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22년 12월 12일 월요일

일본, 어린이독서활동추진에 관한 유식자회의 논점요약(2022년 11월)

子供の読書活動推進に関する有識者会議 論点まとめhttps://www.mext.go.jp/content/20221125-mxt_chisui02-000026166_6.pdf


2022년 11월 23일 수요일

마쓰이 다다시(松居直, 1926년 10월 5일~2022년 11월 2일) 선생

마쓰이 다다시(松居直, 1926년 10월 5일~2022년 11월 2일) 선생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향년 96세.

마쓰이 씨는 '일본 그림책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분입니다. 일본 어린이책 출판사인 후쿠이칸쇼텐(福音館書店, ふくいんかんしょてん, https://www.fukuinkan.co.jp/)의 초석을 다진 인물입니다. 1953년 어린이를 키우는 사람들을 응원하는 월간지 <엄마의 친구母の友>를 창간하였고, 1956년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발상을 북돋기 위해 한 권의 책 안에 하나의 이야기를 담고자 했던 <어린이의 벗こどものとも>도 창간하여 일본의 그림책 문화에 완전히 새로운 바람을 불어 넣었습니다. 1968년에 후쿠이칸쇼텐의 사장이 되었고, 1985년에 회장이 되었습니다. 아동문학가로서도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며 저서를 펴내었습니다. 한국어로는 <어린이그림책의 세계>(이상금 옮김) <어린이와 그림책>(이상금 옮김) <그림책의 힘>(공저, 햇살과나무꾼 옮김)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엔피오 북스타트 NPO ブックスタート 와 오사카 국제아동문학관大阪国際児童文学館(https://www.library.pref.osaka.jp/site/jibunkan/)의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하였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마쓰이 선생은 북스타트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였다고 합니다.
"북스타트는 그림책을 보급하기 위한 활동이 아닙니다. 말의 세계 그 자체인 그림책으로 행복하게! '라는 생각과 말을 더해 건네주고, 함께 살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아이의 삶의 출발점에서 "기쁨을 함께한다"라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북스타트는 앞으로의 시대에도 이것에 힘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ブックスタート』は、絵本を普及するための活動ではありません。言葉の世界そのものである絵本に、『お幸せに!』という思いと言葉を添えて手渡し、共に生きることを願うものです。子どもの人生の出発点に“歓びを共にする”という経験を贈ること。ブックスタートは、これからの時代においても、そのことに力を尽くさなくてはならないと思っていま

2022년 11월 21일 월요일

<도서관: 진짜 고된 일, 사서를 위한 작은 전투 사전과 공공 독서의 방어 Bibliothèques : un vrai travail de fourmis! Petit dictionnaire militant pour bibliothécaires et la défense de la lecture publique>

프랑스 파리의 노동조합연맹SUD CT이 2022년 11월 8일 펴낸 52쪽짜리 작은 사전, <도서관: 진짜 고된 일, 사서를 위한 작은 전투 사전과 공공 독서의 방어 Bibliothèques : un vrai travail de fourmis! Petit dictionnaire militant pour bibliothécaires et la défense de la lecture publique>.

이 작은 사전은 획득Acquisitions부터 이용자Usagers et usagères에 이르기까지 도서관의 핵심적인 업무 관련 용어를 알파벳 순서대로 설명하면서, 각 항목과 관련된 특정한 문제적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파리 노동조합연맹의 도서관에 대한 시각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요일 근무le travail du dimanche, 근무시간 연장Extension des horaires d'ouverture 항목 등.
“돈의 논리가 인간의 활동과 천연 자원을 통제하는 사회에서 우리는 민주주의la démocratie, 지식la connaissance, 해방l’émancipation을 보장하는 기관의 일꾼으로서 시민을 위해 일차적인 역할을 다합니다. 도서관은 어떠한 정치적, 종교적, 경제적 압력으로부터 독립적이며, 자유롭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투쟁합니다.”

https://www.sud-ct.org/bibliotheques-un-vrai-travail-de-fourmis-petit-dictionnaire-militant-pour-bibliothecaires-et-la-defense-de-la-lecture

https://sud-ct.org/IMG/pdf/sud-ct-brochure-bibliotheque-2022-vweb.pdf?3407/e36e45e0b664ed4073e6cb3f6c52c56ab5845543

2022년 11월 7일 월요일

ARTICLE 19

ARTICLE 19 works for a world where all people everywhere can freely express themselves and actively engage in public life without fear of discrimination. We do this by working on two interlocking freedoms: the Freedom to Speak, and the Freedom to Know. When either of these freedoms come under threat, ARTICLE 19 speaks with one voice. 

https://www.article19.org/what-we-do/

Booktrust 북트러스트의 보도자료, 영국예술위원회의 기금, 2022년 11월 4일, Diana Gerald

 BOOSTING LIFE CHANCES WITH BOOKS: NATIONAL CHILDREN’S

READING CHARITY BOOKTRUST SECURES £17.3 MILLION ARTS

COUNCIL ENGLAND FUNDING


www.booktrust.org.uk | @BookTrust | #Booktrust |


LEEDS, 4th November 2022: BookTrust, Britain’s biggest children’s reading charity, has secured £17.3m funding from Arts Council England (ACE) over 3 years to help transform the lives of disadvantaged and vulnerable children through supporting them on their reading journey. 

The charity, which works with millions of children in every local authority in the country, has become one of ACE’s National Portfolio Organisations in recognition of the vital role that a regular reading habit plays in boosting creativity. The ACE funding will allow BookTrust to continue to work at scale to transform the lives of children and families. 

BookTrust’s new status as an NPO is an endorsement of the transformative power of reading and an investment in the creative development of young people. Research shows that children who read regularly, and by choice, achieve greater social mobility and score higher on measures of creativity, empathy, school attainment and mental wellbeing. 

