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9년 12월 18일 수요일

2019년의 ‘작은도서관’에 대하여(서울신문 김기중 기자, 2019년 12월 17일)

2019년의 작은도서관에 대하여(서울신문 김기중 기자, 20191217)
 
학교가 끝나면 학생들이 도서관에 갑니다. 동네 할머니, 할아버지도 오셔서 함께 책을 읽었습니다. 그저 책만 빌려주는 곳이 아니라, 그야말로 사랑방이었어요. 우리 작은도서관도 그렇게 만들고 싶습니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20191211일 마포의 해오름작은도서관 방문
 
지난 11일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해오름작은도서관을 찾은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30년 전 영국 유학시절을 회상했다. 박 장관은 작은도서관은 사랑방이자 문화의 모세혈관이라면서 연말 일정이 많았지만 여기는 내가 오고 싶어 왔다고 강조했다. 양적으로는 성장했지만 질적으로는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는 작은도서관 개선 해법을 찾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작은도서관 20093355, 20196330/ 10년 동안 2배 증가
 
작은도서관은 19943도서관 및 독서진흥법과 시행령에 따라 건물면적 33이상, 열람석 6석 이상, 자료 1000권 이상의 최소 기준을 갖춘 소규모 도서관을 가리킨다. 그해 12500가구 이상 공동주택단지에 의무적으로 작은도서관을 설치하는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숫자가 늘기 시작했다. 20093355개였던 작은도서관은 올해 6330개로 10년 동안 2배로 늘었다.
 
*공립 1433(22.6%), 사립 4897(77.4%)
1관 평균 운영비 공립 2900만원, 사립 700만원
 
설치 기준이 낮은 데다가, 문체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적 지원이 부족하다 보니 부실을 피할 수 없었다. 전체 6330곳 가운데 공립이 1433(22.6%)이고 사립이 4897(77.4%)인데, 1관당 연평균 운영비가 공립 2900만원, 사립 700만원 정도다. 사립은 1년에 700만원으로 책도 사고 사람도 써야 하고 시설 관리도 해야 한다는 뜻이다.
 
*사서 625(9.9%)
시간제 근로자가 있는 도서관 3289(52.0%)
자원봉사자 운영 1744(27.6%)
운영 인력이 없는 곳 627(9.9%)
 
그러니 인력 배치가 열악할 수밖에 없다. 6330곳 가운데 사서가 있는 곳이 고작 625(9.9%)에 불과하다. 상근 혹은 시간제 근로자가 있는 도서관이 3289(52.0%), 자원봉사자만으로 운영하는 곳이 1744(27.6%), 운영 인력이 아예 없는 곳이 672(9.9%)이나 된다. 그나마 자원봉사자들도 점차 등을 돌리는 추세다.
 
서울 관악구 남현동 작은도서관에서 자원봉사자로 일하는 안인경씨는 이틀에 한 번꼴로 4시간씩 자원봉사를 한다. 도서관에 기본적인 탕비시설이 없는 데다가 음식을 먹을 공간도 없다. 이용자 책상에서 점심, 저녁을 먹거나 그냥 굶기도 한다. 그럴 때면 내가 여기서 뭐하는 거지생각이 들곤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나마 우리는 상황이 나은 편이다. 컨테이너 가건물에 책만 덜렁 있는 사례도 많다. 도서관이 편해야 다시 찾아올 텐데, 이용자가 또 찾아오고 싶겠나?”라고 되물었다.
 
*2016년부터 20199월 말까지 휴폐관 2435
 
지난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받은 문체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9월 말까지 작은도서관 2435곳이 휴·폐관했다. 지원이 부실하고 자원봉사자도 돌아서고 이용자도 급감하면서 휴·폐관이 줄을 잇는 게 당연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작은도서관 관계자들은 현재 도서관에 관한 무비판적인 지원보다 우선 실태조사와 관리 강화부터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변현주 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 사무처장은 도서관 규모를 더 키우기보다 서비스의 향상을 꾀해야 한다. 지역 내 다른 도서관과 함께 가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은주 어린이와작은도서관 사무총장은 양적 팽창을 넘어 이제는 내실을 기해야 할 때다. 지원을 강화할 것이냐 자율을 강화할 것이냐, 도서관이냐 마을공동체냐, 책의 양이냐 프로그램이냐를 잘 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경진 마포중앙도서관장도 현재 작은도서관에 관해 냉정한 평가가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작은도서관 지원은 지방자치단체의 몫이라는 것”, “양적 팽창이 능사가 아니다
 
박 장관은 이런 의견들에 관해 중앙정부가 나서서 지원책을 내고 작은도서관의 성격을 규제할 수는 없다. 작은도서관 스스로 지역 사정에 맞춰 문화공동체가 될 것인지, 독서동아리를 운영할 것인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작은도서관 지원은 지방자치단체의 몫이라는 의미다. “분명한 것은 무작정 늘리는 게 능사가 아니라는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작은도서관 순회 사서, 201953, 13억 원 예산, 2020270, 72억 원 예산
 
문체부는 우선 내년부터 실태조사와 함께 여러 작은도서관을 도는 순회 사서를 늘릴 예정이다. 올해 13억원인 지원 예산을 72억원으로 확대 편성해 53명이던 순회 사서를 270명으로 5배 늘린다. 장기적으로는 설치 기준을 상향해 질 낮은 작은도서관이 늘어나는 것을 막고,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 예산을 늘리면서 지역 대표도서관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박양우 장관의 편지 공약
 
박 장관은 문체부의 이런 정책들에 관해 모든 정책은 시간과 돈이 필요하다. 하루아침에 되는 게 없다. 물론 이 과정에서 시행착오도 거친다면서 자신부터 문제의식을 항상 염두에 두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1시간 30분 정도 작은도서관 관계자들과 이야기를 나눈 박 장관은 우선 전국 지자체장들께 편지를 쓰겠다고 약속했다. 또 다른 수신인은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전국 교육감, 초중고교 교장들이다. 편지의 효력을 떠나 일단 편지 공약은 참석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어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