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29일 일요일

다섯 개의 '피' -민중, 평화, 번영, 동반자, 지구 people, peace, prosperity, partnership, planet



다섯 개의 '피'
민중, 평화, 번영, 동반자, 지구
people, peace, prosperity, partnership, planet
2018년 7월 30일(월)부터 8월 2일(목)까지 오스트레일리아 골드코스트 컨벤션 및 전시센터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도서관정보회의2018(APLIC2018, https://aplic.alia.org.au) 소식.
이번 회의는 호주도서관정보협회(ALIA) 뉴질랜드도서관정보협회(LIANZA) 싱가포르도서관협회(LAS)가 처음으로 공동회의를 개최하는 것이라 합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공동회의는 1981년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첫 번째, 1984년 브리즈번에서 두 번째, 1994년 웰링턴에서 세 번째 열린 바 있습니다. 이 회의에 싱가포르가 합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합니다. 2021년 11월 뉴질랜드에서 추가 공동회의가 제안되어 있습니다.
이번 회의의 주제가 흥미롭습니다. 첫째 으르렁거리기(Roar/옹호): 지역사회와 산업을 위해 도서관을 어떻게 옹호할 것인가? 도서관이 하는 일의 가치를 어떻게 홍보하고 실증할까? 둘째 뛰어오르기(Leap): 우리는 어떻게 앞으로 나아가고 추진력을 키울 수 있습니까? 도서관 서비스, ​​환경 및 업무를 형성하는 기술, 콘텐츠의 혁신과 연결은 무엇입니까? 셋째 감히 저지르기(Dare): 도서관 조직과 직업에 어떤 위험이 있습니까? 도서관, 산업, 국가 또는 직업에서 혁명 또는 진화, 성공 또는 실패에 관한 이야기는 어떤 것입니까?
한편, 이번 회의의 주요한 논의거리이기도 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관련하여, 뉴질랜드도서관협회 회장인 루이즈 라하테(Louise LaHatte)는 다섯 개의 '피'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민중(people) 평화(peace) 번영(prosperity) 동반자(partnership) 지구(planet).

Teens First: Basic Learning Outcomes

Teens First: Basic Learning Outcomes
 
These outcomes stem from the Teens First: Reimagined Library Services for and with Teens infographic. The purpose of this guide is to assist library workers in setting learning goals for teen programs. View each category and identify the outcomes that best describe what you want teens to learn from the program.
 
Community
Teens are able to:
Display an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Connect and collaborate with others
Show empathy and respect differences
Give back to others and the community
Demonstrate an openness to learning about others
Show cross-cultural understanding
Build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adults, including those of different backgrounds and experiences
 
Creativity
Teens are able to:
Think flexibly
Innovate
Demonstrate an openness to risk-taking
Experiment, prototype and test ideas
Create original work or responsibly remix existing content to make something new
Engage in personal expression
 
Digital Citizenship
Teens are able to:
Demonstrate technology use that is safe, ethical and responsible
Leverage digital tools to broaden their perspective
Build and manage their online identity
Manage personal information to protect privacy and security
Respect intellectual property
Think critically about digital tools and their use
 
Leadership
Teens are able to:
Display self confidence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Exhibit a strong work ethic
Show perseverance and work well under pressure
Mentor, assist or teach others
Provide feedback
Inspire others in their own learning
 
Learning
Teens are able to:
Demonstrate curiosity
Sharpen academic skills (e.g. study skills, research, reasoning)
Develop social emotional skills (e.g.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responsible decision-making)
Practice workforce skills (e.g. time management, conflict resolution, problem-solving)
Accept feedback and constructive criticism
Begin to understand college and/or career opportunities
Engage in career planning activities
Understand how to reflect on learning
Identify what they are passionate about
 
Literacies
Teens are able to:
Use materials and tools for developmental,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needs
Express themselves on a variety of platforms
Create content to demonstrate meaning
Select platforms and tools for communication
Articulate their learning to peers and adults