The funding from ACE will enable BookTrust to continue its BookStart Baby programme, which provides books for every new-born in the country, and to work with low-income families and children in care to nurture a regular reading habit. Its Early Years Bookstart programme will reach 425,000 low-income families with books, activity resources and tips. 

With a new strategy that has a strong focus on supporting the most disadvantaged and vulnerable children across the UK, BookTrust’s research-backed programmes are delivered through local charities, children’s centres, libraries and schools across the country. BookTrust will create opportunities for more targeted interventions at different stages of a child’s development, to increase their access to support that is designed to ignite a love of reading that will benefit them for the rest of their life. 

BookTrust’s programmes are informed by extensive research on the interventions, resources and support that are most effective for establishing regular reading habits. As a learning organisation, BookTrust will continue to test, pilot, and refine new approaches for putting its research into practice and developing new insights that will benefit children’s lives. 

Diana Gerald, CEO of BookTrust, says: ‘I am delighted that this grant will enable BookTrust to continue to foster a love of reading in millions of children up and down the country in the coming years. We know that there are lifelong benefits from becoming a regular reader and that it is never too early to start. This investment in the futures of our children and in their imaginations is more vital than ever as families face bleak winters and tough spending choices.’

ENDS

NOTES TO EDITORS

Press Contact 

Please contact our press office for further information and interviews

requests: press@booktrust.org.uk 

Images available upon request


About BookTrust 

BookTrust is dedicated to getting children reading because we know that children who read are happier, healthier, more empathetic and more creative. Their early language development is supported and they also do better at school. We are the UK’s largest children’s reading charity; each year we reach more than 2 million children across the UK with books, resources and support to help develop a love of reading, BookTrust’s work is closely informed by proprietary and 3rd party research on reading and family behaviour. Our Patron is HRH The Queen Consort and our President is the children’s author Sir Michael Morpurgo OBE booktrust.org.uk. 

출처 https://cdn.booktrust.org.uk/globalassets/resources/press-releases/2022/booktrust-awarded-17.3m-and-recognised-as-national-portfolio-organisation-by-arts-council-england.pdf?_gl=1*3ugrc3*_ga*NDQwMDk2ODE3LjE2Njc3ODA1OTA.*_ga_42ZTZWFX8W*MTY2Nzc4MDU5MC4xLjAuMTY2Nzc4MDU5MC4wLjAuMA..

Martha Hickson의 CNN 칼럼, 2022년 10월 31일, 미국 학교도서관, 검열반대 운동

 Martha HicksonCNN 칼럼, 20221031, 미국 학교도서관, 검열반대 운동 

https://edition.cnn.com/2022/10/31/opinions/school-libraries-banned-books-lgbtq-hickson/index.html 

Editor’s Note: This essay is part of the CNN Opinion series “America’s Future Starts Now,” in which people share how they have been affected by the biggest issues facing the nation and experts offer their proposed solutions. Martha Hickson is the recipient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s 2022 Lemony Snicket Prize for Noble Librarians Faced With Adversity and the National Coalition Against Censorship’s Outstanding Librarian Award for her work defending the right to read. The opinions expressed in this commentary are her own. Read more opinion at CNN. 

CNN

In September 2021, protesters ambushed the board meeting of the New Jersey school district where I have worked as a high school librarian since 2005. The protesters railed against “Gender Queer,” a memoir in graphic novel form by Maia Kobabe, and “Lawn Boy,” a coming-of-age novel by Jonathan Evison. They spewed selected sentences from the Evison book, while brandishing isolated images from Kobabe’s. 

Next, they attacked Banned Books Week, an annual event celebrating the freedom to read. The protesters characterized it as a nefarious plot to lure kids to degradation. 

But the real sucker punch came when one protester branded me a pedophile, pornographer and groomer of children. After a successful career, with retirement on the horizon, to be cast as a villain was heartbreaking. 

Even worse was the response from my employer crickets. The board sat in silence that night, and for the next five months refused to utter a word in my defense. 

For months now, news broadcasts and social media have featured scenes of once-sedate board of education meetings now as action-packed as professional wrestling matches. Parents, faces red with wrath, scream in objection to library books. Often their outrage includes trash talk about librarians and board members. 

These smackdowns aren’t isolated incidents. In a coordinated campaign, groups with extreme agendas have attacked libraries nationwide. Between January and August of this year,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recorded 681 challenges against 1,651 books, setting a pace to shatter last year’s record 729 challenges. 

For me, these aren’t just statistics, but the scorecard for the worst year of my working life. 

The protesters eventually filed formal challenges against five books, all with LGBTQ+ themes, labeling them pornographic: “Gender Queer,” “Lawn Boy,” “All Boys Aren’t Blue” by George M. Johnson, “Fun Home” by Alison Bechdel and “This Book is Gay” by Juno Dawson. 

Amid the controversy, some colleagues shunned me. Students who were allied with the protesters hid books about gender and sexuality. Hate mail arrived at my school email address, while trolls attacked me on social media. The protesters even attempted to file criminal charges with local law enforcement. 

The library that served as a safe space for students now felt unsafe for me. Yet I continued to plug away, teaching information literacy classes, creating programs, and consulting with students until October of last year, when I experienced what I now know was a stress-induced collapse. When I saw my personal physician the next day, she ordered my removal from the workplace, prescribed anxiety medication and referred me to a therapist. 

The first few weeks of therapy were difficult. Despair consumed me to the point that when the therapist asked, “Have you had thoughts about killing yourself?” I tearfully admitted that I went to bed nightly wishing that I wouldn’t wake up. 

The suffering was not mine alone. Under normal conditions, our library provides a calming oasis for students. Beyond books and research resources, we offer relaxing activities and a soothing atmosphere that satisfies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needs. While I was under attack, however, the library program languished. No new books, no displays, no craft projects, no research instruction, no librarian for a friendly chat. 

