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08년 9월 29일 월요일

Rowan Williams--god and capitalism

미국처럼 금융자유화를 진척시킴으로써 이번에 벌어진 금융위기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영국에서 위기를 만들어 낸 자본주의의 현상에 대해 교회의 성직자가 잇따라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세계 성공회의 수장이라 할 수 있는 로윈 윌리엄즈 켄터베리 대주교는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는 옳았다"고 언급하는 등, 종교인으로서는 이례적인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또한 센타무 요크 대주교도 국제은행가협회의 기도회에 초대받아 HBOS가 로이드은행에 넘어간 사실을 지적하며 그 은행가을 '은행강도'라고 지칭하기도 하였다는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왼쪽이 윌리엄즈 켄터베리 대주교. 오른쪽은 센타무 요크 대주교. 사진출처: http://www.nytimes.com

-----------------------------

Face it: Marx was partly right about capitalism

 

출처: http://www.spectator.co.uk/the-magazine/features/2172131/face-it-marx-was-partly-right-about-capitalism.thtml 

 

Rowan Williams, the Archbishop of Canterbury, says that the financial world needs fresh scrutiny and regulation. In our attitude to the market, we run the risk of idolatry

 

Readers of Anthony Trollope will remember how thoughtless and greedy young men in the Victorian professions can be lured into ruin by accepting ‘accommodation bills’ from their shifty acquaintances. They make themselves liable for the debts of others; and only too late do they discover that they are trapped in a web of financial mechanics that forces them to pay hugely inflated sums for obligations or services they have had nothing to do with. Their own individual credit-worthiness, their own circumstances, even their own personal choices are all irrelevant: the debt has acquired a life of its own, quite independent of any real transaction they are involved in.

 

A prescient student of Trollope would have seen that he is identifying an endemic feature of the world of borrowing and lending. A lender takes a calculated risk in offering the use of their money to someone else, and rates of interests express the recognition of this — and the rewards that may be secured for taking such a risk. But it is not too difficult to see how the notional gain involved here can be used as security against a further risk. And so the transaction moves further and further from the original transaction with its realistic assessment of levels of risk within the context of measurable standards of credit-worthiness. Any face-to-face element, any direct calculation of what and who is reasonably worth trusting (which assumes some common frame of reference), fades away. Like Trollope’s hapless young clerics and feckless young landowners, individuals find that their own personal financial decisions and calculations have nothing to do with what is happening to their resources, in a process for which a debt is simply someone else’s wholly disposable asset.

 

It is a sort of one-syllable nursery parable of what the last couple of weeks have illustrated in the world of global finance and, of course, a reminder that what we have been witnessing is not just the product of a couple of irresponsible decades.

 

Trading the debts of others without accountability has been the motor of astronomical financial gain for many in recent years. Primitively, a loan transaction is something which enables someone to do what they might not otherwise be able to do — start a business, buy a house. Lenders identify what would count as reasonable security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present assets, future income) and decide accordingly.

 

But inevitably in complex and large-scale transactions, one person’s debt becomes part of the security which the lender can offer to another potential customer. And a particularly significant line is crossed when the borrowing and lending are no longer to do with any kind of equipping someone to do something specific, but exclusively about enabling profit — sometimes, as with the now banned practice of short-selling, by effectively betting on the failure of a partner in the transaction.

 

This crisis exposes the element of basic unreality in the situation — the truth that almost unimaginable wealth has been generated by equally unimaginable levels of fiction, paper transactions with no concrete outcome beyond profit for traders. But while we are getting used to this sudden vision of the Emperor’s New Clothes, there are one or two questions that, in government as in society at large, we at last have a chance to ask. Some of these are elementary and practical. Given that the risk to social stability overall in these processes has been shown to be so enormous, it is no use pretending that the financial world can maintain indefinitely the degree of exemption from scrutiny and regulation that it has got used to. To grant that without a basis of some common prosperity and stability, no speculative market can long survive is not to argue for rigid Soviet-style centralised direction. Insecure or failed states may provide a brief and golden opportunity for profiteering, but cannot sustain reliable institutions.

 

Without a background of social stability everyone will eventually suffer, including even the most resourceful, bold and ingenious of speculators. The question is not how to choose between total control and total deregulation, but how to identify the points and practices where social risk becomes unacceptably high. The banning of short-selling is an example of just such a judgment. Governments should not lose their nerve as they look to identify a few more targets.

 

Behind all this, though, is the deeper moral issue. We find ourselves talking about capital or the market almost as if they were individuals, with purposes and strategies, making choices, deliberating reasonably about how to achieve aims. We lose sight of the fact that they are things that we make. They are sets of practices, habits, agreements which have arisen through a mixture of choice and chance. Once we get used to speaking about any of them as if they had a life independent of actual human practices and relations, we fall into any number of destructive errors. We expect an abstraction called ‘the market’ to produce the common good or to regulate its potential excesses by a sort of natural innate prudence, like a physical organism or ecosystem. We appeal to ‘business’ to acquire public responsibility and moral vision. And so we lose sight of the fact that the market is not like a huge individual consciousness, that business is a practice carried on by persons who have to make decisions about priorities — not a machine governed by inexorable laws.

 

And this is part of the same mindset that turns the specific, goal-related transactions of borrowing and lending into a process producing pseudo-things, paper assets — but pseudo-things that (when matters do not go well) cause real and crippling damage to actual persons and institutions. The biggest challenge in the present crisis is whether we can recover some sense of the connection between money and material reality — the production of specific things, the achievement of recognisably human goals that have something to do with a shared sense of what is good for the human community in the widest sense.

 

Of course business is not philanthropy, securing profit is a legitimate (if not a morally supreme) motivation for people, and the definition of what’s good for the human community can be pretty widely drawn. It’s true as well that, in some circumstances, loosening up a financial regime to allow for entrepreneurs and innovators to create wealth is necessary to draw whole populations out of poverty. But it is a sort of fundamentalism to say that this alone will secure stable and just outcomes everywhere.

 

Fundamentalism is a religious word, not inappropriate to the nature of the problem. Marx long ago observed the way in which unbridled capitalism became a kind of mythology, ascribing reality, power and agency to things that had no life in themselves; he was right about that, if about little else. And ascribing independent reality to what you have in fact made yourself is a perfect definition of what the Jewish and Christian Scriptures call idolatry. What the present anxieties and disasters should be teaching us is to ‘keep ourselves from idols’, in the biblical phrase. The mythologies and abstractions, the pseudo-objects of much modern financial culture, are in urgent need of their own Dawkins or Hitchens. We need to be reacquainted with our own capacity to choose — which means acquiring some skills in discerning true faith from false, and re-learning some of the inescapable face-to-face dimensions of human trust.

 

 

--------------------------------

이에 대해 <뉴욕타임즈>는 아래와 같이 보도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Peer Steinbrück, the German finance minister, blamed a reckless pursuit of short-term profit as a cause of the financial crisis. 사진출처: http://www.nytimes.com/

 

 

Criticizing Capitalism From the Pulpit

 

Published: September 25, 2008

 

출처: http://www.nytimes.com/2008/09/26/business/worldbusiness/26euro.html?ref=worldbusiness

 

PARIS — Whatever happened to “God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Even religious leaders have joined the chorus of Europeans criticizing unbridled, American-style capitalism, which Continental politicians have cited as a root caus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archbishop of Canterbury, Rowan Williams, wrote this week in The Spectator, a British magazine, that placing too much trust in the market had become a kind of “idolatry.” At the same time, he reminded readers of Karl Marx’s criticism of laissez-faire capitalism, noting, “He was right about that, if about little else.”

 

Mr. Williams, the spiritual leader of the Anglican church, called for increased regulation of financial markets, praising regulators’ moves to curb short-selling in the wake of the collapse of Lehman Brothers and sharp declines in the share prices of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Governments should not lose their nerve as they look to identify a few more targets,” he added.

In the trans-Atlantic sniping over the causes and solutions to the credit crunch, Mr. Williams’s scolding tone has been echoed by some European politicians.

 

Peer Steinbrück, the German finance minister, blamed a reckless pursuit of short-term profit and outsize bonuses in “Anglo-American” financial centers — as well as a lack of backbone among policy makers unwilling to stand up to this greed.

 

Addressing the Bundestag Thursday, he said, the long-term consequences would be punitive for American prestige.

 

“The U.S. will lose its status as the superpower of the world financial system,” Mr. Steinbrück said. “The world financial system will become multipolar.”

 

Mr. Steinbrück reaffirmed the German government’s opposition to a costly bailout of the financial system. The Bush administration has called on other countries to join in its proposed $700 billion cleanup of troubled bank assets.

 

Mr. Steinbrück, like Mr. Williams, also urged policy makers to enhance financial oversight.

 

The Wall Street crisis, with its complex arcana —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s and the like — might seem like unusual waters for a religious leader to wade into, but Mr. Williams has not shied away from making headlines on sensitive subjects. He caused gasps in Britain earlier this year, for instance, when he said there might be a role for Islamic Shariah law in settling disputes within the British Muslim community.

 

Another British clergyman, John Sentamu, the archbishop of York, was even less circumspect than Mr. Williams in criticizing hedge funds that had sold short the shares of a British bank, HBOS, forcing it in an emergency sale to a rival, Lloyds TSB.

 

They were “clearly bank robbers and asset strippers,” he said in a speech Wednesday evening.

 

Mr. Williams did not specifically blame the United States for the crisis — British investors profited as much as American high-rollers from the boom, and the bust has hit London almost as hard as New York — but Mr. Steinbrück did.

 

“The United States is the source and the obvious focus of the crisis,” he said, adding that it had spread from America to Europe like a “toxic oil slick.” Mr. Steinbrück said he saw no reason for Germany or other European countries to take part in a bailout.

 

He argued that the German financial system had weathered the storm better in part because it was anchored by universal banks like Deutsche Bank, with operations that span consumer lending and investment banking. The last two big independent investment banks, Goldman Sachs and Morgan Stanley, have moved toward such a model since the crisis deepened.

 

Mr. Steinbrück said European banks would now play a greater role in the world financial system.

 

---------------------------------------------

출처: http://www.archbishopofyork.org/1981

 

Archbishop Labels HBOS short sellers as "Bank Robbers"

 

The Archbishop of York has spoken of his outrage at those responsible for short selling shares in HBOS labelling those responsible as "bank robbers" and "asset strippers".

 

Archbishop of York

Addressing the annual dinner of the Institute of Worshipful Company of International Bankers at Drapers Hall in the City of London, Dr. Sentamu said:

 

"To a bystander like me, those who made £190million deliberately underselling the shares of HBOS, in spite of its very strong capital base, and drove it into the bosom of Lloyds TSB Bank, are clearly bank robbers and asset strippers.

 

"We find ourselves in a market system which seems to have taken its rules of trade from Alice in Wonderland, where the share value of a bank is no longer dependent on the strength of its performance but rather on the willingness of the Government to bail it out, or rather on whether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its intentions so to do."

 

The Archbishop also spoke of the contrast between the bail outs being proposed for banks and the lack of funding for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which are due to be discussed at the United Nations tomorrow.

 

Dr. Sentamu said: "Tomorrow morning I will attend a meeting to launch a campaign of 'Education for All' as part of the global effort to achieve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ncluding the eradication of global poverty by 2015. Of course for such a target to be achieved there needs to be stable financial systems. There needs to be stable financial systems. Without a solid global economic base to work from, the eradication of world poverty would be an even greater task. But as one columnist recently noted,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recently announced a $700 billion bailout plans for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One of the ironies about this financial crisis is that it makes action on poverty look utterly achievable. It would cost $5 billion to save six million children's lives. World leaders could find 140 times that amount for the banking system in a week. How can they now tell us that action for the poorest on the planet is too expensive?"

 

Dr. Sentamu also drew attention to the plight of those outside the financial industry who would benefit from Government assistance at a time of need, highlighting the case of one particular farmer in North Yorkshire:

 

"Let me tell you about Richard, a Yorkshire farmer I know, who specialises in potato farming. He also grows wheat. We may have not enjoyed the wet summer, but it has proved disastrous for Richard and many other farmers, many of whom have lost about a third of their earnings. The harvest is late, there is a huge cost in drying out the crops, and sowing for next season is late.

In this current situation I hope that the government responds to the call from the Rural Advocate to bring forward payment of subsidies.

 

If they can find $700 billion to support the market, will the Government - and bankers – help bail out our farmers? Farmers are facing ruin not because of bad investment, or speculation. Can we help secure the vital food security they provide?"

