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5년 5월 6일 수요일

국립도서관 70년 역사와 천만장서

http://goo.gl/W8uuuR

국립중앙도서관, '천만장서 달성 및 개관 70주년'
국립중앙도서관, '천만장서 달성 및 개관 70주년'(서울=연합뉴스) 23일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도서관 앞 잔디마당에서 직원들이 오는 5월 '천만장서 달성 및 개관 70주년 기념식'에 앞서 '천만장서, 당신의 힘입니다' 슬로건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제공)
1945년 28만 5천 책으로 출발, 디지털화에 박차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1층 주차장 한켠에는 아무도 쳐다보지 않는 문화재 표지석 하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옛터'라는 제목 아래 '서울 중구 소공동 6번지'라는 주소를 적은 다음, '1923년 11월30일부터 1974년 12월1일까지'라는 사용 기한이 적혔다. 이 표지석은 '1992년 10월15일 국립중앙도서관 세움'이라고 한다.
이를 보면 국립중앙도서관은 1923년 11월30일 이 자리에 개관한 조선총독부도서관을 접수했음을 알 수 있다. 1945년 식민 지배에서 해방된 그 해 10월15일 국립중앙도서관은 개관했다. 이때 이름은 국립도서관. 그러다가 1963년 10월28일 도서관법이 제정되면서 국립중앙도서관으로 간판을 바꿔단다.
도서관은 1974년 12월2일 남산으로 이전했다가 1988년 5월28일 지금의 반포동 시대를 개막했다.
1945년 개관 당시 장서는 기록에 의하면 28만 4천457책이었다. 그런 중앙도서관이 70년 만에 장서 천만 시대를 열었다. 적어도 장서 숫자만으로는 서른 배 성장한 셈이다.
장서 숫자 증가에는 1965년 3월26일 공포된 도서관법 시행령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납본제도를 시행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발간물은 모두 국가에서 수집할 길을 연 셈이다. 하지만 의외로 장서 증가세는 더뎌 1988년 서울올림픽 직전에야 겨우 100만 장서 시대를 열었다. 이는 납본제도가 제 힘을 발휘하지 못한 영향도 크다.
현행 도서관및독서진흥법 제17조는 국내에서 발행·제작되는 모든 자료는 발행 또는 제작일로부터 30일 이내에 2부를 국립중앙도서관에 제출토록 하는 납본제도를 실시하지만, 2000년 1월만 해도 납본율은 72%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다가 납본제도를 독려하면서 2012년 이후에는 97%까지 치솟았고, 2013년에는 98%에 달했다.
이런 흐름에 힘입어 2004년 9월15일 500만 장서를 달성했다.
국립도서관에 따르면 천만 장서는 세계에서 15번째, 국내에서는 당연히 처음이라고 한다.
이들 장서를 발행 국가별로 보면 한국서가 694만 8천547책으로 전체 69.4%를 차지한다.
고서는 27만 5천242책으로 전체 장서의 2.8%다. 천만 장서에 포함된 비도서는 155만 8천657책(15.6%)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천만장서 달성 및 개관 70주년'
국립중앙도서관, '천만장서 달성 및 개관 70주년'(서울=연합뉴스) 23일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도서관 앞 잔디마당에서 직원들이 오는 5월 '천만장서 달성 및 개관 70주년 기념식'에 앞서 '천만장서, 당신의 힘입니다' 슬로건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주제별로 보면 인문과학이 412만 78책, 41.2%를 차지하며, 사회과학(264만 2책·26.4%)과 자연과학(250만 9천932책·25.1%)이 뒤를 따른다.
입수 방식별로 보면 납본이 751만 1천577책으로 전체 75.1%를 차지해 압도적이며, 구입은 91만 825책(9.1%), 기증은 94만 8천48책(9.5%)으로 상대적인 비중이 낮은 편이다.
천만장서에는 포함하지 않은 온라인 자료는 364만 3천555건을 보유했다.
1945년 개관 당시와 지금의 국립도서관 규모를 보면 우선 시설은 4천758.8㎡에서 12만 7천42.63㎡로 늘었으며, 조직은 7개과 34명으로 출발해 지금은 3부 3관 1연구소 18과 1팀, 331명을 헤아린다.
한편 도서관은 소장 자료에 대한 디지털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대상은 천만장서 중 발간된 지 5년이 경과한 자료로, 저작권법에 따라 도서관간 전송이 가능한 250만책이다.
이를 위해 페이지를 스스로 넘기면서 시간당 최고 2천500여 면의 고속 스캔과 광학문자인식처리(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를 통한 텍스트 변환까지 가능한 로봇 스캐너를 국내 최초로 도입하여 운영 중이다.
디지털화한 자료는 우선 저작권법에서 허용하는 전국 1만 9천여 도서관에서 이용하게끔 제공하고, 장차 저작권료를 지불하고 안방도서관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법제도 개선도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현재 구축된 원문 이미지 DB 중 OCR 인식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고서와 세로쓰기 자료 등을 제외한 근현대 문학 자료와 학술자료 등 25만 책은 연내에 텍스트로 변환할 계획이다. 
4월 현재 중앙도서관은 저작권이 만료되었거나 이용 허락을 받아 인터넷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동의보감 등의 고서와 일반도서 15만여 책은 모바일 기기를 통한 손안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taeshik@yna.co.kr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506_0013644568&cID=10701&pID=10700
국립중앙도서관 70주년, 1945~2015 연대기