Counselors later reported that students expressed fear for my welfare. Worst of all, LGBTQ+ students endured increased slurs, intimidation and even death threats from bullies emboldened by the behavior of intolerant parents. 

Throughout the stand-off, book banners claimed, “It’s not a ban. The books are still available at the public library or Amazon.” But the kid with questions about gender or sexuality may not have transportation to the library and likely doesn’t have a credit card for online ordering. And for teens living in a home hostile to gender or sexual diversity, the school library may be the only safe space to explore these topics and develop the vocabulary for deeper conversations. 

That’s why, when I returned to work, I remained determined as ever to save the books. 

A reconsideration committee had begun meeting to evaluate each title. Hundreds of supportive community members, including dozens of students, had flocked to the October and November board meetings to take down the book banners. By January, the reconsideration committee had submitted its report to the board, which voted to retain all five books. 

The four-month grudge match had cost the district thousands of dollars in meeting time and salaries by my estimate, distressed vulnerable students, ruptured professional ties, robbed me of my health and created a fissure within the community that has yet to heal. In fact, three of the protesters are now running for board seats, further dividing the community. 

Although the board delivered a terse statement in February confirming that the claims against me were “unfounded,” relationships with administrators remain tense. My motivation has ebbed. I’m no longer willing to go above and beyond for an organization that wouldn’t provide basic protections for me. 

In the broader context, though, I’m lucky. Colleagues around the country are grappling with far worse. Suzette Baker, a public librarian in Texas, says she lost her job after refusing her manager’s order to remove LGBTQ+ books. Amanda Jones, a Louisiana school librarian, filed a defamation suit to stop the online harassment leveled against her after she spoke out against censorship. And the Patmos Library in Jamestown Township, Michigan lost its tax funding over its inclusion of LGBTQ+ titles. It’s no wonder that authors’ advocacy group PEN America calls the current educational climate the “Ed Scare.” 

The allusion to the McCarthy era’s Red Scare is apt. As then, the current censorship wave is accompanied by legislation designed to restrict access to information. In its recent “Educational Gag Orders” report, PEN America found that between January and September, 24 state legislatures introduced 54 restrictive bills, the majority of which “target discussions of race, racism, gender, and American history” in K-12 schools, public universities and workplaces. 

Despite the nationwide sweep of censorship, a September EveryLibrary Institute survey found that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voters strongly oppose book banning.” 

To quell the intellectual insurrection, that mainstream majority must take a stand: 

1. Join UniteAgainstBookBans.org, an anti-censorship coalition launched by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 Show up and speak up at board of education and public library board meetings. 

3. Donate to organizations that defend the right to read. 

4. Vote for candidates who oppose censorship, when board of education seats are on the ballot. 

Sitting on the sidelines and sympathizing with lambasted librarians is not enough. Community members must take action to pin book banners to the mat. Otherwise, the First Amendment will be down for the count.

2022년 11월 1일 화요일

제9회 대한민국 독서경영 우수 직장 인증제 심사평, 서울경제 2022년 10월 27일

[독서경영-심사평]"책과 거리 좁힌 회사들해당 분야서 성과 뚜렷"

안찬수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상임이사 

독서경영 우수 직장 인증제가 올해로 9회째를 맞이했습니다. 독서경영 심사 현장을 방문했을 때 많은 기업·기관·단체들이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독서경영을 실행하는 열정과 노력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는 점에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차별적이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독서경영을 추진하는 곳들은 각 분야에서 뚜렷한 경영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들은 독서경영을 통해 구성원들의 능력 향상을 꾀하고 조직의 소통을 더욱 활발하게 하면서 더 나은 제품 생산과 서비스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독서경영을 하나의 문화로 정착시킨 기업·기관·단체 들은 모두 그 분야를 선도해나가는 곳이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올해 심사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인증제의 심사 준비와 절차 등이 정교하고 신중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독서계, 경제 경영계 분야의 전문가 분들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공정하게 심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인증을 신청한 신규 기관에 대해서는 현장 확인을 통해 검증했습니다. 1차 서류심사, 2차 현장심사, 그리고 3차 최종심사 과정을 거쳐 심층적인 심사가 되도록 노력했습니다.

독서경영은 단순히 구성원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조직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경영전략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차원에서 대한민국 독서경영 우수 직장 인증제는 분명히 하나의 정책과 제도로써 뿌리를 내렸고,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해서 말씀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이번에 대상과 최우수상, 우수상을 수상하신 기관과 인증을 받으신 기관에 축하 말씀을 드립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CIIN8MZZ

2022년 10월 21일 금요일

도서관법 시행령 전부개정령안과 관련하여, 어린이와작은도서관협회 통신문에서, 2022년 10월 21일

도서관법 시행령 전부개정령안과 관련하여, 어린이와작은도서관협회 통신문에서, 2022년 10월 21일 

지난 9월 6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입법예고한 「도서관법 시행령」 전부개정령안에서 작은도서관 관련 단체 및 현장은 작은도서관 관련 문제 조항을 발견했습니다. 이에 작은도서관은 작은도서관의 정체성을 뒤흔드는 독소조항의 심각함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이용자들과 함께 반대 서명운동을 진행했습니다. 또한, (사)어린이와 작은도서관협회와 (사)한국작은도서관협회는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책기획단과의 면담을 진행하여 조항의 문제점을 공식적으로 제기하고, 해결할 것을 공식요청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문화체육관광부는 문제가 되는 조항을 아래와 같은 이유로 삭제하겠다는 공식답변을 보내왔습니다.

 

<수용>

ㅇ 작은도서관이 등록의무대상에서 제외된 것이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에게 등록 및 지원 배제로 오인될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함.

ㅇ 법 제36조제3항에서는 ‘일정 규모 이하의 공공도서관’은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고 되어 있으나, ‘일정 규모 이하의 공공도서관’이 의미하는 바가 ‘특정 규모’에 있는지 ‘작은도서관’을 의미하는지 해석상의 이견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함.