출처 https://goo.gl/gj3B3h
Looking for more programming resources? View our Teen Programming Guidelines at www.ala.org/yalsa/teen-programming-guidelines

HENRI LABROUSTES LIBRARY Gegen die giftige Atmosphäre im Lesesaal

HENRI LABROUSTES LIBRARY
Gegen die giftige Atmosphäre im Lesesaal
VON ULRICH JOHANNES SCHNEIDER -AKTUALISIERT AM 08.07.2018-22:01
 
*Ulrich Johannes Schneider ist Direktor der Universitätsbibliothek Albertina in Leipzig.
 
So großzügig und funktional hatte niemand zuvor gebaut: Henri Labrouste erfand die Lesesaalbibliothek - und hatte fortan mit ihrer Optimierung zu tun.
 
Die Bibliothèque royale in Paris (heute die Französische Nationalbibliothek) erhielt im Herzen von Paris am 2. Juni 1868 ein neues Gebäude, errichtet von dem für seine eleganten Eisenkonstruktionen gerühmten Henri Labrouste (1801 bis 1875). Der französische Architekt kann damit als Begründer des modernen Bibliotheksbaus gelten, denn mit der Nationalbibliothek beglaubigte er endgültig seine Baukunst, die siebzehn Jahre zuvor mit der Bibliothèque Sainte-Geneviève gegenüber dem Panthéon eine erste Probe bestand. Bei Labrouste gab es schlanke Säulen und die größten Lesesäle der Welt mit jeweils fast vierhundert Plätzen. So großzügig hatte niemand zuvor gebaut, auch nicht so funktional.
 
Labroustes Bibliotheksarchitektur zeigte Wirkung. Der Lesesaal des Britischen Museums, der unter einer gewaltigen Kuppel 1857 eröffnet wurde, bezeugt seinen Einfluss. Architekt Sydney Smirke und Bibliothekar Antonio Panizzi reisten von London nach Paris, um mit eigenen Augen zu sehen, wie die beste Verbindung zwischen Lesesaal und Magazin angelegt sein könne. Bücher sollten in weniger als zehn Minuten von hier nach dort gelangen. Schnelligkeit der Lieferung war eine Leistungsvorgabe auch für die damals größte öffentliche Bibliothek der Vereinigten Staaten, die Boston Public Library. Sie erhielt 1858 ein Gebäude mit ebenfalls enger Zuordnung von Lesesaal (hier waren es zweihundert Plätze) und Magazin.
 
Die Leser im Mittelpunkt der baulichen Herausforderungen
Das Zeitalter der für Menschen grundsätzlich offenen Bibliothek begann mit diesen Bauten in Paris 1851, London 1857 und Boston 1858. So wie man vor Labrouste keine Lesesäle baute, die mit Heizung, Lüftung und künstlichem Licht ausgestattet waren, so errichtete man nach Labrouste keine reinen Bücherspeicher mehr. Es standen fortan die Leser im Mittelpunkt der baulichen Herausforderungen. Die bis heute andauernde Sorge um den Lesesaal hat in der Mitte des neunzehnten Jahrhunderts gewissermaßen schlagartig neue Architekturen hervorgebracht. Bibliotheksbauten mit großen Lesesälen präsentierten dabei ähnliche technische Schwierigkeiten wie Museen, Schulen oder Parlamentsgebäude: Man musste den Menschen darin ein angenehmes Klima verschaffen.
 
