴 했지만 그 이전까진 출판사와의 연관성에 대한 어떠한 암시조차 없었기 때문에 출판사가 운영하는 팟캐스트임을 모르고 듣는 청취자도 많았다. 게다가 90회 이상을 업로드한 <이동진의 빨간 책방>에서 위즈덤하우스의 도서를 집중적으로 소개한 건 윤태호 작가의 <미생>뿐이다. 그렇다면 위즈덤하우스에선 대체 왜 팟캐스트를 운영한 것일까.
"출판시장이 많이 축소됐지만 아직도 독서에 관심 있는 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양질의 책을 가이드해줄 수 있는 경로에 대한 관심은 늘 있었다. 사실 방송을 비롯한 기존의 매체가 지닌 영향력이 줄어들고 책에 대한 집중도도 떨어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독자와의 접촉면을 넓히는 것도 중요했다. 그런데 팟캐스트 청취자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서 새로운 형태의 매체에서 책을 이야기해보면 어떨까라는 호기심도 있었다. 아마 다른 출판사들도 비슷한 의도에서 팟캐스트를 기획했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동진의 빨간 책방>을 기획한 위즈덤하우스의 김은주 분사장의 말이다. 한 달에 두 번 업로드되는 <이동진의 빨간 책방>은 매주마다 나름의 주제를 정해서 그 주제에 어울리는 책을 소개한다. 신작보다도 구작이 대부분이다. 진행자인 이동진이 선정하는 도서들이 그 대상이 된다. 위즈덤하우스는 그저 멍석만 깔았다. 완벽하게 진행자의 역량에 모든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다.
이는 앞에서 소개한 다른 팟캐스트도 마찬가지다. 신형철이 진행하는 <문학이야기>는 문학에 대한 진지한 해설과 철학적 접근에 집중하고자 하는 진행자의 의도를 완벽하게 존중한다. 어지간한 농담이나 유머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시장성을 염두에 둔 기획이라고 말할 여지조차 없다. <이동진의 빨간 책방> 역시 대단한 야심에서 출발한 기획이 아니었다. 하지만 '양질의 정보'를 생산해내겠다는 의도는 존재했다. 그래서 믿을 만한 진행자의 섭외가 관건이었다. 그 자체로 브랜드일 수 있는 존재가 필요했다. 인지도 있는 평론가와 작가가 팟캐스트를 통해 책을 말하게 된 건 그래서다. 이는 기성 미디어에선 시도하기 힘든 기획이었다. 책이라는 컨텐츠에 대한 단편적인 소개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고, 그나마 책을 소재로 한 양질의 프로그램은 시청률이 저조한 야심한 시간에 편성되기 일수였다. 그런 의미에서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청취가 가능한 팟캐스트는 출판사 입장에선 매력적인 플랫폼일수밖에 없다.
"아마 책이 잘 팔리는 상황이었다고 해도 만들어졌을 거라고 생각한다. 출판계의 위기를 고려한 돌파구일수도 있지만 대중과 소통하고 싶다는 심리가 작동했다고 본다." 교보문고 콘텐츠 사업팀의 윤태진 PD의 말이다. 그는 올해 초 소설가 정이현과 문학평론가 허희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낭만서점>을 기획했다. 대형 서점인 교보문고에서 운영하는 팟캐스트라지만 역시 진행자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건 앞서 소개한 출판사의 팟캐스트와 유사하다. 다만 서점이라는 광장을 기반으로 두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큰 메리트가 있다. 서점은 본래 독자들이 알아서 찾아오는 책의 광장이다. 북콘서트라던지, 낭독회 등의 도서 관련 행사가 서점에서 열리는 건 본래 자연스러운 일이다. 유명 작가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방송이란 형식성을 생각했을 때 교보문고라는 광장의 활용가치는 무궁무진하다.
타이틀 자체로 브랜드가 된 <이동진의 빨간 책방> 또한 광장을 얻었다. 상수동에 생긴 카페 '빨간 책방'은 위즈덤하우스에서 운영하지만 <이동진의 빨간 책방>을 위한 공간이다. 이동진이 팟캐스트에서 선정해 소개한 책들을 판매하기도 하고, 팟캐스트 녹음 혹은 공개방송을 위한 광장 노릇을 한다. 2주년을 기념하는 공개방송 당시엔 50개의 객석이 가득 채워졌다. 온라인에서 확인한 인지도를 오프라인을 통해서 확신하게 된다. 적극적인 출판사만큼이나 적극적인 독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지난 8월에 오픈한 웹사이트 '소설리스트'는 소설가 김중혁과 김연수, 서평가 금정연 등이 운영하는, 소설 전문 매체다. 홍수처럼 쏟아지는 신간에 묻혀 사라지는 좋은 소설을 발굴하자는 취지를 안고 문을 열었다. 영화에 별점을 매기듯 문학에 별점을 매긴다. 소설가가 직접 소설을 평한다. 새로운 시도다. 시기적절한 기획이다. 책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방법론을 통해서 기대 이상의 대중성을 확보한 팟캐스트의 성과는 분명 출판사뿐만 아니라 작가들에게도 고무적인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새로운 바람이다.
물론 '불황'이란 단어를 날려버릴 만큼 강력한 기류를 형성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바람의 방향을 바꾸는 시도는 존재해야 한다. 팟캐스트는 출판계의 새로운 날개다. 디지털식 방법론이 아날로그 시장에 새로운 숨을 불어넣고 있는 것이다. 이상적인 조합이다.
(ELLE KOREA에 게재됐던 기사를 재편집한 글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