ㅇ 이에 수정안을 수용함.


<수정수용>

ㅇ ‘사립 작은도서관’ 기준의 폐지가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에게는 등록 및 지원 배제로 오인되고, 지자체에는 등록업무의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에 동의함

ㅇ 다만, 작은도서관 기준 상향에 있어 ‘사립 작은도서관’에까지 상향된 기준을 강제하기에는 작은도서관 관련자를 대상으로한 광범위한 의견수렴 및 동의의 절차가 없었음

ㅇ 이에, ‘사립 작은도서관’을 포함한 작은도서관의 기준을 시행령상에 명시하되 현행 기준을 유지하는 안으로 수정함


<수정안>

  다작은도서관

※ 비고

  1. (현행과 같음)
  2. <삭 제>

 

위와 같이 결정이 났지만 앞으로도 논의할 내용이 많습니다. 국민의 독서문화증진을 중심에 둔 가장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해온 작은도서관은 앞으로도 본연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관심과 응원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0월 11일 화요일

예술, 인문학, 박물관, 도서관 서비스 진흥에 관한 대통령령Executive Order on Promoting the Arts, the Humanities, and Museum and Library Services

 예술, 인문학, 박물관, 도서관 서비스 진흥에 관한 대통령령 Executive Order on Promoting the Arts, the Humanities, and Museum and Library Services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은, 2022년 9월 30일(현지시간), <예술, 인문학, 박물관, 도서관 서비스 진흥에 관한 대통령령>을 발표했습니다. “미국의 헌법과 법률에 의해 대통령으로서 나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대통령령은 "예술, 인문학, 박물관, 도서관 서비스는 우리 국가의 웰빙, 건강, 활력, 민주주의에 필수적이며, 미국의 다문화적이고 민주적인 경험을 반영하는 미국의 영혼"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대통령령은 "예술과 인문학에 관한 대통령 위원회"The President’s Committee on the Arts and the Humanities. 구성을 주요한 내용으로 담고 있습니다.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presidential-actions/2022/09/30/executive-order-on-promoting-the-arts-the-humanities-and-museum-and-library-services/

라이브러리 티티섬

라이브러리 티티섬

아마도 이 기사가 '티티섬'과 관련하여 가장 소상한 기사일 듯싶습니다. '영자'의 노고에 감사하며... 더 많은 어린이 청소년 '용자'들에게 응원을!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10101515031?fbclid=IwAR1nCfZ84J1z10hlz_osXitlh-nspaojCv84WHYd8RLEOlxBb18YynUiUmg

2022년 9월 7일 수요일

교육과정과 한 권 읽기

교육과정과 한 권 읽기

국어과 교육과정 내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아, 국어 교사 등을 중심으로 다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논의가 일고 있으며 독서출판계는 거꾸로 정책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한권 읽기’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 제시되어 2018년부터 실시되고 있습니다.
------------------------------

https://han.gl/gFuLy

문해력 문제라면서국어 교과 한 권 읽기빼나 

교육 현장뿐 아니라 독서·출판계로부터도 환영받아온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 내 한 학기 한권 읽기’(‘한권 읽기’) 개념이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아, 국어 교사들을 중심으로 이를 다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한권 읽기는 문제풀이를 위한 쪽글 읽기가 아닌 책 한권을 온전히 읽고 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국어 수업과 독서를 연계시킨 것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 제시되어 2018년부터 교육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교육부가 의견 수렴을 위해 개설한 국민참여소통채널에 올려진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 가운데 국어과 관련 내용을 보면, “한권의 책을 완독”, “한 학기에 적어도 한 편의 글을 농동적으로 읽는 경험등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권 읽기와 관련된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예컨대 현행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5~6학년 읽기영역에서 자신의 읽기 습관을 점검하며 스스로 글을 찾아 읽는 태도를 지닌다는 성취 기준을 제시하고, 평가방법 가운데 하나로 한권의 책을 완독하는 습관을 제시한다. ‘교수학습 및 평가에서는 한 학기에 한권, 학년 수준과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책을 긴 호흡으로 읽을 수 있도록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시안에서는 이처럼 한권의 책을 오롯이 읽는다는 뜻을 담은 표현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 전통적인 문어 자료인 책이나 글 이외에도 학습자들이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 자료를 읽기의 대상으로 읽기 능력을 기르도록 지도한다한권의 책이 아닌 다양한 매체, 자료, 디지털 기반 등이 좀 더 강조되는 모양새다. 시안을 개발한 연구진 가운데 한 명은 “2015 개정 때에는 한 학기 한권 읽기라는 데 방점이 뚜렷하게 찍혔다면, 이번 개정에서는 전반적으로 미디어, 매체 역량을 좀 더 강조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에 국민참여소통채널에는 “‘한권 읽기교육과정 축소 절대 반대한다”, “한 번 만들어진 문화의 흐름을 꺽지 말아 달라”, “‘한권 읽기는 영상 매체에 점점 빠지는 학생들이 그나마 책을 접하고 문해력을 키울 수 있는 소중한 기회한권 읽기를 다시 반영해달라는 글들이 잇따라 달리고 있다. 교육과정으로 제시된 한권 읽기로 그나마 학생들이 온전한 독서경험을 누리며 문해력과 주체적인 사고력을 높일 기회를 누릴 수 있었는데, 이를 없애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다. 송승훈 의정부광동고 교사는 “‘한권 읽기는 교사 76%로부터 지지를 받는 등 현장에서 가장 호응이 좋았던 교육 정책으로 꼽힌다. 현재 시안대로 간다면, ‘문해력이 문제라면서 거꾸로 가는 정책이 되고 말 것이라 비판했다. 백원근 책과사회연구소 대표는 “‘한권 읽기는 출판계에도 좋은 영향을 끼친, 독서 관련해 가장 성공적인 정책으로 꼽히는데, 그런 정책의 성과가 형해화되어선 안된다고 짚었다. 