Labroustes erster Bau, die Bibliothèque Sainte-Geneviève, hatte bereits Heizung und künstliche Beleuchtung. Mit Labrouste wird der Bibliotheksbau vom Keller her gedacht, dem Verteilzentrum für die Zu- und Abwasserleitungen, die Gasversorgung für die Beleuchtung und vor allem die Heizungsanlage samt Belüftungstechnik. In einer Denkschrift über die Leistungen des Architekten betont sein Sohn Léon Labrouste 1885, man dürfe den Keller nicht vergessen und damit nicht „die Urinale und Toiletten, Waschräume, Lüftung, Heizung und tausend Details, aus denen ein öffentliches Gebäude besteht“. Der Sohn erwähnt nicht, dass der Vater als Architekt auch Fehler machte. So installierte er die Heizung in der Bibliothèque Sainte-Geneviève zu spät, was die Öffnung bereits geschlossener Böden nötig machte. Überdies funktionierte sie nie richtig, wie zahlreiche Berichte bezeugen.
 
Ein öffentliches Gebäude muss mit menschlichen Bedürfnissen umgehen können. Dazu die folgende kuriose Geschichte: Ein Professor fragte schriftlich beim Architekten an, warum es eigentlich unterschiedliche Toilettenanlagen in der Bibliothèque royale und der Sainte-Geneviève gebe. Labrouste stellt klar, es existiere im einen Fall ein Urinal im Hof, im anderen ein water closet, das allerdings gegen seinen Willen für die Leser verschlossen worden sei. So zeigen sich die neuen Kompetenzen der Architekten: Haustechnik. In den Vereinigten Staaten, in England und in Deutschland gab es mit den ersten Lesesaalbibliotheken bereits Toiletten für beide Geschlechter. Im Grundriss des Lesesaals für das Britische Museum sind Toiletten für Frauen und Männer deutlich eingezeichnet.
 
Ein sitzender Gelehrter braucht wärmere Luft
Physiologische Probleme ging man im neunzehnten Jahrhundert pragmatisch an, und das gilt nicht nur für die Aborte. Das Hauptproblem lag nämlich im Lesesaal selbst, der für das ruhige Arbeiten unbedingt geheizt werden musste. Ein amerikanischer Arzt diagnostizierte 1879: „Ein sitzender Gelehrter braucht wärmere Luft als ein Handwerker, der sich bewegt. Ich glaube aber, dass die absolute Temperatur weniger wichtig ist, als dass er seinen Kopf kühl und seine Füße warm haben sollte.“ In London gab es gewärmte Röhren für die Füße unter jedem Sitzplatz, auch unter dem von Karl Marx, der zu den regelmäßigen Besuchern zählte. Aber der kühle Kopf? In London sorgten zwei riesige Ventilatoren im Keller und im Dach für eine Belüftung mit entsprechend temperierter Luft.
 
Doppelt verglaste Fensterscheiben sollten Kondenswasser verhindern. Gute Luft war entscheidend, das wurde öffentlich diskutiert. Man fürchtete die „Museumsfliegen“, die im vorläufig eingerichteten Lesesaal vor 1857 (das sechste Provisorium im Britischen Museum) für unangenehme Erfahrungen sorgten. 1837 bereits hatte der englische Arzt Charles Hood ausführliche Tabellen erstellt und erläutert, wie das Volumen der neu einzuführenden zu dem der abzuführenden Luft anzusetzen sei, abhängig von der Zahl der Leser, die als atmende Wesen ein dauerndes Problem darstellten.
 
Auch in Frankreich, Deutschland und den Vereinigten Staaten wurde zu Problemen der Heizung und Belüftung veröffentlicht und gestritten; Bibliotheks- und Baujournale sorgten für weltweiten Erfahrungsaustausch: Wie giftig sei die Atmosphäre im Lesesaal, fragte besorgt der französische Bibliothekar Albert Maire im Jahr 1897. In Preußen wurden Lehrer an Schulen wegen Sauerstoffmangels und zu stickiger Luft krank, was eine regierungsamtliche Kommission aufklären musste. Die „Königlich-Wissenschaftliche Deputation für das Medicinal-Wesen“ veröffentlichte im Jahr 1874 Kriterien, „welche für eine zweckmäßige Ventilationseinrichtung in den Schulzimmern als maßgebend erachtet werden sollen“. Auch hier gibt es Berechnungen, um „die beständige Verunreinigung der Luft durch die natürlichen Lebensverrichtungen der Schüler“ zu beschreiben, ausgehend von der Erkenntnis: „Die ausgeathmete Luft und die Hautausdünstung sind die beiden hauptsächlichen Mittel dieser Verunreinigung.“
 
