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4월 14일 화요일

`고소한 영혼의 밥 냄새`

신은미. 당찬 여성이다. 심지가 깊고, 성격은 괄괄하다. '머스마' 같은 구석도 있다.

 

한때 '기적의도서관' 실무를 맡아 밤낮 없이 일하던 도서관학도다. 대학 졸업식을 하기도 전에 새로운 도서관문화를 만들어내고자 시민단체에 몸담아 일하다 대안학교로 훌쩍 떠났다. 2년 정도 기숙사 사감 선생님으로 일하다 올해부터는 학교도서관 담당 선생과 행정실 일을 함께 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런데 반갑게도 오늘 이 당찬 여성이 학교도서관에서 일하고 있는 모습을 쓴 글을 만났다. 학교도서관문화운동네트워크가 만들어내는 소식지 <학도넷> 2009년 봄호에 '학교도서관을 움직이는 사람들'이라는 꼭지에 제천간디학교도서관 담당교사로서 글을 실었다.

 

제목도 재미있다. '나무밥 짓는 영혼의 부엌을 꿈꾸며'. 학교도서관의 이름이 '나무밥'이라서 그런 것일까? '영혼의 부엌'이라는 단어에서는 역시 숨겨져 있는 여성스러움(이 단어에 무슨 성차별적인 생각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니다)이 묻어난다. '머스마' 같은 구석이 있었을 뿐이지, 그이의 마음속에는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으며 아이들의 영혼을 보살피고자 하는 여성 특유의 모성적 면모가 숨겨져 있었던 것일 터이다.

 

오늘의 한 대목은 신은미 '샘'의 글에서 뽑았다.

 

도서위원들과 분주함과 설렘으로 새 학기를 준비하면서, 또 대안학교라는 이름 때문에 얻게 되는 외부의 궁금증을 대하면서 왜, 뭘,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등 책 읽기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새롭게 하게 되었다. 동시에 도서관 이름이 '나무밥'인 이유도 다시금 곱씹었다. 밥 먹듯이--일상적으로, 꾸준하게, 편안하게, 맛있게, 사랑하는 사람들과, 즐겁게 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우리가 왜, 무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궁극적인 답이 될 것도 같다.

 

낡고 춥고 어설픈 도서관이지만, 어디선가 고소한 영혼의 밥 냄새가 난다. 화목한 식구들의 웃음소리도 들린다. 밥 먹으러 가야겟다. 도서관으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http://gandhischool.org/

그런대 신 '샘'. 진짜로 왜 도서관 이름이 '나무밥'인거유?

 

어느 학교도서관 개관식이었던가? 제천간디학교의 양희창 선생이 작사한 "꿈꾸지 않으면"을 함께 불렀던 기억이 소록소록 난다. 그런데 그 학교가 어디였는지 가물가물하다. 참 기억이란 건.

 

"배운다는 건 꿈을 꾸는 것, 가르친다는 건 희망을 노래하는 것...."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