시안 개발에 참여한 연구진 가운데 한 명은 현재 시안은 국민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만든 것일 뿐, 특정한 방향이 정해지거나 확정된 것은 없다. 앞으로 관련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참여소통채널을 통한 의견 수렴은 오는 13일까지이며, 이후 공청회 등의 절차를 거쳐 연말까지 수정안이 마련될 전망이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2022년 8월 30일 화요일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의 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정의 Museum Definition

박물관 정의 Museum Definition

2022824일 프라하에서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의 특별 총회는 92,41%로 새로운 박물관 정의에 대한 제안을 승인했습니다(찬성: 487, 반대: 23, 기권: 17). 국제박물관협의회가 새롭게 규정한 박물관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박물관은 유형 및 무형 유산을 연구, 수집, 보존, 해석, 전시하는, 사회에 봉사하는 비영리 영구 기관입니다. 대중에게 개방되고 접근 가능하고 포괄적인 박물관은 다양성과 지속 가능성을 촉진합니다. 박물관은 교육, 즐거움, 성찰, 지식 공유를 위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면서, 윤리적으로, 전문적으로 그리고 지역 사회의 참여로 운영하고 의사 소통합니다.” 

“A museum is a not-for-profit, permanent institution in the service of society that researches, collects, conserves, interprets and exhibits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Open to the public, accessible and inclusive, museums foster diversity and sustainability. They operate and communicate ethically, professionally and with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ies, offering varied experiences for education, enjoyment, reflection and knowledge sharing.”

https://icom.museum/en/resources/standards-guidelines/museum-definition/

올해 3년 만에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총회에서 새로 채택된 정의는 기존 비영리(non-profit)라는 단어를 비영리 추구(not-for-profit)로 완화하는 대신, 다양성과 윤리성을 강조했다. 즐거움(enjoyment) 제공의 기능이 복권된 것도 주목할 지점이다

https://www.msn.com/ko-kr/news/living/15%EB%85%84%EB%A7%8C%EC%97%90-%EB%B0%94%EB%80%90-%EB%B0%95%EB%AC%BC%EA%B4%80-%EC%A0%95%EC%9D%98-%EB%8B%A4%EC%96%91%EC%84%B1-%EC%A6%90%EA%B1%B0%EC%9B%80-%EC%9D%B4-%EC%B6%94%EA%B0%80%EB%90%90%EB%8B%A4/ar-AA11bCH3

https://www.chosun.com/culture-life/art-gallery/2022/08/28/6KSD57KZZRFT5M4AIX3HGLBICI/

“A museum is a non-profit making, permanent institution in the service of the society and its development, and open to the public, which acquires, conserves, researches, communicates, and exhibits, for purposes of study, education and enjoyment, material evidence of man and his environment.”-1974년 박물관 정의

A museum is a non-profit, permanent institution in the service of society and its development, open to the public, which acquires, conserves, researches, communicates and exhibit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nd its environment for the purposes of education, study and enjoyment.-2007년 박물관 정의

“A museum is a not-for-profit, permanent institution in the service of society that researches, collects, conserves, interprets and exhibits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Open to the public, accessible and inclusive, museums foster diversity and sustainability. They operate and communicate ethically, professionally and with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ies, offering varied experiences for education, enjoyment, reflection and knowledge sharing.”-2022년 박물관 새 정의




2022년 8월 3일 수요일

일본 도서관문제연구회, 도서관법 개정 요구, 사서 배치 문제

일본 공공도서관(일본에서는 공립도서관이라 부르고 있습니다)은 외형적으로는 발전한 것처럼 보여도, 안으로는 곪고 있는데, 다른 무엇보다도 사서 배치가 문제의 핵심입니다. 도서관문제연구회図書館問題研究会는 도서관법을 개정하여 공립도서관에 사서를 반드시 배치하여야 한다는 요구문을 발표하여 누리집(홈페이지)에 게재하였습니다. 이는 2022718일 제68회 도서관문제연구회전국대회에서 발표한 것이라 합니다.

----------------------------

호소문 : 도서관법을 개정하여 공립도서관에 사서의 필치必置를 요구합니다


2022718

68회 도서관 문제 연구회 전국 대회

1950년에 도서관법図書館法이 성립해 제4조에 도서관에 두는 전문적 직원을 사서 및 사서보라고 칭한다.図書館かれる専門的職員司書及司書補する라고 하여여 전문직으로서의 사서가 자리매김되었습니다. 

그러나, 13(직원)에서 교육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전문적 직원, 사무 직원 및 기술 직원을 둔다.教育委員会必要める専門的職員事務職員及技術職員라고 되었습니다. 이 조문에 따라 자치체에 따라서는 교육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지 않으면 전문적 직원을 두지 않는다는 잘못된 해석도 이루어지게 되고, 사서 유자격자가 없는 공립도서관도 있습니다. 또 사서 유자격자를 임용해, 전문 업무에 종사시켜도 직명 사서로서는 임용·발령하지 않는 지자체가 다수 있어, 지자체의 전문직으로서의 자리매김이나 인재 육성의 면에서 매우 취약한 입장에 두기 있어요. 

또한, 관장에 대해서는 사서 유자격자 요건이, 공립도서관 건설 보조금의 폐지와 함께 도서관법으로부터 삭제되고 있습니다. 

이대로의 상태가 계속되면 공립도서관을 지지하는 정규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의 존속마저도 위험해집니다. 도서관의 전문직으로서의 사서는 장기적인 경험을 필요로 하는 직업입니다. 

또 도서관은 국민의 자유로운 교육과 문화를 지지하는 중요한 공공기관으로서, 지자체가 스스로의 직원으로 운영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우리는 사서의 필치司書必置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이 도서관법의 개정을 요구합니다. 