Überdies hatten Bibliothekare ein spezielles Problem mit der Hitze, oftmals verstärkt durch Gasbeleuchtung. Als 1868 die Bibliothèque royale zu Paris öffnete, musste Architekt Labrouste den Lesesaal der Bibliothèque Sainte-Geneviève für eine Grundreinigung schließen: Auf den sechs Landschaftsgemälden von Alexandre Desgoffe sowie auf einer Kopie von Raffaels „Schule von Athen“ hatte sich nach nur siebzehn Jahren Gaslampenbetrieb ein dreckiger Film abgelagert.
 
Berichte über Hitzeschäden in Bibliotheken häuften sich in der zweiten Hälfte des neunzehnten Jahrhunderts. Was für den Komfort der Lesesaalbesucher installiert war, konnte für Bücher das Ende bedeuten. Anders als einige Theater in Paris oder Wien geriet damals zwar keine einzige Bibliothek in Brand, wohl aber schädigten die Gase der Beleuchtungskörper die an den Wänden hochwachsenden Handbibliotheken. Der Direktor der amerikanischen Kongressbibliothek, Ainsworth Spofford, plädierte 1882 mit einer leidenschaftlichen Anklage gegen die büchermordende Hitze zugleich für die Notwendigkeit eines Neubaus (der in Washington D.C. dann 1897 auch eröffnet wurde): „Wenn Sie an einem beliebigen Wintertag in die oberen Galerien der Kongressbibliothek gehen und ein Buch aus dem Regal nehmen, können Sie von Glück sprechen, wenn Sie sich die Hand nicht verbrennen. Mir kam es einmal in den Kopf, dass wenn diese gekrümmten, eingeschrumpften und überheizten Bände nicht unbelebte Wesen wären, wenn sie nur sprechen könnten sie dann ihren Beschützern entgegenriefen: ,Unsere Leiden sind unerträglich!‘“
 
Das Licht war kalt und grell
Mit der elektrischen Beleuchtung war Abhilfe in Sicht, wenn auch nicht sofort. Denn die zuerst eingesetzten Bogenlampen waren eigentlich nur außerhalb von Gebäuden oder in großen Hallen verwendbar, wie in den Bahnhöfen Stettin (1877) oder München (1879). 1880 wurden sie auch im Lesesaal des Britischen Museums installiert. Karl Marx hätte es gefreut. Er beklagte in einem Brief von 1858, dass er wegen fehlenden künstlichen Lichts die Bibliothek bereits um vier Uhr nachmittags verlassen müsse. Das elektrische Licht der nach oben abstrahlenden Bogenlampen war kalt und grell, es verlangte überdies nach permanenter Justierung der Brennstifte aus Kohle. Der dafür in London eigens eingestellte Diener sorgte dafür, dass keine heißen Kohlestiftreste auf die Köpfe der Lesesaalbesucher herunterfielen.
 
Eine Besserung brachte die Erfindung der Glühfadenlampe von den achtziger Jahren des neunzehnten Jahrhunderts an. Der österreichische Chemiker Carl Auer reduzierte so den Energiebedarf der Gasleuchten und machte sie von 1891 an zur preiswerten Alternative zu der durch Thomas Edison neu entwickelten Stromglühlampe. Diese wurden 1893 im Lesesaal des Britischen Museums auf den Tischen montiert. Marx war da schon zehn Jahre tot.
 