 

The Archbishop ended his speech with an appeal for the "Deposit the Difference" scheme launched recently by the Global Exchange for Social Investment:

 

"The world's poor are waiting. And there is something that you can do to help. In fact it's something everyone can do to help. What is it? - It's 'Topping Up for the world's poor", giving a little with every transaction to a scheme called Deposit the Difference.... imagine that every time you bought something, you could arrange to top up your bills by a few pennies to the nearest pound above, and deposit the difference into a fund for educating the poor children of the world. Then imagine that each month you could arrange that any spare pence above the last pound of your total salaries be taken off and you could deposit the difference in the same fund. Next, imagine that your example was taken up by everyone in the country – and that together we could help ensure that all those extra pennies could be channelled into areas of need – especially into Education and Health for the word's poor."

 

 

 

참고: GEXSI(the Global Exchange for Social Investment:)

           http://www.gexsi.org/

Friedrich Schweitze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사진출처: http://kr.blog.yahoo.com/ropa420kr/1310130.html?p=17&t=2, 왼쪽이 이홍용 주간.

 

샨티 출판사의 이홍용 주간은 <1968-희망의 시절, 분노의 나날>(타리크 알리 외 지음, 삼인, 2001년)을 번역 출간할 땐, 삼인 출판사의 편집장이었다. 삼인에서 나와, 그 삼인 출판사 바로 옆의 작은 창고 같은 공간에 샨티를 만들었다. 2003년의 일이다. 

 

시작은 미약하고, 아직도 미약하다고 할 사람이 있겠지만, 이 '작지만 아름다운 출판사'는 정말 아름답게 커가고 있다.

 

요즘 많은 출판사들이 규모의 경제학을 생각하며, 매출의 규모나 그 매출을 떠받치기 위해 밀어내기를 일삼는 판국에 이런 '작은 출판사'는 무척이나 소중하다.

 

<한겨레>의 권복기 기자가 이 샨티에 대해 애정이 물씬 풍기는 기사를 썼다. 지난 8월의 일이었다. '독자님, 회원이 되실래요?'라는 제목의 기사다. 그 기사에서 권 기자는 “돈벌이를 위해 사람의 욕망을 자극하는 책이 아니라 읽는 사람에게 이로운 책, 무엇보다 책을 만드는 사람이 먼저 즐겁고 행복해지는 그런 책을 내자고 다짐했습니다” 라고 이 주간의 말을 따옴표 쳐서 전하였다.

 

출판이 하나의 '업'이라면 이홍용 주간처럼 그 '업'을 모시는 것도 하나의 길이고, 한 사람의 인생이리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사진출처: http://www.confirmation-research.eu/team.htm

 

이 샨티 출판사에서 또 한 권의 책을 내었다. <어린이의 다섯 가지 중대한 질문>이라는 제목의 책이다.

 

지은이는 프리드리히 슈바이처(Friedrich Schweitzer). 약력을 보니, 독일 튀빙엔 대학교 종교교육학 교수로, 독일의 대표적인 실천 신학자라고 소개되어 있다. 그의 주된 관심 분야는 종교 교육(Religionspädagogik)이다. 검색해보니, '종교에 대한 어린이의 권리(Children's Right to Religion)'이라는 문헌이 튀어나온다. 그런 문헌들을 모아놓는다.  

 

 

--------------------------------------------------------  
<참고1>

독자님,회원이 되실래요?

출판공동체 꿈꾸는 샨티출판사

 

회원들은 책도 안보고 책 사고
열혈필자는 대형출판사도 사양
연 평균 8권 펴내도 ‘양보다 질’

 

샨티는 참 희한한 출판사다. 이 출판사는 상식적으로 잘 이해가 되지 않는 회원제도를 운영한다. 10만, 30만, 100만 원을 내면 샨티에서 출간하는 책을 10권, 30권, 100권을 받아볼 수 있는 제도다. 뒤집어 말하면 샨티의 회원은 내용도 모른 채 책을 미리 사는 셈이다. 그런 회원이 80명이 넘는다. 목표는 3천 명이라고 한다.

샨티는 시민단체처럼 회원을 대상으로 한 행사를 자주 연다. 저자와의 대화 외에 비폭력 대화, 가족상담 프로그램인 가족세우기처럼 책 콘텐츠를 바탕으로 한 워크숍을 열고, 등산을 함께하며 연극도 본다.

지난 5월 샨티는 서울 성산동의 지은 지 30년 된 가정집으로 사무실을 옮긴 뒤 독자를 초청해 집들이를 했다. 경남 거제도를 비롯하여 전국에서 수십 명의 회원이 모여 파전에 막걸리 잔을 기울이며 정을 나눴다. 회원들은 청소기나 전자레인지, 커피메이커, 접시 같은 비품을 사서 보냈고, 가스레인지, 머그컵, 실내화, 무선주전자 등 자신이 쓰지 않는 것을 바리바리 챙겨 보냈다. 떡, 과일, 감자 등 농산물도 심심치 않게 사무실로 배달된다.

샨티 사무실은 회원들의 사랑방이다. 회원들은 밥때에 맞춰 찾아오거나 일을 거들러 오기도 한다. 지난달 31일 취재차 사무실을 찾았을 때 회원 박새아(33)씨가 새로 나온 책을 회원들에게 보내려고 봉투에 넣고 있었다. 샨티 직원과 회원들은 권위에서 벗어나고자 직함이나 이름 대신 온달, 평화, 보리, 프리맨 등 별칭으로 서로를 부른다.

참, 별난 출판사다. 하지만 샨티의 공동 대표인 이홍용(48) 주간과 박정은(39)씨에게 샨티의 모습은 지극히 정상적이다. 좋은 책을 만들면서 밥벌이도 하는 그런 ‘정상적인 출판사’를 꿈꾸며 2003년 만든 것이 샨티이기 때문이다.

“돈벌이를 위해 사람의 욕망을 자극하는 책이 아니라 읽는 사람에게 이로운 책, 무엇보다 책을 만드는 사람이 먼저 즐겁고 행복해지는 그런 책을 내자고 다짐했습니다.”


두 사람은 취향이 비슷해 어떤 책을 만들지에 서 쉽게 뜻을 모았다. ‘몸과 마음과 영혼의 평화를 위한 책’을 만들어 사람들의 영적 성장에 도움을 주자는 것. 두 사람이 산스크리트어로 평화를 뜻하는 샨티를 출판사 이름으로 쓴 이유다.

 

2003년 이현주 목사의 <기독교인이 읽는 금강경>으로 출판을 시작했다. 경영은 쉽지 않았다. 2쇄, 3쇄를 찍은 책도 있지만 <아메리카 파시즘 그리고 하느님>, 공동체 기업을 다룬 <사우스마운틴 이야기> 등 사람들에게 꼭 필요하다고 펴낸 책이 초판밖에 팔리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두 사람은 크게 걱정하지 않았다. 출판사를 만들 때 정한 나름의 원칙이 있었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가급적 책을 적게 내기로 했다. 이 주간은 “책을 많이 내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좋은 책을 내는 게 중요하다”며 “나무를 비롯해 책을 위해 바쳐지는 뭇 생명에게 부끄럽지 않은 책을 만들려고 했다”고 말했다. 여러 가지 책을 내면서 그 가운데 한 권이 대박을 터뜨리기를 기다리는 ‘로또식 출판’은 샨티와 아예 거리가 멀다.

그런 원칙에 따르다 보니 이 주간을 포함한 편집자 3명이 펴내는 책은 한 해 평균 8권 가량. 5년 동안 44권을 펴냈다. 편집자 한 명이 외주 제작으로 한 번에 10여 권 이상의 책 제작을 진행하는 큰 출판사와 비교가 안 된다.

하지만 책을 내기 시작하자 샨티가 내는 책이 특별함을 느끼는 눈 밝은 독자들이 생겼다. 다음에 나오는 책이 어떤 것이냐고 묻는 사람이 있을 정도였다. 판매부수도 조금씩 늘었다. 하지만 살림이 나아지지는 않았다. 두 사람이 품삯을 적게 가져가서 그나마 출판사를 유지할 수 있었다. 지속 가능성은 작아 보였다.

그러던 어느 날, 박 대표는 학부모 400명이 50만 원씩 모아 2억 원의 장학금을 마련했다는 기사를 보고 50만 원을 내는 회원 200명만 있으면 1억 원을 모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박씨는 “1억 원이면 출판사 운영에 큰 걱정 없이 좋은 책 내는 일에만 몰두할 수 있겠다 싶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책 읽는 사람이 점점 줄어가는 마당에 수십만 원을 특정 출판사에 기탁하겠다는 사람이 있을까 걱정이 됐다. 두 사람은 외국에 살면서 샨티의 책을 사서 보는 한 회계사로부터 가능성이 있으니 자신이 첫 번째 회원이 되겠다는 말을 듣고 용기를 냈다. 3년 전이었다.

회원제 도입은 샨티가 독자를 새롭게 보는 계기가 됐다. 이제 회원들은 피동적인 독자가 아니라 좋은 출판사를 함께 만들어가는 동반자가 됐다. 그들은 외국에서 발간된 좋은 책이나 필자를 소개했고, 책 제목을 정하는 데 의견을 내기도 했다. <영혼의 부족, 코기를 찾아서>와 <밥맛이 극락이구나>가 그런 책들이다.

회원제는 샨티 직원들이 늘 깨어 있도록 도와주는 경책도 됐다. 이 주간과 박 대표는 “회원이 하나씩 늘 때마다 좋은 책을 내서 보답해야겠다는 생각에 늘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고 말했다. 그렇게 5년이 흘렀다.

증가 속도는 느리지만 회원은 꾸준히 늘고 있고 “샨티의 눈높이로 보면 베스트셀러도 꽤 있다.” 법륜 스님이 쓴 <붓다 나를 흔들다>, 한 교사가 아이들과 교실에서 나눈 따뜻한 이야기를 담은 <흔들리며 피는 꽃>, 예순다섯 살 할머니의 국토종단기 <내 나이가 어때서> 등은 1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이자 7쇄를 찍은 스테디셀러다. <인디고 아이들>과 <내가 만일 인생을 다시 산다면>도 비슷하다. 샨티의 그런 원칙과 정신은 필자들에게도 인정을 받아 한 번 샨티와 인연을 맺은 필자는 다른 큰 출판사의 요청도 뿌리친 채 샨티에 자신의 글을 맡긴다. 이현주 목사, 국토종단으로 이름이 난 황안나 할머니, 김종휘씨 등이 그런 이들이다. 인세 가운데 일부를 떼 내 후원회원으로 가입한 필자도 있다.

열혈 독자와 필자가 있지만 샨티의 실험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경영도 어렵다. 그럼에도, 이 주간과 박 대표는 “회원들이 늘어 독자들과 편하게 만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꿈에 부풀어 있다.

15년째 출판업에 종사하고 있는 한 중견 출판인은 샨티에 대해 이렇게 썼다. 작지만 아름다운 출판사, 책 만드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꿈꿔보는 그런 출판을 실천하는 출판사, 그래서 더욱 빛나는 용기 있는 출판사라고.

문의 (02)3143-6360~1 www.blog.naver.com/shantibooks

글·사진 권복기 기자 bokkie@hani.co.kr 기사등록 : 2008-08-11 오후 07:54:44

 

출처: 권복기 기자의 건강한 세상 http://community.hani.co.kr/board/view.html?board_id=cm_together2&uid=41457

        한겨레 신문의 기사 : http://www.hani.co.kr/arti/society/life/303620.html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출처: http://blog.naver.com/shantibooks/120056386956

 

샨티 출판사는 이 책이 "아이들 스스로 종교를 결정할 권리가 있음을 이야기하는 이 책은 아이와 종교 이야기를 나누는 데 어려움을 겪는 부모나 교사들에게 아이들을 진정한 대화 파트너로 인정하고 열린 대화로 이끌어가는 법을 안내해줍니다. 비단 종교(종교적)에 관한 대화가 아니더라도 아이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아이들과 어떻게 대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어른들이 취해야 할 아름답고 진지한 자세를 배울 수 있는 책"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

어린이에게 비밀이 뭐냐고 물으면 이렇게 대답한다. “말하면 안 되는 거” 혹은 “말하고 싶지 않은 거예요!” 이 때 중요한 것은 자신이 한 일, 저지른 일을 엄마, 아빠나 선생님이 눈치 채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비밀이 탄로 나면 ‘집안이 시끄러워질’ 테니까. 여기서 비밀이란 한마디로 어른들에게 일러바치면 안 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어린이에게 그런 비밀과는 또 다른 차원의 비밀이 있다. 레나테 발렌틴Renate Valentin은 그것을 ‘예쁜 비밀’이라고 부른다.