 1. 공립도서관에 관장 및 전문적 직원으로서 사서·사서보를 둔다.

 2. 관장이 되려면 사서로서 근무한 경험을 가져야 한다.


https://tomonken.org/statement/library_act/

 

사서교사 정원 확보 촉구 기자회견ㅡ2022년 8월 3일 오전10시, 세종시 행정안전부 제1별관 앞

사서교사 정원 확보 촉구 기자회견ㅡ2022년 8월 3일 오전10시, 세종시 행정안전부 제1별관 앞


학교도서관은 가르침과 배움의 중심입니다. 학교도서관을 담당하는 사서교사 배치 정원을 동결하려는 새 정부의 정책을 비판하고 학교도서관진흥법과 기본계획에 따라 사서교사를 배치하여야 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The school library is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A press conference was held to criticize the new government's policy of freezing the quota of librarians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and to urge that librarians be as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and the Basic Plan.

*기자회견 내용은 한국도서관협회 유투브 채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Details of the press conference can be found on the YouTube channel of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https://www.youtube.com/watch?v=OQxZFHT88y8

2022년 7월 29일 금요일

IFLA/UNESCO 공공도서관 선언 2022 (IFLA/UNESCO Manifesto for the Public Library 2022)

IFLA/UNESCO 공공도서관 선언 2022

IFLA/UNESCO Manifesto for the Public Library 2022

 

2022727,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IFLA/UNESCO 공공도서관 선언>의 개정판을 세계도서관정보회의(WLIC): 87회 국제도서관협회연맹 연차대회에서 발표했습니다. 

IFLA/UNESCO 공공도서관 선언 2022(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2022)는 공공도서관이 교육, 문화, 정보의 살아있는 힘이자 세계의 평화와 웰빙 증진을 위한 필수 주체로서의 유네스코의 신념을 선언합니다.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제87회 세계도서관정보대회에서 발표된 이 새로운 선언은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재검토하고 이전 버전을 확장하여 오늘날 도서관이 지역 사회에 봉사하는 방식을 더 자세히 반영합니다. 1994년에 발행된 가장 최신 버전의 선언문은 오랫동안 IFLA의 공공도서관 옹호의 초석이었으나 선언문이 오늘날 공공도서관의 현실과 사명을 계속 반영하도록 하려면 기술과 사회의 변화를 포함해야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020IFLA는 도서관인들이 변화에 참여할 수 있는 상담을 시작했습니다. 이듬해 IFLA600개 이상의 답변을 수집한 후 유네스코와 협력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정보와 지식에 대한 접근을 촉진하기 위한 유네스코의 작업과 일치하는 새로운 텍스트를 작성했습니다. 

----------------

IFLA/UNESCO 공공도서관 선언 2022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2022 

자유, 번영, 사회와 개인의 발전은 인간의 기본적인 가치입니다. 그것들은 지식이 풍부한 시민이 민주적 권리를 행사하고 사회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습니다. 건설적인 참여와 민주주의의 발전은 지식, 사상, 문화 및 정보에 대한 자유롭고 무제한적인 접근뿐 아니라 만족스러운 교육에 달려 있습니다.

Freedom, prosperity and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of individuals are fundamental human values. They will only be attained through the ability of well-informed citizens to exercise their democratic rights and to play an active role in society. Constructive participation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depend on satisfactory education as well as on free and unlimited access to knowledge, thought, culture and information. 

지식의 지역 관문인 공공도서관은 평생 학습, 독립적인 의사 결정 및 개인 및 사회 집단의 문화적 발전을 위한 기본 조건을 제공합니다. 그것은 상업적, 기술적 또는 법적 장벽 없이 과학 및 지역 지식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지식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강한 지식 사회를 뒷받침합니다.

The public library, the local gateway to knowledge, provides a basic condition for lifelong learning, independent decision- making and cultural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and social groups. It underpins healthy knowledge societies through providing access to and enabling the creation and sharing of knowledge of all sorts, including scientific and local knowledge without commercial, technological or legal barriers. 

모든 국가에서,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도서관은 교육에 대한 권리와 지식 사회와 지역 사회의 문화 생활에 참여할 권리에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In every nation, but especially in the developing world, libraries help ensure that the rights to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knowledge societies and in the cultural life of the community are accessible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이 선언문은 교육, 문화, 포용 및 정보의 살아있는 힘, 지속 가능한 개발의 필수 대리인, 그리고 모든 개인의 마음을 통한 개인의 평화 및 영적 복지 실현을 위한 공공도서관에 대한 유네스코의 믿음을 선언합니다.

This Manifesto proclaims UNESCO's belief in the public library as a living force for education, culture, inclusion and information, as an essential ag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or individual fulfilment of peace and spiritual welfare through the minds of all individuals. 

따라서 유네스코는 국가 및 지방 정부가 공공도서관의 발전을 지원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권장합니다.

UNESCO therefore encourage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support and actively engage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The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은 정보의 지역 센터이며 모든 종류의 지식과 정보를 이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것은 지식 사회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모든 사람들에게 정보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을 제공하고 의미 있는 정보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에 지속적으로 적응합니다. 지식 생산, 정보 및 문화 공유 및 교환, 시민 참여 촉진을 위해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The public library is the local centre of information, making all kind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adily available to its users. It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knowledge societies, continuously adapting to new means of communication to fulfil their mandate of providing universal access to and enabling meaningful use of information for all people. It provides publicly accessible space for the production of knowledge, sharing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nd culture, and promotion of civic engagement. 

