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0년 6월 18일 금요일

교과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도입 논란 2

교육과학기술부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 입학사정관 제도와 연계하여 '입시 제도'와 '독서 활동 이력'을 연계하겠다는 내용은 앞의 포스트에서 살펴보았다.

 

거의 모든 매체들이 이에 대해 교육과학기술부의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전달하고 있는데 반해 <세계일보> 이경희 기자의 기사인 '강요된 독서, 학생들에게 도움 안된다'는 이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문제점을 살피고 있다.

 

이경희 기자가 짚어내고 있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질보다 양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부풀리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학은 자료의 신뢰성 문제 때문에 입시에 반영하기 어렵다. 결국 실효성도 없이 교사와 학생의 부담만 늘리는 정책이 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기사의 끝부분에서는 허병두 선생의 인터뷰를 실었다. '획일적인 독서교육이 학교에서 자생적으로 이뤄지는 다양한 독서활동을 막는다"는 것. 그래서 "앞으로 읽고 싶은 책보다 읽어야 하는 책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 분명하고,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

 

‘봉사활동에 이어 이제는 독서까지도 강요할 것인가.’

정부가 올 2학기부터 학생들의 독서내역을 일일이 기록,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키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정확한 독서 기록을 남겨 독서를 장려하고 이를 입시에 반영한다는 취지다. 교육현장에서는 학생 개인 성향에 맞춰 사고력 등을 키우는 자율 독서를 가로막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15일 교육과학시술부에 따르면 최근 시·도 교육청별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www.reading.go.kr)을 구축해 지난 7일 감수를 마친 데 이어 올 2학기부터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학생이 책을 읽고 다양한 독후활동 기록을 남기면 담당교사가 인증해 주는 식으로 이뤄진다. 시스템에 담긴 자료는 학생생활기록부와 연계돼 2011학년도 대입 때부터 전형자료로 활용된다.

교과부는 대입사정관제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 이 같은 방안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입학사정관이 중요하게 보는 요소 중 하나가 독서기록인 만큼 이를 객관적으로 입증해 전형자료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입학사정관이 시스템에 접속해 독서활동 내역을 조회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입학사정관이 학생이 자기소개서에 적은 내용을 바탕으로 면접해 독서 수준을 파악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학생이 자신의 독서활동 내역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해 해당 대학에 제출하면 사정관들이 이 시스템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독서기록을 일일이 남기도록 하면 독서의 질보다 양에 초점이 맞춰져 학생 부담이 늘어나고 책 종류도 입시에 유리한 것으로 한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교사가 일일이 확인해 인증하기도 어려워 ‘부풀리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학들은 자료의 신뢰성 문제를 들어 당장 입시에 반영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결국 실효성도 없이 교사와 학생의 부담만 늘리는 정책이 될 것이란 지적이다.

‘책으로 따스한 세상을 만드는 교사들 모임’의 허병두(숭문고 교사) 대표는 “정부가 강요하는 획일적인 독서교육은 학교에서 자생적으로 이뤄지는 다양한 독서활동을 막는다”며 “앞으로 ‘읽고 싶은 책’보다 ‘읽어야 하는 책’ 중심으로 교육이 이뤄질 게 분명하고,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