 

엄마, 아빠의 통제에서 살짝 벗어나 있는 비밀인데, 그런 비밀이라면 위험할 것도 없고 금지할 것도 없다. 어린이들은 비밀의 샛길을 찾아내거나 함정을 파놓거나 조그만 굴을 발견한다. 벽지에 구멍이 뚫린 것도 알고 있다. 어느 누구도 모르는 놀이를 만들어 놀기도 한다. 여섯 살 안야Anja가 바로 그런 비밀을 갖고 있다.


“나도 비밀이 하나 있거든요. 우리는 전에…… 스페인에 있었어요. 그때 살던 집에 아주 조그만 구멍이 하나 있었는데 거기 쥐가 한 마리 있었어요. 그래서 내가 하얀 종이로…… 구멍을 막았어요. 근데 내가 거기 가잖아요? 그러면 종이를 다시 떼어요.”


이런 ‘예쁜 비밀’은 어린이가 직접 찾아내고 경험하는 것, 어린이의 세계를 풍요롭게 해주는 것들이다. 그 세계에는 비밀스러운 길, 숨기 좋은 곳, 구멍 등이 있고 그 비밀의 영역에서 동화와 꿈의 세계가 펼쳐지기도 한다. 이것이 ‘예쁜 비밀’이다.

 

뛰어난 신학자이자 교육학자인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가 이미 200년 전에 말한 것처럼 “인간과 이 세상의 관계 속에는 무한과 이어지는 어떤 통로, 탁 트인 조망”이 있다.  그러므로 이 세상은 그 자체로 완결된 실체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세상에는 ‘창문’이 있다. 이 세상 너머에 있는 것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하는 창문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이 ‘세상의 비밀’에 대해 말한다. 이 세상을 하나씩 알아가면서 어린이들은 상당히 일찍부터 이런 창문과 마주한다. 벽지 뒤의 비밀스러운 공간을 알게 된 안야에게 생긴 변화가 다른 어린이들에게도 찾아올 것이다. 어린이들은 창문 저편에 펼쳐지는 제2의 세상을 느끼고 기대감에 부푼다. 그 세상은 아이들이 지금 살고 있는 첫 번째 세상보다 훨씬 흥미진진한 세상이다.

슐라이어마허는 이런 ‘조망 혹은 ‘창문’이 어린이의 올바른 교육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지 처음으로 일깨워준 선각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인간이 조망을 ‘틀어막고’ 창문을 ‘폐쇄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그 당시에 이미 예리하게 꿰뚫어보았다.

오늘날 어린이의 세계는 규격에 맞춰 대량 생산된 장난감, 텔레비전, 컴퓨터 애니메이션 등으로 빼곡히 메워졌다. 결국에는 어린이들이 그 창문들과 더 이상 마주하지 않게 되리라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 아닌가. 조망이 틀어 막히고 창문이 폐쇄된 시대에 어린이가 과연 어디에서 그런 창문을 발견할 수 있을지 곰곰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것은 어른들의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이 벌써 명백하게 드러났다. 그런 창문이 우리 어른들의 눈에는 보이는가? 그 창문을 통해서 어른들은 무엇을 보는가?

----------------------------------------

죽음과 마주하는 자세는 지금 우리 삶의 방식을 결정짓는 요소이다. 아니 지금 우리의 삶이 과연 삶이라고 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비추어보게 만드는 문제이다. 유대계 폴란드 교육학자인 야누쉬 코르착Janusz Korczak이 한 말 가운데 나에게는 처음부터 수수께끼와도 같았던 말이 하나 있다. 처음 읽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나의 뇌리를 떠나지 않고 있는 문장이다. 너무나도 분명한 어린이의 ‘기본 권리’가 세 가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어린이가 죽을 수 있는 권리’라는 것이다. ‘죽을 수 있는 권리’라니 도대체 무슨 뜻인가? 이에 대해 코르착은 다분히 암시적이면서 시적인 언어로 설명한다.


죽음이 우리에게서 어린이를 빼앗아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우리는 어린이를 삶과 분리시킨다. 어린이의 죽음을 막기 위해서 어린이의 삶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다.


코르착에게 있어 어린이의 죽음과 어린이의 삶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지금의 어린이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러므로 ‘어린이가 죽을 수 있는 권리’라는 말은, 죽음과 관련된 어린이의 느낌과 생각과 경험을 어른이 존중하고 함께할 수 있을 때 어린이가 삶다운 삶을 살 수 있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교나 교회에 비교적 무관심한 현대 심리학자 중에서도 이 견해에 동의하는 학자들이 많다. 독일 노르트라인-베르트팔렌의 사회보건부에서도 《죽음과 슬픔: 어린이와의 대화》라는 제목으로 ‘부모를 위한 지침서’를 펴낸 바 있다. 독일의 모든 관공서는 종교적 중립의 원칙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에 문서에서 어떤 종교적 입장도 반영할 수 없다. 하지만 이 공적인 문서조차 어린이들이 ‘삶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갖고 있으며, 그 물음은 “죽음 이후에 더 이상 이 세상에 있지 않은 그 생명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라는 물음으로 이어진다는 사실만큼은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다. 부모 스스로가 종교적 세계관을 그저 ‘불가사의한 것’으로 여기는 상황이라면 어린이들의 그런 질문이 더더욱 어렵게 느껴질 것이라는 진단도 매우 타당하다. 그러나 이 공식 지침서가 부모에게 큰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다. 최대한 어린이의 질문을 따라가 주라는 격려는 일단 바람직하지만, 결론은 아주 실망스러운 ‘삶의 지혜’로 마무리된다. “죽음과 슬픔은 삶의 일부다”라는 식으로. 부모나 교사가 죽음을 어떻게 자신의 삶 속에 받아들일 수 있는지에 대한 얘기는 빠져 있다.

 

죽음에 대한 물음에 비종교적인 해답을 찾는 것도 물론 가능한 일이다. 그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그런 해답이 어린들에게, 그리고 죽음의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는 어른들에게 지속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지는 미지수다. 그에 비해 종교가 제시하는 해답들은 중요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확실히 말할 수 있다. 예컨대 자연과학에 근거한 해명보다는 종교적 대답이 어린이들의 물음에 훨씬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다.

-------------------------------------

 

  < 어린이의 종교적 권리>

    http://www.edu.joensuu.fi/ortoweb/FBI/SchweitzerTartu.pdf


Lee, Yong-Nam

2008년 9월 27일 오후 4시, 한성대학교 DLC(미래관 지하1층). 이용남 교수님의 정년퇴임 기념문집 봉정식 및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정말 말 그대로 말석에 앉아 먼발치에서 사진을 찍어놓으니 사진이 무척 흐리고 어둡게 나왔다. )

 

 '책읽는사회'에 몸을 담은 뒤, 책읽는사회문화재단의 이사님으로 모시고 일한 지, 벌써 4년여의 시간이 지났다. 작년 11월 26일(월요일)에는 교수님께서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관련 NGO의 활동을 소개하라고 하시어, 저녁 7시부터 교수님의  '공공도서관경영론'의 그 소중한 시간에 두서 없는 발표를 한 적도 있었다. 그 강의가 끝난 뒤, 대학로로 따로 모시고 술잔을 기울였던 때가 기억난다. 사실 이 교수님과 따로 술잔을 기울일 기회가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었으니 생각해보면 이 날 술자리가 조금 각별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때 이 교수님은 특유의 웃음기 가득한 얼굴로 나에게 '먹고 살 거리'에 대해 걱정을 나누어 주셨다. 아마도 사단법인 마을문고 본부 사무국장을 하셨던 때를 떠올리며, '앞길'에 대해 걱정을 해주셨던 것이리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기념행사가 끝나고 이번에 간행된 <끝나지 않는 도서관 연가--운지 이용남 교수 정년퇴임 기념문집>(조은글터)이라는 문집에 "안찬수 처장, 도서관 운동에 계속 신선한 바람을 일으켜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적어주셨다. 송황()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집에 와서 문집을 일별해보니, 이 문집이 나로서는 자료로서도 큰 가치가 있을 듯싶다. 우선 한상완 위원장님께서 가끔 사석에서 말씀하시던, 경남 합천군 묘산면 증촌 마을의 장석순 님에 대한 언급이 눈에 들어왔다. 이용남 교수님의 각혈과 약사절이라 불리는 봉국사의 아름다운 인연이 시작된 이야기는 그냥 흘려 들을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봉사활동이라 하지만, 오늘 우리의 후배 대학생들에게 선배들의 이런 이야기들이 전설이나 신화로만 남겨져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또 제2부의 '남기고 싶은 이야기'에는 미처 문헌으로 정리되지 않았던 마을문고 운동의 뒷이야기들을 남겨 놓으셨다. "우리 도서관계 전반에 관련된 여러 의미 있는 일들 중에는 미처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것들이 적지 않으련만은, 그것을 이 장에 담기에는 지면이 너무 부족하고 준비도 덜 되어 다른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고 하셨다. 마을문고 관련 6편의 글은 다른 지면에서는 만나기 어려운 자료가 아닌가 싶다. 실제로 이 글 속에, 그 행간 속에 들어 있는 문제의식에는 지금 내가 부딪히고 있는 문제의 일면과 비슷한 것들이 많았다. 시간이 되면 다시 천천히 읽어볼 생각이다.

 

이 교수님의 연구실--아마도 지금은 이사를 하셨을지?--에는 몇 가지 추억이 되는 기념품(souvenir)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내 기억에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신문에 발표한 글을 감사패의 모양으로 기념품으로 만들어놓은 것이었다. 그 글이 이번에 기념문집에도  포함되어 있어서 반가웠다. 이용남 교수님의 심지(心地, 마음의 본바탕)를 잘 드러내는 글이 아닐까 싶다. 아래는 그 글의 전문이다.

 

---------------------------------------------

부드러운 새싹이 언 땅을 뚫는다

 

 

여린 새싹이 기나긴 겨울 동안 얼어붙은 땅을 뚫고 나오는 자연의 섭리에서 부드러움의 힘을 느낀다.

 

나는 일상적인 생각이나 행동에 있어서 부드러움의 미덕을 믿고 실천하려고 애쓴다.

 

고정틀을 벗어나지 못한 극단적인 사고나 독선적이고 과격한 행동은 궁극적으로 참된 힘이 아니라고 믿기 때문이다. 부드러움은 우유부단의 유약함을 뜻하지 않는다.

 

그것은 끊임없는 자기성찰과 겸손의 자세이며 이상을 좇되 현실을 외면하지 않는 순리적 행동일 뿐 아니라, 더불어 살아야 하는 공동체를 묶어주는 자유자재한 힘으로 작용한다고 믿고 있다.

 

-<대학문화신문>, '나의 삶의 철학' (1997년 4월 17일)



Japan: a Reinterpretatio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Japan: a Reinterpretation

 


오늘의 일본을 만든 것은 1868년의 메이지유신과 1945년의 패전이다. 전자는 일본에 제철공장·조선소·철로와 같은 산업화를 가져왔고, 후자는 보통선거권·여성 해방·언론 자유 등의 미국식 민주주의를 이식했다. 외양만 살피자면 일본 근대사를 바꾼 두 번의 역사적 변환은 꽤 성공한 듯해 보이지만, <일본의 재구성>(2008)을 쓴 패트릭 스미스는 ‘반쪽’의 성취라고 말한다. 기술 발전과 공업화와 같은 근대화(modernization)에는 분명 성공했지만, 시민의 자주성을 척도로 하는 근대성(being modern)은 취득하지 못했다는 거다.

 

일본 근대화의 선구자들은 자신들의 정체성과 문화·전통을 지키기 위해서는 서구식 기술 습득이 필수라는 역설을 깨달았다. 다시 말해 일본은 근대화를 시도하던 애초부터, 근대화를 근대성 획득이 아닌, 일본 정신과 전통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았다. 물론 이런 식의 근대화 접근법이 딱히 일본만의 것이랄 수는 없다.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가들이 한입으로, 동도서기(한)·중체서용(중)·화혼양재(일)를 외쳤으니!