국립중앙도서관 1945 VS 2015(사진=국립중앙도서관) 2015-05-06

【서울=뉴시스】이재훈 기자 = 올해 개관 70주년을 맞은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이 14일 자로 장서 1000만 시대를 맞는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장서는 1945년 10월, 지금의 롯데호텔(서울 중구) 본관 자리에 개관할 당시 약 28만 5000책이었다. 그 후로 더딘 증가세를 보여, 1988년 올림픽 직전 100만 장서를 넘어섰다. 2004년에는 500만을 넘어섰고, 11년 만에 1000만 시대를 맞게 됐다. 개관 이후 70년 사이에 약 30배가 성장한 셈이다.

그간 국립중앙도서관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1945.10.15. = 국립도서관 개관(소공동)
▲1963.10.28 = 도서관법 제정
▲1963.10.28. = 국립중앙도서관 개칭
▲1965.3.26. = 도서관법 시행령 공포, 납본제도 시행
▲1969.5.2. =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 가입
▲1974.12.2. = 남산 청사 이전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본관 전경(사진=국립중앙도서관) 2015-05-06

▲1980.2.20. =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 단행본 실험용 포맷 제정
▲1983.6.27. = 사서직 직무교육과정 설치
▲1988.5.28. = 본관 신축 개관(반포동)
▲1990.8.24. = 국제ISBN(국제표준도서번호)관리기구에 공식 가입(국별번호‘89’ 배정받음)
▲1991.8.27. = ISSN(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국제센터에 정식 가입
▲1997.11.9. = 한중일 국립도서관 업무 교류 시작
▲2000.8.30. = 자료보존관 신축 개관
▲2004.9.15. = 500만 장서 달성
개관 당시 소공동 국립도서관 전경(사진=국립중앙도서관) 2015-05-06

▲2006.6.28.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개관
▲2007.5.22. = 도서관연구소, 국립장애인도서관 지원센터 신설
▲2009.5.25. = 디지털도서관 개관
▲2012.8.18. = 국립장애인도서관 개관
▲2013.12.12.= 국립세종도서관 개관
▲2015.05.13 = 1000만 장서 달성

realpaper7@newsis.com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50613103466890

국립중앙도서관, 천만장서 시대…"전국에 디지털자료 제공"


현 국립중앙도서관 보존서고 모습.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국립중앙도서관이 개관 70주년을 맞아 1000만 장서를 달성했다. 앞으로 도서관은 소장 장서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 작업을 실시해 우선적으로 전국 1만9000여 도서관에 디지털자료를 제공할 계획이다. 도서관은 또 한국의 대표도서관으로서 국내 모든 발간자료의 보존 차원에서 그동안 누락된 자료를 채우는 작업에 시민참여를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6일 오후 임원선 국립중앙도서관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올해 도서관 장서 1000만 시대를 열었다. 세계에서 15번째"라며 "이를 기념해 도서관에서 기념식과 전시회, 음악회를 개최하는 한편 누구나 쉽게 천만장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 모바일 서비스, 장애인서비스에 보다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서관은 지난 1945년 10월 15일 서울 소공동 현재 롯데호텔 자리에 개관한 뒤 1974년 남산 청사로 이전하고 이후 1988년 반포동에 신축·이전한 바 있다. 개관할 당시 도서관의 소장 장서는 28만5000책이었다가 반포동으로 이사할 즈음엔 100만 장서를 넘어섰다. 이후 급속도로 장서수가 늘어나 2004년 500만을 넘긴 후 11년 만인 올해 1000만 장서를 소장하게 됐다. 1000만 장서를 주제별로 구분하면 인문과학이 41.2%, 사회과학 26.4%, 자연과학 25.1%, 총류 7.3% 순으로 나타났다. 장서들의 유입경로로 봤을 땐 납본이 75.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기증 9.5%, 구입 9.1%, 교환 4.5% 등의 순이었다. 

(왼쪽부터)1945년 서울 중구 소공동 지금의 롯데호텔 자리에 개관했던 당시의 국립중앙도서관과 1988년 서울 서초구 반포동으로 신축 이전해 오늘에 이르는 국립중앙도서관 모습.

