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5년 3월 30일 월요일

세계책의수도 인천] 조선왕조실록 품은 왕실도서관 … 전국 최대 규모 인천, 활자의 시대를 열다 - 13. 전등사 정족사고와 조선왕조실록


http://goo.gl/vaslCY
▲ 인천 강화도의 고찰 '전등사' 경내에 있는 '정족사고'는 전국 4대 사고(史庫) 가운데 가장 많은 왕실서적을 보관했던 전국 최고의 사고였다. 전등사 주지인 범우 스님이 지난해 복원한 정족사고를 가리키며 설명을 하고 있다.
<전등사 정족사고> 
실록·서책 등 4000여권 보관 
4대 사고 중 '가장 방대한 양' 
<조선왕조실록> 
'태조~철종 472년역사 기록 
'정족산본' 현재 규장각 보관 



인천 강화도에서 1236~1251년 판각해 150년 간 보관되다가 1398년 합천 해인사로 옮긴 '팔만대장경'의 '출판 인쇄의 역사'는 조선시대로 이어진다. 특히 청나라가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온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 등 전란을 겪으며 강화도의 진가를 확인하면서 여러가지 새로운 시책이 나온다. 그 가운데 하나가 왕조실록 등을 보관하는 사고( 史庫)를 강화도에 설치한 것이다.

중원의 새로운 강자인 청(淸) 나라는 명(明) 나라와 수교하던 조선에게 명과의 국교를 단절하고 신하의 예를 갖출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명과의 의리를 중시한 조선이 이를 거절하자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 왔는데 이게 인조5년에 발발한 정묘호란이다. 이때 조선왕조는 몽골이 쳐들어왔을 때처럼 강화를 임시수도로 삼아 대피한다. 몇 차례의 전란을 겪으며 강화도의 중요성을 알게 된 조선왕조는 강화도에 사고를 설치하기로 결정한다.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사서(史書)는 매우 중요하므로 전쟁이 나도 피해를 입지 않을 곳에 보관했어야 했기 때문이다. 몽골과 청나라의 침입을 방어한 강화도는 왕실의 중요한 서적을 보관하기에 적합했던 것이다.

1659년 강화 유수로 부임한 유심(1608~1667)이란 사람이 있었다. 선조의 외손자인 그는 1660년 강화가 지리적으로 외적의 침입을 피해기에 적합한 곳이라며 왕실 세보와 문적, 실록 등을 전등사 경내로 옮기는 게 좋겠다고 조정에 건의한다. 오랫동안 그의 보고서를 검토한 조정은 1678년(숙종4) '전주사고'에 보관했던 책을 정족산 사고에 보관하기로 결정한다.

'정족사고'는 전등사 경내에 위치했다. 정족사고를 품은 전등사는 정묘호란 때 한 차례 중수됐던 터였고, 이때 '장사각'을 지었으며 '선원보각'을 지어 '선원세보'를 비롯, 왕실관계 책들을 보관하기 시작한다. 1707년엔 강화유수 황흠이 장사각을 고쳐짓고 별관도 새로 만든다. 전등사는 정족사고를 관리하는 사찰로 공식 지정되며 1734년(영조10) 일종의 정부지원금인 선두포답의 곡식을 하사받기도 한다.  

정족사고에 보관한 책은 4000여책에 이르는 것으로 전국 4대 사고 중에서 가장 방대한 양이었다. 그 중의 백미는 역시 <조선왕조실록>이다. 

▲ 태조실록
국보 제151호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태조에서 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약 470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한 왕실서적이다. 정족산본 <조선왕조실록> 1707권 1187책은 현재 '규장각'에서 보관 중이다. 이 책은 정치, 사회, 외교, 경제, 군사, 법률, 문화 등 여러 분야의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으며 진실성과 신빙성이 매우 높은 점이 인정돼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그도 그럴 것이 실록 편찬은 국왕이 서거하고 다음 왕이 즉위한 뒤 진행됐으며, 국왕이라도 마음대로 실록이나 사초를 볼 수 없었다. 사관들이 공정하게 역사를 기록하게 하는 제도적 장치가 있었다는 얘기다.  

실록을 보관하는 사고는 일찍이 조선 전기 서울 춘추관과 충주·성주·전주에만 있었다. 이후 임진왜란을 거치며 춘추관과 충주·성주사고의 실록은 불에 타 없어지고 '전주사고'본만 남게 된다. 전쟁이 끝난 뒤 1603년(선조36) 7월부터 1606년 3월까지 전주사고본을 바탕으로 4부를 재간행한다. 이때 간행한 실록은 춘추관 강화 마니산, 태백산, 묘향산, 오대산 등 5곳에 사고를 세워 나누어 보관한다. 실록은 이후에도 5부씩 간행돼 각 사고마다 한 부씩 보관되었다. 1678년 지어진 정족사고는 병자호란을 겪으며 전국의 사고가 상당한 피해를 입은 뒤 세운 것이다. 

정족사고에 보관한 <조선왕조실록>은 25대에 걸친 임금에 대한 실록으로 472년 간 조선의 역사를 담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한 왕조의 역사적 기록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랜 세월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는 중국의 <대청역조실록>의 296년보다 훨씬 긴 기록이다. 또 가장 풍부하고 다양한 콘텐츠 때문에 백과사전적 실록으로도 평가되기도 한다. 많은 대하드라마와 영화로 제작될 수 있는 것도 이같은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기술에 있어 매우 진실성과 신빙성이 높은 역사기록물인 <조선왕조실록>은 한국 인쇄문화의 전통과 높은 문화수준을 보여주는 역사서로 강화도의 금속활자인 <상정예문>과 <증도가자>의 맥을 잇는 시대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2014년 복원을 완료한 정족사고는 큰 자물쇠로 굳게 닫혀져 있는 모습이다. 범우 주지스님의 도움으로 안으로 들어가자 '장사각', '선원보각'이라 쓴 현판이 눈 앞으로 확 다가온다. 현판을 올려다 보는데 갑자기 강렬한 태양광선이 얼굴을 뒤덮는다. 강렬한 한낮의 해를 등진 정족사고는 지금 500년 조선왕조의 기운을 내뿜는 중이다. /글·사진 김진국 기자 freebird@incheonilbo.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