문제는 일본의 근대화 선구자들이 보존하려고 했던 이른바 ‘일본정신’과 ‘전통’이 실재한 바 없다는 거다. 좋은 예로, 메이지유신이 일어나기 전까지 일본은 천황의 나라가 결코 아니었다. 천황은 권력이나 대중과 먼 거리에 있었고, 정치판 역시 쇼군과 천황을 지지하는 세력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유신이 근대에 값하려면 쇼군으로 대표되는 봉건제와 천황으로 상징되는 군주제 모두를 혁파해야 했으나, 메이지유신을 담당한 무사 출신의 과두세력은 국가 통합을 위해 국체라는 아리송한 개념을 급조했고, 이때부터 일본은 천황의 나라가 됐다.

메이지 시대의 지배층은 전통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서구인의 아무 가르침 없이 자생적인 오리엔탈리스트가 됐다. 오늘날 일부 한국인들이 부러워하고 무엇보다 일본인 스스로가 사로잡혀 있는 일본에 대한 고정관념의 대부분은 당시의 권력자들이 만들어낸 신화다. 그들에 의해 “부러울 정도로 철저한 일본인의 노동 윤리, 열악한 환경에 대한 참을성, 권위에 대한 묵종은 모두 전통으로 설명되었다. 화합과 합의가 중시되고 반목은 이질적으로 간주되었으며, 모든 일을 양보로 해결하는 겸손한 민족으로 꾸며졌다.”

 

하지만 그들이 순치하고자 했던 ‘일본 정신’이나 ‘전통’이 허구라는 것은, 도쿠가와 막부 250여년 동안 대략 3천건 이상의 농민봉기가 있었다는 사실이 반박하고도 남는다. 메이지 유신의 입안자들이 삭제와 왜곡을 통해 자기 역사와 민중을 배반한 이유는, 개인이 주체가 되는 근대성의 봇물을 막고 전국민을 사무라이와 같은 ‘멸사봉공’의 객체로 만들고 싶어서였다. 흥미롭게도 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은 중국이 공산화하자 일본을 민주화시키겠다던 목적을 포기한다. 일본인이 자주적이 되면 될수록 일본을 잃을 수도 있어서였다. 바로 그 유턴의 순간, ‘게이샤’ 학자라고 불리는 일단의 미국인 관변 학자들이 메이지 지식인들이 만든 오리엔탈리즘을 엄호하고 나섰다. 전후 일본을 접수한 보수 전범들에게는 천군만마를 얻은 거나 같았다. 장정일 소설가

 

출처: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12520.html

 

 

-----------------------------------

 

2차대전 후에 창작된 일본의 이미지는 지금까지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이미지는 워싱턴이 도쿄를 어떻게 다루어왔는가를 반영하며, 제국주의 권력이 종속적 식민지를 다루는 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모든 것이 공산주의 견제라는 이름 아래 희생당했다.1948년이 채 끝나기도 전에 전전戰前 일본의 재벌 세력은 모두 제자리로 복귀했고 구시대의 정치엘리트 세력들이 다시금 일본을 다스리기 시작했다. 일본적 이데올로기는 각종 재료가 풍부히 뒤섞인 혼합물이었다. 전통의 조작은 비단 일본 엘리트들만의 작업은 아니었다.” _1부 가운데

“미국의 대담한 기만을 설령 용서한다 하더라도, 그로 인해 이후 반세기가 넘도록 일본국민이 겪은 고민과 혼란은 간과하기 어렵다. 덴노의 죄를 덮어버림으로써 점령군은 단숨에 ‘책임을 회피하는 문화’를 조장했고 이런 분위기는 오늘날까지 이어진다. 갑자기 역사는 부인할 수 ‘있는’ 것이 되었고, 대중은 지배자의 허울 좋은 기만에 대항하여 투쟁을 되풀이해야 했다. 승전자의 처분 때문에 한 나라의 전면 개조 계획이 뻔한 사기로 시작되고 말았다. ‘무책임’이라는 사조가 정치·교육·외교 등 각 분야에 파고들었다.” _2부 가운데

 

---------------------------------

 

패트릭 스미스: 20여 년 이상 『인터내셔널 헤럴드트리뷴』『뉴요커』『파이스턴 이코노믹리뷰』 특파원으로 아시아 각지에서 활동했으며 일본에서는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인터내셔널 헤럴드트리뷴』 도쿄 지국장으로 근무했다. 최근에는 『인터내셔널 헤럴드트리뷴』 아시아판 편집을 담당했다. 지은 책 중 『일본의 재구성』은 기리야마 환태평양 도서상과 해외언론클럽Overseas Press Club이 수여하는 국제문제 분야 최우수 도서상을 수상했고, 『뉴욕타임스』에 의해 「올해의 주목할 만한 도서」로 선정되었다. 2008년 현재 홍콩에 거주하면서, 네 번째 저서를 집필한다.

 

---------------------------------

 

‘있다’와 ‘없다’ 사이의 공백
최근 일본의 독도 도발은,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공감 없이 한일 관계가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 결코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다. 가장 가까우면서 한 없이 먼 이웃인 일본과의 문제가 터질 때마다 우리는 투철하게 역사를 인식하고 일본을 잘 이해해야 한다고 목청 높여 외치지만, 우리의 일본 인식은 한때 논란이 된 ‘일본은 있다’와 ‘일본은 없다’ 사이에서 머물고 있을 뿐이다. 사무라이와 군국주의, 혼다와 하라주쿠 그리고 지루하게 이어지는 자민당의 장기집권 등 몇몇 전형적인 표상들로 대변되는 일본은 우리에게 부정의 대상이거나 극복의 대상, 혹은 소비의 대상일 뿐이다.

출간과 동시에 미국에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각종 도서상을 휩쓸며 가장 탁월한 일본 개론서로 추천받은 패트릭 스미스의 『일본의 재구성』(원제 Japan: a Reinterpretation)은 고정관념에 갇힌 일본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일본, 오늘의 일본을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이 책은 50여 년 전에 일본을 한 번도 방문한 적이 ‘없는’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가 쓴『국화와 칼』이 읽을 만한 거의 유일한 일본 개괄서로 자리 잡고 있는 국내출판계에 신선한 바람이 될 것이다.

‘현장 속으로’라는 저널리스트의 모토와 엄밀한 문헌 연구(참고문헌 목록만 20쪽에 달하는)의 이상적인 조화로 저널리즘적 글쓰기의 전형을 제시하는 저자는 일본에 대한 우리의 관념이 지나치게 고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비판하는 것으로 글을 시작한다. “마치 19세기 목판화에서 공중으로 치솟아오르며 부서지는 파도가 영원히 그 상태에 정지해 있는 것”처럼 일본을 바라보기 십상이지만 그 파도는 “지금 막 해안에 다다르려는 참”이라는 것이다. (21쪽)

재팬이 된 닛폰
2차대전 종전 직후, 인류 역사상 최악의 무기로 자신들의 도시를 파괴한 미군을 열렬히 환영한 일본인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항복 직후 일본인들은 미국에게 무엇을 기대했을까? (33쪽) 미국의 호의와 함께 일본인 스스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은 그리 오래 가지 못했다. 1946년 미국총선을 기점으로 미국의 일본 정책은 급선회한다. 이른바 역코스(reverse course) 정책의 시작이다. (우리의 해방전후사와 다르지 않게) 미국은 자신들의 국익을 위해 전전(戰前) 일본의 국가주의자, 재벌, 정치엘리트 세력을 복귀시킨다. (35쪽 이하) 잘못 채워진 단추의 시작이다. “터무니없이 부패하고 시장우월주의에 집착하고 환경보호에 무관심하고 개인을 숨막히게 하고 정치적 기능이 원활하지 않은데다 지도자가 부재하고 결단력 없는” 나라, 일본은 미국이 만든 일본상이며, 미국은 이런 일본을 자신들이 만들었다는 사실조차 잊고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역코스에 이어 1947년 제정된 일본의 헌법(평화헌법)과 1951년 미일 상호안보조약은 모두 미국의 주도 아래 만들어진 문서로 “둘을 합치면 정치적?외교적 정신분열증의 걸작이자 일본이 지금까지도 겪고 있는 질병의 원인”이다. (37쪽)
메이지 유신 이래 제국주의적 야망을 불태우며 아시아의 이웃국가를 끊임없이 침략한 일본의 과거와 역사는 미국이 꾀하는 이익에 적합하도록 ‘재구성’되었다.

일본만 있고 일본인은 없다
자국민을 사지로 내몬 덴노(천황)는 전통의 이름이 되었고, 전범들이 득실대는 정치 중심지는 동아시아 최초로 활발한 의회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전당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런 역사왜곡과 만들어진 새로운 일본상을 뒷받침한 학자들이 바로 에드윈 라이샤워가 주도한 ‘국화회’이다. (44쪽 이하) 미국이 만들어냈고 일본이 거기에 자신을 맞춘 이 일본상의 해체가 바로 저자가 책 전체를 통해 노리는 바이다. 그리고 이 갈라진 틈바구니 사이로 생생한 일본, 정확히는 일본‘인’의 맨 얼굴을 보여주고자 한다.

저자는 종신고용과 무파업의 신화 속에 가려진 일본 노동운동의 역사와 서류가방을 든 사무라이라는 표상 아래 신음하는 일본 소시민들의 삶이야말로 우리가 알아야 할 일본의 오늘이라고 역설한다. (182쪽 이하)

스스로를 바라보기
일본이 스스로를 직시하지 못하는 것이야말로 현대 일본이 처한 문제의 핵심이라고 저자는 진단한다. 만들어진 과거, 의도적으로 잊힌 역사 속에서 개개인이 자신의 정체성과 주체성을 정립하기란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과거사가 과거가 아닌 현재의 문제요, 타국과의 관계가 아닌 자신들의 문제인 까닭도 이 때문이리라. 저자는 이를 정치, 경제, 일상생활뿐 아니라 예술 문화의 영역을 통해서도 다채롭게 분석해 나간다. 특히 9장 ‘아직 끝나지 않은 꿈’은 메이지유신 시대부터 지금까지의 일본 소설에 비친 일본인의 자화상을 탐구한 뒤, 일본 문화예술이 처한 한계를 지적한다. “…무엇보다 국민총생산주의의 잔해로 보인다. 오카모토 타로가 말한 ‘인간이 자신의 과거와 맺는 살아있는 연관’을 국민총생산주의가 말소해버렸다. 단절된 관계를 다시 엮어나가기란 보통 어려운 것이 아니다. … 그러나 젊은 예술가들은 이런 현실을 직시하는 대신 이 단절을 무시하기로 결심했다. 역사 없이도 삶을 영위하고 창조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척했다.” (396~397쪽) 예컨대 일본적인 소재를 찾아보기 힘든 하루키의 소설 역시 국제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역사에 대한 의도적 외면으로 읽힐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일본 고유의 것이라는 환상과 과거가 현대의 보호막이 되길 원하는 꿈은 유키오의 할복으로 귀결될 뿐이다. (384쪽) 저자는 침묵하는 과거와 불협화음 가득한 현재에다 뒤섞인 일본을 그저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일이 일본 작가들에게 주어진 과제이자 일본인이 자신들을 찾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그들 안의 타자
저자는 일본의 문제는 일본‘인’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에 사는 모든 구성원의 문제라는 것을 놓치지 않고 일본 내의 타자들인 피차별부락민, 아이누족, 오키나와인, 재일 한국인,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에 주목한다. (10장) 저자는 일본 내의 타자들을 직접 찾아가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차별 받는 삶을 생생하게 전하는 동시에 역사적인 배경을 파헤친다. 이 과정에서 저자는 일본의 외국인 기피증과 차별이 보여주는 위선과 부당함을 비판하지만 이를 결코 변치 않는 일본의 국민성 등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저자는 오히려 변화하려고 애쓰는 사람들의 노력에서 일본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모습을 발견한다.

미래를 비춰주는 거울인가 반면교사인가?
『일본의 재구성』이 비단 이웃 나라의 이야기에 그치지 않는 까닭은, 일본과 일본인의 모습에서 우리의 그림자를 때로는 흐릿하게 때로는 너무나 생생하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이 10여 년 전에 겪은 부동산 거품 붕괴에 따른 경제 침체가 머지않은 미래의 우리 모습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은 차치하더라도, 개발지상주의와 대외 과시를 위해 수도권과 지방을 철저히 분리한 토건국가, 정부보조금에 의해서만 지탱될 수 있으면서도 영원한 고향이라는 이데올로기로 작동하는 농촌, (253쪽 이하) 신병훈련소 같은 신입사원 연수시설 등을 묘사하는 구절에서 우리의 얼굴을 찾기란 그다지 어렵지 않다.