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창시자로서 새로운 청중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효과적인 경청을 통해 지역의 요구를 충족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서비스 설계를 지원합니다. 대중은 도서관에 대한 신뢰를 갖고 있으며, 그 대가로 공공도서관의 야망은 지역 사회에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인식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Libraries are creators of community, proactively reaching out to new audiences and using effective listening to support the design of services that meet local need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quality of life. The public has trust in their library, and in return, it is the ambition of the public library to proactively keep their community informed and aware.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는 연령, 민족, 성별, 종교, 국적, 언어, 사회적 지위 및 기타 특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접근을 기반으로 제공됩니다. 특정 서비스 및 자료는 어떤 이유로든 정규 서비스 및 자료를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 언어 소수자, 장애인, 디지털 또는 컴퓨터 기술 부족, 문맹 퇴치 능력 부족 또는 병원 또는 감옥에 있는 사람들)를 위해 제공되어야 합니다.

The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y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equality of access for all, regardless of age, ethnicity, gender, religion, nationality, language, social status, and any other characteristic. Specific services and materials must be provided for those users who cannot, for whatever reason, use the regular services and materials, for example linguistic minorities, people with disabilities, poor digital or computer skills, poor literacy abilities or people in hospital or prison.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은 자신의 필요와 관련된 자료를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컬렉션과 서비스에는 모든 유형의 적절한 미디어와 현대 기술 및 전통 자료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고품질, 현지 필요 및 조건과의 관련성, 지역 사회의 언어 및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자료는 인간의 노력과 상상력의 기억뿐만 아니라 현재의 경향과 사회의 진화를 반영해야 합니다.

All age groups must find material relevant to their needs. Collections and services have to include all types of appropriate media and modern technologies as well as traditional materials. High quality, relevance to local needs and conditions, and reflective of the language and cultural diversity of the community are fundamental.

Material must reflect current trends and the evolution of society, as well as the memory of human endeavour and imagination. 

컬렉션과 서비스는 어떤 형태의 이념적, 정치적, 종교적 검열이나 상업적 압력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Collections and services should not be subject to any form of ideological, political or religious censorship, nor commercial pressures.

 

공공도서관의 사명

Missions of the Public Library 

정보, 문해력, 교육, 포괄성, 시민 참여 및 문화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주요 임무는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핵심이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주요 임무를 통해 공공도서관은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와 보다 평등하고 인도적이며 지속 가능한 사회 건설에 기여합니다.

The following key missions which relate to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clusivity, civic participation and culture should be at the core of public library services. Through these key missions, public libraries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construction of more equitable, humane, and sustainable societies. 

*검열이 없는 광범위한 정보와 아이디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모든 수준의 공식 및 비공식 교육과 평생 학습을 지원하여 삶의 모든 단계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지속적이고 자발적이며 자기 주도적인 지식 검색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viding access to a broad range of information and ideas free from censorship, supporting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at all levels as well as lifelong learning enabling the ongoing, voluntary and selfconducted pursuit of knowledge for people at all stages of life; 

*개인의 창의적 개발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상상력, 창의성, 호기심 및 공감을 자극합니다.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ersonal creative development, and stimulating imagination, creativity, curiosity, and empathy; 

*출생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어린이의 독서 습관을 만들고 강화합니다.

creating and strengthening reading habits in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 

*정보에 입각한 민주적 사회를 준비한다는 정신으로 모든 연령대의 모든 사람들을 위해 읽기 및 쓰기 기술을 개발하고 미디어 및 정보 활용 능력 및 디지털 활용 능력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문해 활동 및 프로그램을 시작, 지원 및 참여합니다.

initiating, supporting and participating in literacy activities and programmes to build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skills for all people at all ages, in the spirit of equipping an informed, democratic society; 

*가능한 한 정보, 컬렉션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직접 또는 원격으로 지역사회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providing services to their communities both in-person and remotely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allowing access to information, collections, and programmes whenever possible; 

*사회 구조의 핵심에서 도서관의 역할을 인식하여 모든 사람들이 모든 종류의 지역사회 정보와 지역사회를 위한 기회에 대한 접근을 보장합니다.

ensuring access for all people to all sorts of community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for community organising, in recognition of the library’s role at the core of the social fabric; 

*이용자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 결과 및 건강 정보와 같은 과학적 지식에 대한 접근을 지역사회에 제공하고 과학적 진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viding their communities with access to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research results and health information that can impact the lives of their users, as well as enabling participation in scientific progress; 

*지역의 회사, 협회 및 이익 단체에 적절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providing adequate information services to local enterprises, associations and interest groups; 

*지역사회가 원하는 대로 캡처, 보존 및 공유해야 하는 자료를 식별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지역 및 토착 데이터, 지식 및 유산(구전 전통 포함)을 보존하고 이에 대한 지역사회의 접근을 제공합니다.

preservation of, and access to, local and Indigenous data, knowledge, and heritage (including oral tradition),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local community can take an active role in identifying materials to be captured, preserved and shared,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ty's wishes; 

*문화 간 대화를 촉진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촉진합니다.

fostering inter-cultural dialogue and favouring cultural diversity; 

*디지털화된 자료나 처음부터 디지털로 만들어진 자료뿐만 아니라 전통 매체로 표현되는 문화적 표현과 유산의 보존 및 의미 있는 접근, 예술 감상, 과학적 지식에 대한 개방적 접근, 연구 및 혁신을 촉진합니다.

promoting preservation of and meaningful access to cultural expressions and heritage, appreciation of the arts, open access to scientific knowledge, research and innovations, as expressed in traditional media, as well as digitised and born-digital material.

 

자금, 법률 및 네트워크

Funding, legislation and networks 

공공도서관 건물 및 서비스 이용은 원칙적으로 무료입니다. 공공도서관은 지역 및 국가 당국의 책임입니다. 이는 국제 조약 및 협정에 부합하는 구체적이고 업데이트된 법률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국가 및 지방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문화, 정보 제공, 문맹 퇴치 및 교육을 위한 모든 장기 전략의 필수 구성 요소여야 합니다.

