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31일 월요일

미래의 도서관을 상상하다

 미래의 도서관을 상상하다

 

2025331일 오후 430(한국시간) 프랑스 국립도서관은 프랑스와 미테랑 도서관개관 30주년을 맞이하여, ‘미래의 도서관을 상상하다’IMAGINER UNE BIBLIOTHÈQUE POUR L’AVENIR라는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토론회의 주제는 '내일은 어떤 도서관이 존재하게 될 것인가?'(Quelle bibliothèque pour demain?). 질 페쿠(Gilles Pécout), 프랑스 국립도서관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프랑스와 미테랑 도서관을 설계한 도미니코 페로( Dominique Perrault, 건축가)를 중심으로 모로코 국립도서관의 사례에 대한 이야기, 룩셈부르크, 캐나다, 영국의 국립도서관 관계자가 참여하는, 새로운 장소의 개발, 컬렉션의 지속적인 성장, 그리고 문화유산 컬렉션의 장기적인 보존 등에 대한 토론, 크리사 E. 니콜라우(그리스국립도서관장), 아메드 A. 자이드(알렉산드리아도서관장), 프랑크 숄체 (독일 국립도서관 겸 CENL 도서관장), 질 페쿠트(BnF 회장), 윌리엄 마르크스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 등이 참여하는 원탁토론회 등. 폐회식에 작가이자 아르헨티나 국립도서관 전 관장인 알베르토 망구엘(Alberto Manguel)이 참여하는 것이 눈에 띕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MwSoe4tB80

대만의 독서실태(臺灣民眾閱讀力)

2025327일 대만 국가도서관은 2024년 대만의 독서실태(臺灣民眾閱讀力)와 도서관 운영 실태(公共圖書館的營運服務統計分析)에 대한 보고회를 열었습니다. 보고서를 간략하게 살펴보았습니다.

 

1. 보고서의 머리말. 랑가나단(阮甘納桑, Shiyali Ramamrita Ranganathan)도서관은 성장하는 유기체다라는 명제와 마이클 고먼(邁克爾 戈爾曼, Michael Gorman)의 책 <우리의 지속하는 가치: 21세기의 도서관 사업 Our Enduring Values: Librarianship in the 21st Century>에서의 인용. “디지털 시대에 도서관의 가치는 사람들의 지적 자유를 보호하고, 지식과 정보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며, 사람들의 문해력을 키워 계속 교육과 평생 학습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있습니다. 이는 도서관 관리 및 서비스에 있어서 민주주의 원칙과 합리주의의 중요성을 구현하며, 역사적 유산을 완성하기 위해 인간의 기록을 보존하는 책임을 맡습니다.”

 

2. 대만 국가도서관은 교육부의 지도 아래 2011년부터 매년 <대만의 독서 환경>(臺灣閱讀風貌)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도 대만 국민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및 자료 이용 통계를 활용하여 대만 국민의 독서능력과 독서 관심도 등을 파악했습니다. 대만 국가도서관은 전국의 도서관 서비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도서관 방문자 수, 대출자 수, 대출도서 수, 대출 전자책 수, 도서관회원카드 수, 도서관 웹사이트 리소스 이용횟수 등 여러 측면에서 대만 국민의 독서력을 분석했습니다.

 

3. ‘독서력 산출방법’(閱讀力計算方式)이라는 것을 특히 눈에 띕니다. 독서력 산출방법은 장서개발, 장서활용도, 도서관방문자수, 자격증 소지자 비율, 예산, 웹사이트 이용률 등의 독서력 지표는 지표의 통계적 수치를 군·시 인구 또는 향··면 인구로 나누어 산정한다고 합니다. 또한 우수 시·군의 전반적인 독서성취도 평가하는데, 이는 독서성취도 지수를 표준화하여 표준 점수를 구하는 방식으로 한다고 합니다.

 

4. 각종 도서관 서버스 실적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디지털 경제의 발전과 교육부와 각 시·군의 자원 투자로 인해 도서관에서의 전자책 대출이 두 배로 늘어났다는 것입니다.(전년 대비 99.8% 증가) '대중의 독서 관심사' 측면에서 대만인의 독서 관심사를 살펴보면, 언어문학 작품이 대중에게 가장 인기가 많으며, 전체 대출량의 53.76%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언어문학 분야에서 김호연 작가의 작품 불편한 편의점1위를 차지했다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연령대별 독서 인구 분포를 보면, 35~44세의 중년 독자가 여전히 도서관의 주요 독자이며, 1년 동안 총 2,754만 권의 도서를 대출했습니다. 6~11세 연령대 어린이가 그 다음을 차지, 2위를 총 2,532만 권(19.92%)을 대출했으며, 이어서 12~17세 연령대의 학생들이 뒤를 이었습니다. 디지털 정보 범람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젊은이들은 여전히 ​​종이책의 독서 경험을 중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학 작품, 대중 과학 지식, 자기 탐구 등의 도서가 젊은이들의 독서 관심을 되살리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5. '도시 독서 성과'(城市閱讀力表現)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독서 성과가 우수한 도시는 타이베이시(臺北市), 신베이시(新北市), 타오위안시(桃園市)였으며, 22개 현 가운데 신주현(新竹縣), 먀오리현(苗栗縣), 이란현(宜蘭縣), 타이둥현(臺東縣), 펑후현(澎湖縣), 진먼현(金門縣)이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고: https://www.ncl.edu.tw/information_236_1831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