그러나 무엇보다 씁쓸한 대목은 일본 교육에 관한 구절들이다. 유아기 때부터 학원에 다니지 않으면 뒤처진다고 생각하는 학부모들의 심정, 1960년대 일본의 한 학원이 개발한 방식인 모의고사 제도에 목을 매는 학생과 교사 등 일본 교육의 문제는 점점 더 악화일로로 치닫는 우리 교육의 모습과 정확히 일치한다. “끔찍스런 경쟁과 비판적 사고력이 거세된 강제주입식 학습법은 졸업생들의 성향을 결정짓는다. 입시 지옥에서 다른 학생들을 적으로 여기며 몇 년씩 경쟁할 것을 요구하는 현 일본 교육체계는, 결국 탐구하는 지성인을 양성하기보다는 편협하고 기계적인 인간을 길러낸다.” (136쪽) 너무 익숙한 구절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이런 교육이 만들어낸 젊은이들, 어떤 일에도 분노할 줄 모르고 부당함 자체를 자각하지 못하는 20대들을 오늘 만나고 있지 않은가.

평화헌법의 딜레마
일본의 군국주의 야욕에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우리의 입장에서 평화헌법은 일본이 감내해야 할 당연하고도 최소한의 구속 장치라고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저자는 평화헌법을 둘러싼 논쟁을 진지하게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새로운 인식을 요청하며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이 책의 큰 장점이다.

1958년 소련의 흐루시초프가 일본엔 지진과 화산 말고 다른 게 무엇이 있냐고 말했다. 이런 모욕적인 발언에 일본은 흔한 외교적 항의조차 하지 않았다고 한다. “전후 일본인에겐 단지 두 가지의 선택이 있었다. 에드윈 라이샤워 같은 사람이 독려한 대로 ‘국제주의자’가 되든지 아니면 국가주의자로 남는 수밖에 없었다. 사실상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국가주의는 지극히 위험한 이데올로기로 낙인찍혔으니 말이다. “그리하여 대다수 일본인은 자명한 길을 선택한다. 국제주의자가 된다는 것은 미국이 일본에게 준 헌법, ‘평화헌법’ 지지를 뜻했다. ‘일본인은 누구이며 착한 일본인이 되려면 어찌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데 대해서도 미국 및 기타 나라의 견해를 수용한다는 의미였다.” (442쪽) 저자는 평화헌법의 골자인 9조, 즉 법률로 명기된 사항만 자위대의 활동을 허락하는 조항이 매번 국내외에서 보여준 일본의 정신분열증적인 행동의 원천이라고 지적한다. 1960년대 초 남극에 관측선을 보내기 위해서도 헌법을 개정해야 했고, 도쿄올림픽에서 자위대가 교통규제에 동원되어야 할 때도 법을 바꾸어야 했으며, 1995면 고베지진이 발생했을 때에도 피해자를 돕기 위해선 이틀을 기다려야만 했다는 것이다. 걸프전 당시 국제사회에서 큰 비난을 받았던 일본의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태도 역시 평화헌법을 두고 어찌해야 할지 모르는 일본의 딜레마였다고 설명한다. 전후 일본인이 선택해온 국제주의는 국제 문제에 관여하지 않는 것, 경제규모에 걸맞는 국제적 책임을 돈으로 외면하려는 것일 뿐인 수치스런 외교 정책이라는 것이다. (449쪽) 저자는 “일본은 미국이 준 (심지어 영어로 초안이 마련되고 일본어로 번역된) 헌법을 찢어버리고 자기 손으로 헌법을 만들어 새출발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엇이든 스스로 결정해야 할 때가 왔다는 것이다. (454쪽)

자주독립국이 자신들의 국가정체성을 스스로 세워나가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은 어쩌면 당연한 말이다. 하지만 과거사 문제가 청산되기는커녕 친일파가 다시 부활한 듯한 우리의 현실 속에서, 우리는 평화헌법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일본의 딜레마임과 동시에 우리의 딜레마가 아닐까?

우리에게 일본은 무엇인가?
일본드라마, 음악, 소설, 만화 등에 열광하면서 동시에 일본인을 쪽바리라고 서슴없이 폄훼하는 우리, 일본의 경제력과 저력을 가장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우리에게 일본은 여전히 가깝고도 낯설다. 우리에겐 친일과 반일 두 가지 선택지밖에 없는 듯 보이기도 한다. 동시에 우리는 민족주의자가 극단적인 친일인사로 변모하는 것(조선시대 말에서부터 지금도)을 너무도 자주 목격한다. 이런 극단 사이의 횡단을 피하는 길은 반민족적인 친일과 극단적인 반일 이전에 필요한 지일(知日)이 아닐까. 『일본의 재구성』은 오늘의 일본, 우리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사는 일본인들을 색안경 없이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이자 우리와 공유하는 많은 문제들을 우리보다 먼저 겪고 있는 일본의 모습은 우리를 되짚어 볼 수 있는 거울이 될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

 

From Library Journal
Smith, a journalist (New York Time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attacks the view of Japan held by most Americans. Articulated best by Edwin O. Reischauer (The Japanese, 1977; updated as The Japanese Today, LJ 1/88), it sees the Japanese as "our hard-working, uncomplicated, compliant friends." This view, argues Smith, glosses over many unattractive things about Japan, including the subservient position of women, violence in the educational system, poverty in rural areas, and undue stress in the workplace. Smith believes that by acting as apologists for Japan, Reischauer and others in what has become known as the Chrysanthemum Club have failed to allow the Japanese their own past. After examining Japanese history, society, and culture, Smith sees the Japanese "re-creating themselves, making themselves anew." This will allow them to see themselves as they actually are. A thoughtful work; highly recommended.?William L. Wuerch, Micronesian Area Research Ctr., Univ. of Guam
Copyright 1997 Reed Business Information, Inc. --This text refers to an out of print or unavailable edition of this title.

 

출처: http://www.amazon.com/gp/product/product-description/0679745114/ref=dp_proddesc_0?ie=UTF8&n=283155&s=books

client state-Gavan McCormack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개번 매코맥 "日의 對美의존, 결국 쇠락 가져올 것"

'종속국가 일본' 저자 개번 맥코맥 교수 인터뷰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권이 출범한 뒤부터 '내셔널리즘'이라는 표현은 일본 정치를 수식하는 관용어처럼 됐다. 그러나 개번 매코맥(71ㆍ사진) 호주국립대 명예교수는 "이 시기부터 일본이 완전한 종속국가(client state)가 됐다"고 단정한다.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이미지로 고이즈미를 기억하는 한국인에겐 어리둥절한 얘기다. 매코맥의 관점을 세밀하게 풀어 쓴 책 <종속국가 일본>(창비 발행)이 한글로 번역돼 나왔다.

한글판 출간에 맞춰 방한한 매코맥 교수는 24일 기자회견을 갖고 "일본은 미국의 세계전략에 편승해 지역패권을 노리고 있는데, 미국의 요구에 따라 헌법을 개정해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신자유주의적 '개혁'으로 미국 자본의 일본 진출을 용이하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천황에 대한 충성심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교육기본법 개정 등 겉으로만 내셔널리즘의 특징을 띠는데, 그것은 레토릭(수사)일 뿐이며 본질은 대미의존도 강화를 통한 종속화"라는 것이다.

그는 일본의 종속정책이 "성공적이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악화되는 일본과 미국의 경제상황, 중국의 부상으로 인한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 변화 등이 근거다. 그는 "종속화의 귀결은 결국 쇠락하는 일본"이라고 결론짓는다. 그의 책은 심화되는 종속화의 징후들과 함께 종속화의 약한 고리인 오키나와, 핵정책 문제 등을 심도있게 다룬다.

매코맥 교수는 대미 의존성을 높이고 뒤늦게 '고이즈미 식 개혁'을 좇아가는 한국의 이명박 정부에 대해서도 "성공적이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과거 일본이 의존하던 시기에 비해 미국은 쇠퇴기에 있는데, 이런 나라에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 그의 말이다. 유상호기자 shy@hk.co.kr 입력시간 : 2008/09/27 02:39:58

 

출처: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809/h2008092702395384210.ht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In Client State, Gavan McCormack examines the current transformation of Japan, designed to meet the demands from Washington that Japan become the “Great Britain of the Far East.”

 

Client State is an extraordinary d0cumentation of Japan’s history and current submission to American policy at the loss of tradition, free speech, neighbouring allies and national consciousness in favour of military defense, government corruption and growing involvement in US global imperialism. This chilling work masterfully narrates a story of submission, corruption and the startling decline of Japan’s impressive economy, which has recently left over 1 million Japanese families on welfare and another 2 million in need.
 

“One of the most important writers in English at work today on all of the countries of Northeast Asia.” — Chalmers Johnson, President of the Japan Policy Research Institute, and author of Blowback

 

Gavan McCormack is Emeritus Professor in the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His recent books include The Emptiness of Japanese Affluence; Japan’s Contested Constitution and Target North Korea: Pushing North Korea to the Brink of Nuclear Catastrophe.

 

 

출처: http://www.versobooks.com/books/klm/m-titles/mccormack_g_client_state.shtml

--------------------------------------

 

Books

  • Japanese Imperialism Today: Co-prosperity in Greater East Asia (co-authored with Jon Halliday), London and New York, Penguin and Monthly Review Press, 1974, 279 pp. ISBN 0-14-021669-3.
  • Chang Tso-lin in Northeast China, 1911-1928: China, Japan and the Manchurian Ide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7, 334 pp. ISBN 0-8047-0945-9.
  • Korea North and South, co-edited with Mark Selden,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978, 240 pp.
  • Twice Victims: Koreans at Hiroshima, edited and introduced, jointly translated from Japanese with Kang Ok Su, Tokyo, The Korean Peace Committee in Japan, 1981, 44 pp.
  • The Price of Affluence: Dilemmas of Contemporary Japan, translator-in-chief and editor of Rokuro Hidaka's Sengo Shiso o Kangaeru (Tokyo), Iwanami, 1980). Tokyo and New York, Kodansha International, 1984
  • Japanese Society: Ins and Outs in Showa 60, translated and edited by Gavan McCormack and Yoshio Sugimoto, Papers of the Japanese Studies Centre, Melbourne, No. 8, December 1986, 30 pp.
  • Democracy in Contemporary Japan, co-edited with Yoshio Sugimoto, Sydney, Hale and Iremonger, and New York, M.E. Sharpe, 1986, 272 pp ISBN 0-87332-397-1, ISBN 0-87332-398-X (pbk).
  • The Japanese Trajectory: Modernization and Beyond, co-edited with Yoshio Sugimot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300 pp ISBN 0-521-34515-4.
  • Bonsai Australia Banzai: Multifunctionpolis and the Making of a Special Relationship with Japan, Gavan McCormack, ed., Pluto Press, Sydney, 1991, 228pp.
  • The Burma-Thailand Railway: memory and history, (co-edited with Hank Nelson), ed, Sydney, Allen and Unwin, 1993, 175pp;
  • Peace and Regional Security in the Asia-Pacific: A Japanese Proposal, translated, edited and introduced, Peace Research Centre,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ANU, Working Paper No 158, September 1995, 59pp.
  • Multicultural Japan: Palaeolithic to Postmoder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co-edited with Donald Denoon, Mark Hudson, and Tessa Morris-Suzuki). 296 pp. ISBN 0-521-55067-X
  • Target North Korea: Pushing North Korea to the Brink of Nuclear Catastrophe, New York, Nation Books, and Sydney, Random House Australia, 2004. 228 pp. ISBN 1-56025-557-9.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Gavan_McCormack

-------------------------------------

Client state is one of several terms used to describe the subordination of one state to a more powerful state in international affairs. It is the least specific of these terms and may be treated as a broad category which includes satellite state, puppet state, neo-colony, protectorate, vassal state and tributary state. (See also unequal treaty.) The idea that there might be a hierarchy of states, some more or less dependent on others, contradicts the doctrine of Westphalian sovereignty which holds that each state is a distinct, separate and sovereign entity.

 

Client states have existed for millennia as stronger powers forced their neighbours to become subservient to them as they grew in status and strength. In ancient times states such as Persia and Greek city-states would create client states by making the leaders of that state subservient. One of the most prolific users of client states was Republican Rome which, instead of conquering and then absorbing into an empire, chose to make client states out of those it defeated, a policy which was continued up until the 1st century BC when imperial power took over. The use of client states continued through the Middle Ages as the feudal system began to take hold.