Access to the public library building and services shall in principle be free of charge. The public library is the responsibility of local and national authorities. It must be supported by specific and updated legislation aligned to international treaties and agreements. It must be financed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It has to be an essential component of any long-term strategy for culture, information provision, literacies and education. 

디지털 시대에 저작권 및 지적 재산권 법률은 공공도서관이 물리적 자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합리적인 조건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조달하고 액세스할 수 있는 동일한 능력을 보장해야 합니다.

In the digital era, copyright and intellectual property legislation must ensure public libraries the same capacity to procure and give access to digital content on reasonable terms as is the case with physical resources. 

전국적인 도서관 조정 및 협력을 보장하기 위해 법률 및 전략 계획은 또한 합의된 서비스 표준을 기반으로 국가 도서관 네트워크를 정의하고 촉진해야 합니다.

To ensure nationwide library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legislation and strategic plans must also define and promote a national library network based on agreed standards of service.

공공도서관 네트워크는 학교, 대학의 도서관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 연구 및 특수 도서관과 관련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The public library network must be designed in relation to national, regional, research and special libraries as well as libraries in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운영 및 관리

Operation and management 

명확한 정책이 수립되어 지역 사회의 필요와 관련하여 목표, 우선 순위 및 서비스를 정의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지식과 지역 사회 참여의 중요성은 중요하며 지역 사회는 의사 결정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A clear policy must be formulated, defining objectives, priorities and services in relation to the local community needs. The importance of local knowledge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s valuable to this process,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be included in decision-making. 

공공도서관은 효율적으로 조직되어야 하고 전문적인 운영기준이 유지되어야 한다.

The public library has to be organized effectively and professional standards of operation must be maintained. 

서비스는 커뮤니티의 모든 구성원이 물리적으로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위치와 시설을 갖춘 도서관 건물, 훌륭한 독서 및 학습 시설, 관련 기술 및 사용자에게 편리한 충분한 개방 시간이 필요합니다. 도서관을 방문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도 의미합니다.

Services have to be physically or digitally accessible to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This requires well situated and equipped library buildings, good reading and study facilities, as well as relevant technologies and sufficient opening hours convenient to the users. It equally implies outreach services for those unable to visit the library. 

도서관 서비스는 농촌과 도시 지역 사회의 다양한 요구뿐만 아니라 소외된 그룹, 특별한 요구가 있는 사용자, 다국어 사용자 및 지역사회 내 원주민의 요구에 맞게 조정되어야 합니다.

The library services must be adapted to the different needs of communities in rural and urban areas, as well as to the needs of marginalized groups, users with special needs, multilingual users, and Indigenous Peoples within the community. 

사서는 디지털과 기존의 사용자와 자원 사이의 적극적인 중개자입니다. 현재와 미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분한 인적, 물적 자원과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사서 교육은 적절한 서비스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충분한 자원의 양적 및 질적 정의에 대해 도서관 전문가와 지도부가 협의해야 합니다.

The librarian is an active intermediary between users and resources, both digital and traditional. Suffici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s well as professional and continuing education of the librarian, to meet the challenges for now and in the future, are indispensable to ensure adequate services. Consultation by leadership with library professionals as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finition of sufficient resources should be undertaken. 

사용자가 모든 리소스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및 사용자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진행 중인 연구는 정책 입안자들에게 도서관의 사회적 이익을 입증하기 위해 도서관 영향을 평가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통계 데이터는 장기적으로 수집되어야 합니다. 사회 내에서 도서관의 이점은 종종 다음 세대에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Outreach and user education programmes have to be provided to help users benefit from all the resources. Ongoing research should focus on evaluating library impact and collecting data,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ocietal benefit of libraries to policy makers. Statistical data should be collected long-term, as the benefits of libraries within society are often seen in subsequent generations.

 

파트너십

Partnerships 

도서관이 더 광범위하고 다양한 대중에게 다가가려면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파트너(: 사용자 그룹, 학교, 비정부 조직, 도서관 협회, 기업 및 기타 지역, 지역, 국가 및 국제 수준의 전문가)와의 협력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Establishing partnerships is essential for libraries to reach a broader and more diverse public. Cooperation with relevant partners - for example, user groups, schools,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library associations, businesses, and other professionals at local, regional,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level- has to be ensured.

 

선언문 구현

Implementing the Manifesto 

국가 및 지역 수준의 의사 결정권자와 전 세계의 도서관 커뮤니티는 이에 따라 이 선언문에 표현된 원칙을 이행할 것을 촉구합니다.

Decision makers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and the library community at large, around the world, are hereby urged to implement the principles expressed in this Manifesto.

 

2022718

18 July 2022 

 

https://repository.ifla.org/bitstream/123456789/2006/1/IFLA-UNESCO%20Public%20Library%20Manifesto%202022.pdf

https://www.ifla.org/news/ifla-and-unesco-launch-an-updated-public-library-manifesto-at-the-87th-world-library-and-information-congress-wlic/


참고1

https://repository.ifla.org/bitstream/123456789/2007/1/The%202022%20IFLA-UNESCO%20Public%20Library%20Manifesto%20at%20a%20Glance.pdf

 

참고2

http://transpoet-textcube.blogspot.com/search?q=%EC%9C%A0%EB%84%A4%EC%8A%A4%EC%BD%94+%EA%B3%B5%EA%B3%B5%EB%8F%84%EC%84%9C%EA%B4%80+%EC%84%A0%EC%96%B8

유네스코 공공도서관 선언 1949 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1949

http://transpoet-textcube.blogspot.com/2021/06/1949-unesco-public-library-manifesto.html

IFLA/UNESCO 다문화 도서관 선언

http://transpoet-textcube.blogspot.com/2019/07/iflaunesco.html

공공도서관 선언 25주년

http://transpoet-textcube.blogspot.com/2019/12/2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