'납본'이란 발행한 출판물을 도서관법 규정에 따라, 관청이나 도서관에 정해진 수량을 보내는 일을 뜻한다. 김남숙 국립중앙도서관 자료수집과 사서사무관은 "도서관이 지닌 국내 모든 발간 자료의 수집·보존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납본이 큰 기능을 하고 있다. 이는 다른 나라 중앙도서관도 마찬가지"라며 "1965년부터 법적으로 납본이 실시돼 왔지만 1970년대까지도 제대로 보편화되지 못했다. 누락된 자료들을 시민들의 협조를 받아 채울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만장서 내 책을 더하다'라는 행사를 통해 시민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책이 도서관에 소장돼 있지 않을 경우 기증할 수 있고, 도서관은 해당 자료에 기증자 이름을 기록, 소정의 기념품을 증정키로 했다. 

천만장서를 소장함에 따라 도서관의 디지털화 작업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먼저 천만장서 중 발간된 지 5년이 경과한 자료로, 저작권법에 따라 도서관간에 전송이 가능한 250만책(기구축된 45만6000책 포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페이지를 스스로 넘기면서 시간당 최고 2500여 면의 고속 스캔과 광학문자인식처리(OCR)로 텍스트 변환까지 가능한 로봇 스캐너를 국내 최초로 도입, 운영 중이다. 앞으로 디지털화된 자료는 우선 저작권법에서 허용하는 전국의 1만 9000여 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차 저작권료를 지불하고 안방도서관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법제도 개선도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현재 도서관은 저작권이 만료됐거나 이용 허락을 받아 인터넷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동의보감'등 고서와 일반도서 15만여 책을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손 안의 도서관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도서관은 앞으로 미래과학창조부와 디지털도서관 프로젝트도 추진 중에 있다.

한편 도서관은 천만장서 달성·개관 70주년을 기념해 오는 14일 기념식을 시작으로 6월까지 천만장서 특별전, 심포지엄, 야외음악회, 저자와의 만남 등 행사를 진행한다. 기념식에는 도나 쉬더(Donna Scheeder)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 차기 회장, 고영수 대한출판문화협회 회장 및 윤희윤 한국도서관협회 회장 등이 참석한다. 같은 날 '빅데이터 시대, 국립도서관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국제심포지엄도 열린다. 특별전에서는 시대별 책의 변천사를 살펴볼 수 있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

임원선 관장 "1000만 장서 달성은 세계적 수준"


개관 70주년 맞는 국립중앙도서관
30배 성장·세계 15번째 성과
14일 기념식 비롯해 심포지엄·전시 등
시민참여 다채로운 행사 마련
임원선 관장 `1000만 장서 달성은 세계적 수준`
임원선 국립중앙도서관장이 6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연 ‘1000만 장서 달성 및 개관 70주년’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국립중앙도서관).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국립중앙도서관은 도서관법상 국가대표 도서관이다. 국내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를 수집·보존하는 만큼 이번 1000만 장서 달성은 우리나라 문화와 학술분야의 누적된 창작역량이 이제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음을 말해준다.”  
 
임원선 국립중앙도서관장은 6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국립중앙도서관은 1000만 장서 달성과 개관 70주년을 계기로 정보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국가지식정보자원을 빠짐없이 수집·보존하고 서비스하는 최후의 보루로서 소명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1000만 장서 달성은 세계 15번째 기록으로 국내선 최초다. 전자책·전자저널·음성파일 등 온라인자료 363만건을 제외한 기록이란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국내 주요 도서관의 장서 보유량은 국회도서관이 541만 9000건, 서울대 도서관이 453만 3000건 수준이다.
 
1000만 장서 달성은 국립중앙도서관 개관 70년 만에 30배가 성장한 것. 1945년 10월 중구 소공동에서 개관할 당시 28만 5000여권으로 출발, 40여년 만인 1988년 현재의 서초구 반포동으로 이전한 뒤 100만 장서를 넘어섰다. 이후 빠른 증가세 속에 2004년 500만권을 넘어선 뒤 11년 만에 1000만 장서 시대를 열게 됐다.

1000만 장서의 규모는 서울 인구수와 맞먹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양. 책 한 권의 평균 두께가 2.35㎝라고 할 때 1000만 장서를 서가에 꽂으면 약 235㎞에 달한다. 경부고속도로로 서울에서 추풍령 고개를 넘어 김천에 이르는 방대한 양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은 1000만 장서를 디지털화해 저작권법이 허용하는 전국 1만 9000여 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국립중앙도서관은 1000만 장서 달성과 관련해 다양한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오는 14일에는 ‘천만 장서 당신의 힘입니다’라는 슬로건 아래 ‘1000만 장서 달성 및 개관 70주년 기념식’을 연다. 이 자리에는 역대 관장을 비롯해 도나 쉬더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 차기 회장, 고영수 대한출판문화협회장, 윤희윤 한국도서관협회장 등 도서관·출판계 인사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 아울러 국제심포지엄·야외음악회(14일), 저자와의 만남(15일)을 비롯해 ‘1000만 장서 특별전’ 등 풍성한 행사를 연다. ‘1000만 장서에 내 책을 더하다’ 행사를 통해 시민의 도서와 자료를 기증받는 이벤트도 준비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