 

More commonly the terms were applied to nations ruled by dictatorships backed openly by either the United States or the Soviet Union.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ld War many Latin American nations such as Guatemala, El Salvador, Nicaragua prior to 1979, Cuba prior to 1959, and Chile under the regime of General Pinochet were seen as U.S. client states since the U.S. govern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policies of those dictatorships. The term applied to other authoritarian regimes with close ties to the United States, more appropriately referred to as U.S. proxy states during the Cold War such as South Vietnam, Iran prior to 1979, Cambodia under the regime of Lon Nol, the Philippines and Saudi Arabia among others.

Arguably the term might also be used for those states extremely dependent for economic health on a more powerful nation. The three Pacific countries associated with the United States under the Compact of Free Association may fall somewhat in this category.

 

Soviet proxy or "client" states included much of the Warsaw Pact nations whose policies were heavily influenced by Soviet military power and economic aid. Other third world nations with Marxist-Leninist governments were routinely criticized as being Soviet proxies as well, among them Cuba following the Cuban Revolution, People's Republic of Angola, People's Republic of Mozambique, People's Democratic Republic of Afghanistan,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A.K.A. North Vietnam), amongst others.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Client_state

 

------------------------------------

 

Zbigniew Brzezinski, senior advisor to several US presidents, once spoke of a world divided into three kinds of countries : vassal, tributary, and barbarian. The "three grand imperatives of imperial strategy", he said, are "to prevent collusion and maintain security dependence among the vassals, to keep tributaries pliant and protected, and to keep the barbarians from coming together".

According to Gavan McCormack, Japan clearly ranks among the vassal states, although he also uses the expression "client state", or even "puppet state", to characterize its subordination to the US. The expression "puppet state", or kairai kokka in Japanese, refers of course to Japan's treatment of Manchukuo until 1945, where the "last emperor" Pu Yi was put on the throne in a process that the author compares to General McArthur's decision to maintain emperor Hirohito as the symbol of the Japanese state in the 1947 constitution.

Indeed, the analogy with the war and the post-war period runs further. According to McCormack, US officials who, like Richard Armitage, lecture Japan on its need to become "the Great Britain of East Asia" are modern proconsuls who keep treating the Japanese like twelve-years old children, as General McArthur once allegedly said. US hegemonic imperialists share with war-time Japan the same disdain for international rules, the same belief in the superiority of military might, and the same urge to remodel an entire region (then East Asia, now the Middle East) according to their own plans. And Japan is following a path of political violence and nationalist hyperbole that might present "a replay of the collapse of parliamentary politics in the 1930s".

Australian academic G. McCormack uses such hyperbole that I sometimes wonder whether he describes the same country that I have studied and lived in for more than fifteen years. He begins his book by describing a wave of media campaigns and terrorist assaults conducted by ultra-nationalists groups that sends shrills down the spine of his uninformed readers. According to his creed, Japan has fallen into the grips of a neo-nationalist, revisionist, and reactionary clique that sets back the clock to the worst pages of its history. It has become a plutonium superpower that puts nuclear weapons (American, but it could very well produce its own) at the core of its defence strategy. Under prime minister Koizumi, it has embraced neo-liberalism with the enthusiasm of a late convert, dismantling the protective welfare state along the way. And it has become a useful servant in Bush's world, casting away its commitment to peace and its efforts at regional integration in favour of reckless foreign adventures in Iraq and sabre rattling against North Korea.

At the heart of McCormack's argument lies what seems to me a basic historical mistake: the idea that the US occupation forces, aided by anthropologist Ruth Benedict and other proponents of the culturalist approach, imposed on Japan the idea of a distinctive, deeply-rooted and homogeneous culture in order to distance the country from Asia and to keep it firmly into America's embrace. But China was a staunch ally of the US until 1949, was offered a permanent seat at the UN security council, and figured prominently in US strategic plans for the region until the communists took over. It makes therefore little sense to argue that the US deliberately separated Japan from Asia by insisting on its non-Asian identity. Truth is, US occupation forces tried to extirpate the remnants of militarism and feodalism from Japanese society, and it is a distortion of facts to see a continuity between war-time proponents of the "kokutai", American culturalists, and modern conservative thinkers preoccupied with "Japaneseness".

I nonetheless found some useful snippets in the book, provided one is informed of the author's bias. The chapter on Okinawa is an interesting case study of a province whose distinctiveness is seldom reported. There are valuable quotes of some Japanese liberal intellectuals, such as Tokyo University philosophy professor Tetsuya Takahashi or Hokkaido University political scientist Jiro Yamaguchi. But I would recommend direct access to their writings, some of which are available in English, rather than to rely on such a inflammatory diatribe.

 

출처: http://www.amazon.com/Client-State-Japan-American-Embrace/dp/184467133X

2008년 9월 28일 일요일

Chang, Ha-joo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한겨레21>제728호(
2008년 9월 26일자)에 실린 장하준 교수의 인터뷰
인터뷰 내용을 읽어보았다.

(출처: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23393.html)

 

-----------------------------------

 

장하준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교수(경제학)의 자택으로 전화를 건 9월19일 0시께. 미리 전자우편으로 전해받은 번호대로 전화기 버튼을 눌렀지만, 수화기 건너편에서는 엉뚱한 목소리만 흘러나왔다. 세 번의 시도 끝에 장 교수의 목소리를 듣게 됐을 때, “아마 집 전화기에 혼선이 있었나 보다”는 설명이 돌아왔다. 혼선. 장 교수에게 보낸 인터뷰 요청 전자우편에도 동원된 단어였다. 리먼브러더스나 AIG 같은 미 월스트리트 권력의 핵심을 강타한 금융위기가 한가위 연휴를 마친 한반도에 상륙한 이후의 상황을 돌아보자. 언론들은 금융 시스템의 붕괴를 알린 다음날 시장이 안정을 찾았다고 선언하고, 다시 그 다음날엔 파국의 묵시록을 전하는 ‘혼선’을 거듭해왔다. 시장만능을 외치는 신자유주의를 맹렬히 비판해온 장 교수는 지금의 사태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을까. 그는 “기본적으로 지난 20여 년 동안 세계를 지배한 신자유주의적 금융자본주의의 파산”이라고 말문을 뗐다.

 

-한 달 전 한 일간지에 쓴 칼럼의 제목이 ‘금융자본주의의 실패를 지켜보며’였다. 월가의 몰락이 드라마처럼 전개되는 지금, 그 금융자본주의의 실패가 통제 가능한 실패라고 보는가, 아니면 시스템 붕괴로 이어질 파국이라고 보는가.

 

=자본주의가 망할 거냐고 물으면 그건 아니다. 대공황처럼 될 거냐고 물으면 그것도 아니다. 하나 지난 20여 년 동안 세계를 지배한 신자유주의형 금융자본주의가 파탄을 맞을 확률은 높다. 그러나 크게 망하더라도 그 체제에서 이익을 보는 사람들이 지키려고 하기 때문에 질질 끌고 갈 수 있다. 유럽에서 봉건제도가 망했다고 선언된 뒤에도 몇백 년씩 지속됐고, 19세기식 자본주의는 1차 대전이 끝나면서 실패가 증명됐음에도 대공황 때까지 버티고 버텼다.

-지금의 사태는 언제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관련해서는 파생상품·복합상품이 너무 많고 손실 보고가 안 되는 ‘오프 밸런스 시트’ 같은 것도 있어서 금융사 자신도 정확한 피해규모를 모른다. 금융거래의 본질이 또 원래 그렇다. 사과를 사면 그 자리에서 집어오는데 금융은 결과를 몇 달 뒤, 아니 주탁담보대출 같은 경우에는 20여 년 뒤에나 받게 된다. 서브프라임 사태도 처음 얘기가 나온 게 2006년 말인데, 1년 넘게 지나면서 핵심부 강타를 시작했다. 핵심부에서 다시 충격파가 퍼지면서 보험회사도 나가떨어진 것이고. 또 다른 금융 부문에 영향을 미치면 대량 해고가 빚어지고 돈 꾸기가 힘들어지고 일자리 창출이 안 되고 소비가 죽는 등 연쇄 과정이 빚어진다. 또 이게 다시 금융 부문의 충격으로 밀려오게 된다. 대공황 이후에 지금같이 큰 금융위기는 미국에선 없었다. 그러나 그것 때문에 세계가 곧 바뀔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큰 역사의 변화는 예측이 힘들다.

-한국은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들이 파생금융 상품을 만들 실력이 없었던 덕분에 서브프라임 사태로 큰 피해를 입지 않는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번 금융위기는 한국 경제에 찻잔 속 태풍인가, 아니면 제2의 외환위기 같은 파국의 도화선인가.

=한국 정부 관계자들이 금융위기가 호재라거나 증시의 외국인 의존도가 줄고 수출 의존도도 낮아진다고 떠드는 걸 보면, 1970년대 초등학교 때 잡지에서 읽은 얘기가 떠오른다. 동네에 불이 나 초가삼간이며 고래등 기와집이며 모두 탔다. 뒷동산에서 거지가 아들한테 ‘집 있으면 뭐하냐. 우리는 집 없으니까 불날 걱정 없다’ 이렇게 자랑한다. 지금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가. 정치적 아전인수 해석은 결국 거지 아버지와 같은 얘기를 하는 것이다. 어찌하면 이 난국을 막을까 생각해야 하는데 이게 기회라는 말도 안 되는 얘기를 하니, 참.


-연쇄 부도 사태를 막겠다며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미국 정부의 대응은 적절하다고 보는가.

 

=지금 미국 정부가 구제금융을 하는 방식은 예컨대 한국이 외환위기 때 취할 수 없었던 것들이다. 이런 게 바로 ‘사다리 걷어차기’다. 미국은 문제가 터지면 대부분 정부가 개입해왔으면서, 한국이나 제3세계에 대해선 그걸 못하게 막는다. 1980~90년대 미국에서 발생한 저축대부조합 파산사태 때 국내총생산(GDP)의 3%에 해당하는 공적자금을 은행과 금융기관에 부어넣었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야당과 진보단체들은 일제히 “미국 금융 베끼기를 중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미국 금융’의 실체는 무엇인가.

=간단히 얘기하면 미국식 금융자본주의는 ‘돈 놓고 돈 먹기’다. 실물경제와 관련 없이 금융이 돌아가는 것이다. 19세기 말 투자은행이 생겼을 때 이들은 일종의 벤처캐피털 회사였다. 100만달러를 투자할 테니 지분 30%를 달라 하고, 그 회사가 상장하면 지분을 팔아서 몇천만달러를 챙기는 게 주업무였다. 그런 기능을 하던 투자은행들이 인수·합병을 중개하는 것, 즉 장기적으로 기업을 키우는 게 아니라 단기적으로 비슷한 것들을 합치고 직원을 해고하면서 비용을 절감하고, 그래서 이윤을 올리면 성과를 챙기고, 금융공학으로 투명성 없는 복합상품을 만들어 파는 존재로 바뀌었다. 또 보험은 원래 목적이 인생에서 예기치 못한 일들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건데, AIG는 위험성 노출이 잘 안 되는 복잡한 금융거래를 보험해주다 당한 거다. 실물과 상호보완적인 금융이 아니라, 자기 증식 논리를 갖고 돌아가는 게 지금 미국·영국의 금융이다. 이건 틀렸다. 옛날처럼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참여정부의 금융허브론, 이명박 정부의 금융중심지론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재검토돼야 한다. 금융자본의 중심지에서 그것의 꽃이라고 불리던 투자은행 모델이 붕괴됐는데, 그걸 계속 하겠다고 고집하는 것은 이해되지 않는 일이다. 국내에서 여전히 그런 얘기를 하는 이유는 뭘까. 하나는 상황 파악을 잘 못하는 거고, 또 하나는 나라는 망해도 자기는 이익을 보니까 그러는 거다. 산업은행 총재의 (리먼브러더스) 스톡옵션 보유 사례를 보자. 그게 꼭 의도해서 한 거라고 단정할 순 없지만, 그런 식으로 항상 자기 이익이 관련된 사람이 있고 이들은 자기만 잘되는 일을 할 것이다. 또 많은 사람들이 ‘선진국=요즘 미국=신자유주의’라는 공식을 무조건 옳다고 철통같이 믿으니까 문제다. 자본시장통합법 같은 것도 한발 더 미국식 금융자본주의에 다가가고 싶다는 얘기 아니냐.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한국 사회가, 또 정부가 선택할 수 있는 근본적 대안은 없는가.

=내가 보기에 ‘투자자 보호 방안’ 운운하는 건 자동차 속도제한을 없애고 교통사고 처벌도 약화시키고는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이 걱정되니 정부에서 싼값에 헬맷을 나눠주는 것과 같다. 시스템을 바꾸지 않으면 투자자를 보호할 수 없다. 규제도 잘 안 되는 파생상품을 만들고, 역외 조세 도피처를 만들어 투명성도 없고 규제도 안 되게 만들지 않는가. 과거 소버린이 SK 경영권을 위협할 때 투명성을 제고하도록 뜯어고쳐야 한다고 떠들었으면서 자기들은 이사회 구성도 밝히지 않았다.

