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5년 3월 30일 월요일

['책과 출판의 문화사' ⑦ - 실크로드와 페이퍼로드(2)] 유럽 인쇄혁명의 시초가 된 탈라스 전투 /전성원



['책과 출판의 문화사' ⑦ - 실크로드와 페이퍼로드(2)]
유럽 인쇄혁명의 시초가 된 탈라스 전투 

혜초가 한자문화권과 이슬람문화권의 접촉을 이끌어냈다면 고선지 장군은 고구려 요동성 성주 고사계의 아들로 태어나 문명의 충돌을 통해 중국과 이슬람 세계의 문화교류를 촉진한 인물이었다. 

<자치통감>(資治通鑑)에 따르면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고구려의 부흥을 저지하기 위해 3만8200호(약 20만명)에 달하는 유민들을 장강 이남과 당경 이서의 황무지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들 중에는 고구려의 문무백관들은 물론 예술가, 장인들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중국의 역사는 한족만의 역사가 아니라 수많은 이민족들의 침략과 정복이 어우러진 융합의 역사였으며 이민족의 침략은 문명과 문화의 교류를 촉진해왔다. 한족이 수립한 왕조들은 대부분 대외활동에 폐쇄적이었지만, 이민족이 수립한 왕조들은 정복과 문물교류가 주는 경제적 이점을 적극적으로 추구했다. 성당(盛唐) 시대 중국의 국경선은 서역의 실크로드를 향해 남쪽의 토번(吐蕃), 북쪽의 흉노(匈奴) 사이로 가늘고 긴 통로를 뚫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다. 그 길을 개척한 사람은 혜초를 비롯한 구법승들이었지만, 이 길을 따라 정복전쟁을 이끈 사람은 고선지였다. 한반도 출신의 세계인으로 동시대를 살았던 두 사람은 과연 만났을까? 혜초와 고선지가 동시대, 같은 길을 오갔더라도 두 사람이 추구한 길은 서로 달랐다. 

비록 중국의 자치구 중 하나로 전락했지만, 역사적으로 토번(티베트)은 중국을 위협한 강국이었다. 741년 톈산산맥 서쪽의 달해부가 당에 반기를 들자, 고선지는 2000명의 기병을 이끌고 나가 토벌했다. 이 공으로 안서도호부의 부도호가 된 그는 서역(西域)의 군사 요충지인 4진을 담당하게 됐다. 747년 토번이 다시 세력을 확대하자 고선지는 보병 1만과 기병을 이끌고 서역정벌에 나섰다. 파미르 고원을 넘어 힌두쿠시 산맥 동쪽의 연운보(連雲堡)에서 토번군을 격파하고, 파키스탄 북부의 소발률(小勃律)을 비롯해 72개국의 항복을 받아내는 대전과를 거두었다. 그의 승리로 당나라의 영향력이 서아시아 일대까지 퍼지게 됐다. 죽음의 사막 타클라마칸에서 세계의 지붕 파미르 고원과 히말라야 힌두쿠시 산맥의 다르코트 정상에 이르는 비단길을 단숨에 장악한 것이다. 

우마이야 왕조를 몰아내고 이슬람의 패권을 장악한 압바스 왕조는 당의 서역 진출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다. 당에 항복했다가 억울한 죽임을 당한 석국 왕의 아들이 이슬람세력에 도움을 청하자 압바스 왕조는 지야드 이븐 살리흐를 내세워 고선지가 이끄는 당나라 연합군에 맞서게 했다. 두 세력이 양대 문명의 명운을 걸고 탈라스 벌판에서 만나 5일 밤낮으로 싸웠다. 이 전투에서 당나라 연합군은 내부의 배신으로 10만의 병사 중 불과 2000여명만 생환하는 대패를 경험하고, 실크로드를 이슬람에게 빼앗긴다. 탈라스 전투의 승리로 실크로드를 장악한 압바스 왕조는 이후 이슬람의 황금시대를 열었고, 이때 이슬람군의 포로가 된 중국 병사가 전해준 제지술은 751년 사마르칸트, 793년 바그다드, 다마스쿠스, 이스탄불을 거쳐 1056년 시칠리아, 1276년 베네치아, 1319년 뉘른베르크에 이르며 유럽 인쇄혁명의 물적 토대가 됐다.

/전성원 계간 황해문화 편집장·성공회대 교양학부 겸임교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