1980년대 이전에는 모든 나라가 금융 분야에 대한 규제를 강하게 했는데 경제는 더 잘됐다. 1945~70년에 개도국에서 발생한 외환위기와 금융위기가 17건에 불과했는데, 70년대 중반부터 자유화되면서 이후 1997년까지 95건이나 터졌다. 확실히 인과관계가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미 실행해본 대안으로 가면 된다. 희한하고 새로운 시스템은 없다. 그러나 우리는 (자본에 고삐를 채우는 일을) 옛날에 다 해봤다. 물론 되돌리려면 굉장한 정치적 의지가 필요하다.

-이번 사태가 금융자본주의에 대한 근원적 반성을 불러오는 게 아니라, 오히려 어떤 기득권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지 않은가.

=항상 그게 참 예측이 힘들다. 대공황이 났을 때 미국은 이른바 뉴딜 자본주의를 했고, 스웨덴은 조합주의를 했고, 독일·이탈리아는 파시즘을 택하며 다른 식으로 반응했다. 이번 사태가 계기가 돼서 금융을 억제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지만, 약한 사람들, 서민들을 더 몰아붙이는 식으로 갈 수도 있다.

임주환 기자 eyelid@hani.co.kr

 

--------------------------------------

<노컷뉴스>에는 고성국 씨와 행한 인터뷰 기사가 있다. (출처: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938158)

 

▶ 진행 : 고성국 박사 (CBS 라디오 '시사자키 고성국입니다')
▶ 출연 : 영국 캠브리지대학 경제학과 장하준 교수

( 이하 인터뷰 내용 )

- 미국정부가 AIG에 대한 긴급 구제금융을 제공했지만 미국의 금융위기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정부의 긴급 구제금융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상황이 이렇게 되면 아무리 시장주의를 좋아하는 정부라도 구제금융을 안 할 수가 없거든요. 일본이 잃어버린 10년이라고 했던 것도 구제금융을 너무 늦게 하고 제대로 안 해서 그런 거니까 지금 같은 상황이 오면 구제금융을 하는 게 맞죠.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해놓고 부담은 결국 납세자들이 지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옳은 방법은 이런 일이 벌어지면 규제를 제대로 해서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건데, 규제완화는 규제완화대로 해서 금융가에 있는 사람들이 자기들 돈 벌 건 다 벌고, 그 다음에 일 어려워지면 정부가 납세자 돈으로 메워주는 건 장기적으로 보면 옳지 않죠.

- 특히 리먼브라더스는 파산시키고 AIG는 구하는 식으로 원칙이 없다는 비판이 일면서 '정실자본주의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그럼요, 정실자본주의죠. 97, 98년에 한국과 아시아 외환위기가 났을 때 아시아만 그런 게 있는 것처럼 얘기했지만 사실 그런 건 다 자기들도 하는 거거든요. 우리는 순진하게 믿으면서 미국은 항상 올바르고 원칙에 맞는 일만 하는 나라라고 생각하는데 그런 게 아니죠.

- 미국의 금융위기가 수습단계로 들어섰다고 보십니까, 아니면 앞으로 더 확산될 거라고 보십니까?

아직 한참 남았죠. 지금 미국정부에서 너무 급하니까 악성부채들을 정부가 다 떠안겠다는 안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지금 문제는 금융위기가 한창 진행형이지만 실물위기는 아직 시작도 안 됐거든요. 이런 식으로 금융이 말려들기 시작하면 돈 빌리기 어려우니까 기업들이 투자를 못해서 일자리도 못 만들고, 금융기관이 망하면 거기서 해고되는 사람들이 생기고, 그 금융기관과 거래해서 먹고살던 사람들도 일자리를 잃어버리게 되고, 그런 식으로 하면서 실물에서 소비가 위축되면 또 그게 다시 파급효과가 오는 거거든요. 그런 게 다 지나가고 해소되려면 2,3년은 걸릴 거라고 생각합니다.

-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헤지펀드 수백 개가 떼도산을 할 수도 있다"는 경고도 하고 있는데요?

제가 지금 할 수 있는 얘기는 '누가 망할지는 모르지만 누구라도 망할 수 있다'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특히 지금 어려운 건 지난 20년 동안 금융자유화가 되면서 굉장히 복잡하고 투명하지 않은 파생상품과 복합상품이 많이 생기고, 조세도피처나 역외자본 같은 게 생겨서 사실 지금 아무도 어떤 회사의 부실이 어떤 규모인지 알 수 없거든요. 아마 본인들도 잘 모를 겁니다. 회사 입장에선 부실규모를 축소해서 발표하는 게 자기 이익에 맞겠지만요. 그러니까 본격적으로 터진 건 2007년 여름이지만 2006년 말에 처음으로 미국의 서브프라임 문제가 제기됐을 때 미국 정부는 부실규모가 500~1000억 불이니까 금방 해결된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지난 몇 달간 미국정부가 투입한 공적자금만도 직접적으로 투입한 게 5000억, 간접적으로 시장에 유동성 푼다고 투입한 게 4000억 정도 돼서 총 9000억불 정도를 투입했어요. 처음엔 500~1000억 불을 얘기했는데, 그러니까 아무도 정확히 규모도 모르고 어디에 악성부채들이 숨어있는지도 모르기 때문에 루비니 교수 말이 맞을 수도 있고요. 제가 드릴 수 있는 말씀은 누가 망할지는 모르지만 누구라도 망할 수 있다는 거죠.

- 미국정부가 구제금융을 해서 개입하면 이 사태를 수습할 능력은 가지고 있는 겁니까?

그건 모르죠. 문제의 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아직 잘 모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덜컥 모든 악성부채를 정부가 떠맡아서 해결해보겠다고 했는데 너무 규모가 커버리면 미국정부도 다른 정부보다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한계가 있는 건데, 문제의 규모가 어떤지 모르기 때문에 어떻게 될지는 말씀을 못 드리겠네요.

- 이런 위기의 근본원인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기본적으로 70년대 말부터 시작된 금융규제완화와 자유화에서 문제를 찾아야죠. 과거 50~70년대 중반까지는 금융과 실물이 동반하는 관계였는데, 금융이 고삐가 풀리면서 지금 금융기관이 하는 많은 부분의 일들이 실물경제와는 상관없이 금융자산 가지고 먹고사는 거거든요. 그렇게 되다보니까 점점 실물과 금융이 괴리가 생기면서 자꾸 거품이 생기는 거죠. 이미 80,90년대 개도국을 시작으로 해서 거품이 생겼다가 꺼지면서 문제가 된 것이고, 미국도 90년대 후반에 닷컴 붐부터 시작해서 거품이 엄청나게 끼었는데 그게 처음에 주식시장 나스닥에 끼었다가 빠진다고 하니까 경기 살린다고 이자율 내려서 그게 주택시장으로 옮겨가면서, 말하자면 거품을 계속 돌려막기를 한 거거든요.

- 그린스펀 의장이 있을 때 그런 상황이 벌어진 거죠?

네. 그러나 결국 한계가 온 거죠. 금융이 아무리 괴리가 돼도 어느 점엔가는 실물 부분과 연결이 되어있는 거니까 결국 무리하게 돈을 꿔서 집을 산 사람들이 못 갚고, 가계부채 때문에 파산하고, 기업들이 도산하기 시작하니까 결국 문제가 터진 거죠.

- 이런 상황을 신자유주의라는 정책기조의 실패라고 볼 수 있을까요?

그렇죠. 신자유주의가 가장 자랑했던 게 그런 식으로, 특히 금융 부분에서 규제를 완화해서 자본이 제일 수익성이 높은 데 왔다갔다하게 해야 경제가 잘된다고 주장했는데 그 시스템의 한계가 명확하게 드러난 거죠.

- 그렇다면 미국에서는 신자유주의가 파탄을 보인 건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신자유주의가 대세인 것처럼 여겨지고 있지 않습니까?

네. 원래 변두리에 있는 나라들은 중심국에서 한물 간 걸 받아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도 그런 게 아닌가 싶어서 걱정됩니다. 한 1년 전까지만 해도 그게 맞는 거라고 생각하는 걸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지만 지난 1년 동안 국제금융시장을 비롯해서 세계경제가 신자유주의의 결과로 망가져가는 걸 보면서도 우리는 이걸 해야 한다고 우기는 분들을 보면 이해가 안 갑니다.

-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 우리 정부는 "이번 위기로 오히려 불확실성이 제거됐다, 수출은 어려워지더라도 내수는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는데요?

불확실성은 계속되는 거죠. 솔직히 저를 포함해서 2주일 전에 백 년 이상 대공황까지 살아남은 리먼브라더스나 메릴린치 같은 기업들이 망하리라고 누가 생각했겠습니까. 그리고 루비니 교수의 말처럼 헤지펀드들도 불확실 상황이 계속되는 거죠. 그리고 수출이 안 돼서 내수가 상대적으로 좋아지면 그게 좋은 거라고 하는 건 완전히 억지소리라고 보는데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수출의존도가 너무 높다고 걱정하면 '세계화 시대에 촌스러운 소리 하지 말라'고 하던 분들이 이제 와서 언제부터 자기들이 내수 걱정했다고, 그것도 절대적으로 내수가 좋아지는 게 아니라 수출이 찌그러지니까 상대적으로 좋아지는 건데 그런 식으로 해서 내수 비중이 올라가는 게 좋은 거라고 말하는 건 상황이 변하는 데 따라서 말을 바꾸는 거죠.

- 산업은행이 리먼브라더스 인수를 추진했던 걸 두고 '그만큼 우리나라 국력이 커진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는데요?

저는 그것 때문에 국제무대에서 웃음거리가 됐다고 보는데요. 사실 리먼브라더스는 파산선고 하기 전까지 영국의 유수 은행인 바클레이즈나 미국의 뱅크오브어메리카 같은 기업들이 인수하려고 했다가 인수했다가 도저히 안 될 것 같으니까 미국정부에 채권 최소한 일부라도 보증해달라고 나왔는데 미국정부가 그렇게는 못하겠다고 해서 다 발을 뺀 거거든요. 그런 몇백 년 역사를 가진 유수한 선진 금융기관들도 머리 내저으면서 도망간 금융기관을 우리나라 산업은행이 데려다가 무슨 수로 살립니까. 그리고 설사 운이 좋아서 살렸다 하더라도 왜 우리나라 납세자 돈 가지고 운영하는 산업은행이 가서 미국의 망한 은행을 도와줘야 합니까. 그건 우리나라에서 굉장히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겁니다.

- 지금 시점에서 우리 정부에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노무현 정부 때부터 시작해서 금융허브니 금융중심지니 하면서 계속적으로 우리 정부가 금융자유화와 규제완화를 통한 금융산업의 발전이라는 노선을 추구해왔는데요. 저 개인적으로는 이런 걸 계기로 해서 그런 노선을 버려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최소한 그걸 지지하는 분들도 한번 재고는 해보셔야 하지 않느냐는 겁니다. 왜냐면 그분들이 바라는 모델이 미국식의 금융자본주의이고, 그 미국식 금융자본주의의 꽃이라고 하는 것이 최근에 망한 리먼브라더스 같은 투자은행인데, 지금 1등부터 5등 하던 것 중에 3,4,5등은 없어지고 1,2등도 휘청휘청하잖아요. 모건스탠리는 중국에서 돈 받아서 한다는 얘기까지 나오는데, 지금 그렇게 엄청난 문제점이 드러난 모델을 왜 우리가 뒷북치면서 쫓아가야 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봅니다.
-----------------------------------------

비슷한 시기 <오마이뉴스>와도 9월 19일 인터뷰를 했다.

출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81164

 

"하루라도 늦기 전에 (경제정책의) 방향을 바꿔야죠. 그렇게 맹종했던 미국식 경제가 하수도로 저렇게 빨려들어가고 있는데, 우리가 거기에 운명을 같이 하겠다는 것은 말이 안되죠."

 

수화기 너머로 들려오는 그의 목소리 톤은 이미 올라가 있었다. 그동안 미국식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에 날선 비판을 해왔던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경제학). 그와 지난 18일 밤 전화 인터뷰를 했다.

 

학기가 시작되기 전인 9월 말까지 여름휴가를 보내고 있다는 장 교수는 연일 터져 나오는 미국발 금융 위기 소식에 큰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었다.

 

그는 1시간에 걸친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중심의 금융자본주의의 허상을 조목조목 지적하면서, "최소한 2~3년간 금융위기가 계속될 것"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현 금융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또 산업은행의 리먼브라더스 인수 시도, 정부의 각종 금융관련 규제 완화 등에 대해 특유의 어조로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민유성 산업은행장이 '리만을 인수했을 경우 파산까지는 이르지 않았을 것'이라는 발언에 대해, 그는 한마디로 "희극"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장 교수는 "산은보다 덩치도 크고 경험도 많은 회사들이 손사래치면서 도망간 회사를 두고, 산은이 무슨 재주로 살리겠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된다"면서 "왜 미국에서 잘못한 회사를 우리가 가서 구해야 하는지, 그것도 개인 돈이 아닌 납세자(국민)의 돈인데,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한국에서도 미국처럼 부동산발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미국처럼 심각하지는 않지만, 거의 유사한 상황에 처해있다"면서 "일본처럼 시기를 놓치지 말고, 하루 빨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무엇보다 현재 이명박 정부가 추진중인 각종 금융규제 완화 등에 대해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내년에 시작될 자본시장통합법을 비롯해, 금융시장 선진화, 산업은행 민영화 등 정부가 추진중인 각종 금융정책들은 이미 실패로 끝나고 있는 미국식 금융모델"이라며 "국민들이 잘못된 정책의 피해를 받기 전에 심각하게 정책 추진을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장하준 교수와 나눈 일문일답.

 

- 최근 미국의 대형 투자은행들이 잇따라 무너지면서, 전 세계 금융시장이 대혼란에 빠져 있다. 예전부터 이런 상황을 예상하셨던 것 같은데.

"(웃으면서) 정확히 이런 형태로 올줄 알았다고 말하면 거짓말이고, 하지만 어떤 형태로든 언젠가 문제가 크게 터질 것이라고는 생각해서인지, 별로 놀라지는 않았다. 지난 20년 동안 신자유주의적 금융자본주의가 세계를 장악해 왔는데, 그동안 조금씩 불거지던 문제들이 쌓여서 한번에 드러난 것이다."

 

- 국내 금융시장이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보다 더 충격을 받은 듯 하다.

"여기서 보니까, 한국이 굉장히 놀란 것 같은데, 아마 두가지 이유 때문인 것 같다. 하나는 미국은 절대 안 망할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이 있었다. 또 하나는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미국 금융부실 규모를 과소평가한 측면이 있었다."

 

- 과소평가했다는 것은.

"(곧바로) 지난 2006년 말에 처음으로 서브프라임모기지론(비우량주택담보대출)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나왔을 때 미국정부는 부실 규모를 500억~1000억 달러로 보고, 다 해결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다가 작년 여름에 투자은행인 베어스턴스가 무너졌을 때 부실규모가 2000억~3000억 달러로 됐고, 작년 크리스마스 때면 해결된다고 했다. 하지만 이 역시 지켜지지 않았다. 결국 이번에 미국정부가 투입한 공적자금만 9000억 달러 정도나 된다. 공적자금을 무엇으로 계산하느냐에 따라 다르긴 하더라도, AIG 등에 직접 들어간 것만 4000억~5000억 달러, 유동성 공급한 것까지 하면 9000억 달러 이상 보는 사람도 있다."

 

- 도대체 미국 정부나 세계 금융전문가들도 부실규모가 정확히 파악이 안되는 것 같다.

"미국이 1930년 대공황 이후 각종 규제를 엄격하게 시행했지만, 레이건 시절 이후 규제를 대폭 풀었다. 이후 금융시장에선 각종 파생상품이 발달하면서, 금융업에 일하는 본인들 스스로 부실규모를 몰랐고, 또 장부상 (부실을) 숨기기 좋았다. 정부도 이들 회사들이 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모르니까, 규제도 제대로 안됐던 것이고, 거의 유명무실했던 것이다."

 

- 리먼 파산 이후, 미 정부가 AIG에 대해 공적자금을 투입했는데도 금융시장 불안이 여전하다. 오히려 다음에 누가 쓰러지느냐에 관심이 더 큰 것 같은데. 누가 쓰러질지 예상할 수 있나.

"(웃으면서) 모른다. 무엇을 어디에, 얼마만큼 숨겨놨는지 모르니까. 자신들은 괜찮다고 하더라도, 남들이 안좋다고 생각하면 망할 수도 있지 않나. 예를 들어 영국에서 가장 큰 주택담보대출 업체 HBOS라는 곳이 있는데, 영국 정부도 괜찮다고 했지만, 계속 주가가 떨어지니까 결국 로이즈뱅크라는 곳에 흡수합병되고 말았다. 이런 걸 보면, 누가 망할 것 같다고 말할 순 없어도, 누구든 망할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있다."

 

- 미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을 두고 말들이 많은 것 같다. 부실 금융과 기업은 시장논리에 의해 도태돼야 한다는 것이 그동안 미국에서 줄기차게 이야기해 왔던 논리였는데.

"그동안 여러 차례 책에서도 썼지만, 힘있는 나라나 사람들은 자신들이 좋을 때는 시장논리를 펴면서 간섭받지 않으려고 했다. 하지만 자신들이 어려워지면 곧바로 정부의 개입을 요청하고, 도움 받아 해결하려고 해왔다."

 

- 전형적인 이중잣대 아닌가.

"(목소리를 높이며) 그렇다. 이중잣대도 보통 이중잣대가 아니다. 더 안타까운 것은 우리 나라처럼 당하는 사람들이 너무 순진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은 여전히 정부가 개입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는 식으로…. 정부가 해야될 개입도 안하고 말이지…."

 

- 미국 금융시장의 혼란이 언제까지 계속될 것 같은가.

"(잠시후) 한참동안 가지 않을까 한다. 워낙 금융쪽이 복잡해서, 진짜 돈이 돌아봐야 부실 규모가 파악되지 않겠나. 또 미국, 영국 주택가격도 떨어지고, 기업들 망하면서 실업도 늘면서,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잘못된 것들 다 해소하려면 최소 2~3년은 걸릴 것이다."

 

- 금융불안의 끝이 보인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곧장) 끝이 보인다고 하는 것은 말이 안되고, 1년 전에 시작해서, 지금 점점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제 금융 핵심부까지 강타를 당하고 있으니까, 그것으로 인한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동안 금융이 실물을 끌어내렸으면, 이제는 실물이 금융을 끌어내리는 단계가 올것이고, 하루 아침에 끝날 일이 아니다."

 

- 국내 사정을 돌아보자. 산업은행은 최근까지 리먼을 인수하려고 했었다. 민유성 행장은 오늘(18일)도 국회에 나와 산은이 리먼을 인수했다면, 파산까지는 가지 않았을 것이라고 이야기했는데.

"(웃으면서) 한마디로 희극이다. 산은이 인수해서 (리먼을) 살릴 수 있다는 이야기는 그쪽 이야기일뿐이다. 산은보다 훨씬 덩치도 크고, 경험도 많은 회사들이 손사래치면서 도망간 회사를 두고 무슨 재주로 산은이 살리겠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된다. 설령 살렸다고 하더라도, 결국 우리나라가 봉 잡히는 것 아닌가? 왜 미국에서 잘못한 회사를 우리나라가 가서 구해야 하는지, 그것도 개인 돈도 아니고, 납세자(국민)의 돈을 가지고 말이지… 완전히 무책임한 말이라고 생각한다"

 

- 정부 일부나 일부 언론에선 리먼 인수를 통해 우리나라가 월스트리트로 곧바로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하는데.

"그것도 우리가 어느 정도 실력이 있을 때 하는 이야기다. 우리는 그쪽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모르는데, (인수하면) 속된 말로, 완전히 바지사장꼴 아닌가. 돈만 대고 옆에 멍하니 앉아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내가 어느 정도 기본 능력은 있어야, 이 사람들이 제대로 하는것인지, 속여먹는 것은 아닌지 알 것 아닌가."

 

- 정부에선 리먼쪽에 투자된 금액도 적고, 이번에 국내 시장엔 큰 영향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리먼에 들어간 돈만 생각하면 안된다. 미국, 영국 중심부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한국 주식시장에서 빠져나간 돈만 얼마인가? 미국이 침체에 들어가면 우리 수출도 곧바로 영향을 받고, 중국 수출쪽도 마찬가지로 영향을 받으면서 2차, 3차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돼 있다."

 

- 한국에서도 미국같은 금융위기가 일어날 가능성은 없나. 물론 정부는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하고 있다.

"미국처럼 심각하지는 않지만, 거의 유사한 상황이라고 본다. 주택시장 거품이 빠지고 있고, 가계부채 엄청 나게 쌓여있고, (미국보다) 정도가 좀 덜하긴 하겠지만 미국에 비해 시장 개방도가 높고, 특히 자본시장 해외의존도 역시 높다. 오히려 미국보다 구조적으로 불리한 측면이 많다. 정부가 '우리는 아니다'고 하는 것은 눈가리고 아웅하는식 일 뿐이다."

 

- 참여정부도 그랬지만, 현 정부에선 금융선진화 방안 등으로 각종 규제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은 오히려 반대로 규제강화 쪽으로 돌아가는 양상인데. 정책 변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루라도 늦기 전에 (경제정책의) 방향을 바꿔야 한다. 자본시장통합법 등 금융시장 선진화, 글로벌 투자은행 육성, 산업은행 민영화 등도 다시 생각해야 한다. 이것들이 미국식 금융자본주의 모델인데, 그 본산지가 지금 무너지고 있지 않은가."

 

- 한미FTA와도 연결되는 부분이 많은데, 이 역시 심각하게 고려해야 하지 않은가.

"당연하다. 미국과 FTA할 때부터 이야기를 해왔지만, 미국이라는 나라가 장기적으로 기울어져가는 나라인데, 왜 (우리가) 그렇게 목을 매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해왔다. 이제 미국 경제는 영어식으로 표현하면, 하수도로 빨려들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 나라와 우리나라가 운명을 같이 하겠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 하지만 여전히 정부쪽 관료나 일부 언론 등을 보면 미국식을 쉽게 버리기는 어려울 것 같은데.

"알고 있다. 아직도 무너져가는 모델(미국식 금융자본주의)에 미련이 남아서, 어떻게 하면 비슷해질까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 것 같다. 측은한 생각이 든다. 문제는 이같은 엘리트들에 의해 위험한 방향의 정책이 추진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떠안게 되는 점이다. 좀 늦었지만, 이제라도 우리가 정말 갈길이 미국과 같은 길인지 깊이있게 생각하고, 과감히 바꿔야 한다. 우리에겐 그리 시간이 많지 않다."

 

----

*장하준 교수는 누구?

 

86년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왔다. 당시 대학 동기들이 미국으로 유학을 갈 때, 그는 영국으로 방향을 틀었다. 그가 둥지를 튼 곳은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이곳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고, 지난 90년 10월 만 27세의 나이로 한국인 최초의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됐다. 장 교수는 "영국 유학 당시 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에 한국인 유학생은 한명 밖에 없었고, 케임브리지대 전체에도 한국인 유학생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80년대 후반 미국식 개발경제학에서 벗어나 영국에서 공부한 것도 남달랐지만, 그는 영국에서도 주류경제학이 아닌 '제도경제학'이라는 독특한 분야를 전공했다. 주로 경제모델과 계량화에 치우친 미국식 방식과 달리, 제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경제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경제학이다. 지난 2002년 영국과 미국 등 선진국들의 강력한 보호무역 정책을 꼬집으면서, 그들의 위선적인 세계화를 고발한 '사다리 걷어차기(Kicking away the ladder)'를 출간했다. 이어 2003년엔 신고전파 경제학에 대안을 제시한 경제학자에게 주어지는 '뮈르달상'을 한국인 처음으로 받았다. 이어 2005년에 경제학의 지평을 넓힌 학자에게 수여하는 레온티예프 상을 최연소로 수상했다. 특히 중남미의 반미 성향 좌파 지도자인 라파엘 코레아 에콰도르 대통령이 미국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을 때 장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특히 장 교수의 <사다리...> 읽고 감명을 받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장 교수는 '개혁의 덫', '쾌도난마 한국경제' , '국가의 역할', '다시 발전을 요구한다' 등의 책을 통해 신자유주의적 경제체제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모색해왔다. 지난해 출간한 '나쁜 사마리아인' 은 최근 국방부에서 '불온서적'으로 지정하면서, 오히려 인문서적 가운데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