Wie schützt man die geistige Innovation?
Ein weiteres Problem der frühen elektrischen Beleuchtung war die sogenannte Stromteilung. Es musste jede elektrische Lichtquelle einen eigenen Generator haben, meist ein mit Kohle oder Gas betriebener Dynamo. Elektrizität war darum bis zum Ende des neunzehnten Jahrhunderts, als in den Städten lokale Stromnetze entstanden, mit Lärm verbunden, eben mit dem Lärm der Generatoren. In Zürich beklagten Mitglieder der Museumgesellschaft Anfang der achtziger Jahre des neunzehnten Jahrhunderts, dass man im Bibliotheksraum unter dem Krach der elektrischen Anlage leide, die das Haus vom Keller her in Vibration versetzte.
 
Man brach in der Museumsgesellschaft den Versuch mit dem elektrischen Licht 1885 ab und kehrte erst 1892 dahin zurück, als man das städtische Stromnetz nutzen konnte. Die elektrischen Leuchten wurden allerdings auch dann noch für ungenügend befunden und durch Auersche Gasglühlampen ergänzt, die wiederum zu viel Hitze ausstrahlten. Die Provisorien wurden dann 1908 zugunsten einheitlicher elektrischer Beleuchtung aufgegeben.
 
Im neunzehnten Jahrhundert begann, was bis heute alle beschäftigt, die mit Bibliotheksneubauten zu tun haben: Wie schützt man die geistige Innovation vor äußerlicher Beeinträchtigung? Wie sorgt man für ein angenehmes Klima, damit man beim Lesen den Körper vergessen kann? Die heutigen Bauten sind vielgestaltig, aber alle folgen sie Labrouste, der als Erster das Kellergeschoss als den Maschinenraum des Lesesaals anlegte.
 
Labrouste ist als Architekt längst ein Mythos. Man hebt vor allem seine Eisenträgerkonstruktionen in hellen und disponiblen Räumen wie Markthallen, aber auch Lesesälen hervor. Wichtig für die Geschichte der Bibliotheksneubauten des neunzehnten Jahrhunderts ist zudem seine logistische Koppelung von Magazin und Lesesaal: Die Bücherspeicher sind eine Art Hochregallager und erlauben das Ausheben und Rückstellen der Bücher weitgehend ohne Leitern und rasch. Aber eben auch in Fragen der Heizung, Belüftung und der Beleuchtung muss Labrouste als Revolutionär gelten, jedenfalls in einer Geschichte der Bibliotheksbenutzung, die heute noch in ihren Anfängen ist.
 
Noch heute ist eine häufig gestellte Frage von Bibliotheksneulingen, wo denn die Toiletten seien. Wirklich keine unwichtige Frage für diejenigen, die sich anschicken, mehrere Stunden in der Bibliothek zu arbeiten. Seit Labrouste müssen Bibliotheksangestellte diese Frage nicht mehr fürchten, denn ihre Gebäude sind entsprechend ausgestattet, immer beheizt und manchmal sogar klimatisiert. Lessing musste in seiner Wolfenbütteler Bibliothek noch frieren; Marx in London nicht mehr. Die Produktionsbedingungen für das Lesen und Schreiben haben sich verändert.

 출처 https://goo.gl/cmdyGG

2018년 7월 28일 토요일

대중교통에서의 미디어 이용/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STAT Report 18-12



대중교통에서의 미디어 이용 신지형 부연구위원, ICT통계정보연구실
출처 https://goo.gl/3WEKoM

■ 조사 자료 및 분석 배경
- 개인화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산, 공공 와이파이 설치의 확대 등에 따라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이용은 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어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 시에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추세임
- 본 보고서에서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중교통 이용 시 미디어 이용 행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개략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함

■■■ 조사 자료 및 분석 배경 - 개인화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산, 공공 와이파이 설치 확대 등에 따라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이용은 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어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 시에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추세임 - 본 보고서에서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1) 결과를 바탕으로 대중교통 이용 시 미디어 이용 행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개략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함 
■■■ 대중교통 이용 시 미디어 이용자 특성 -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 응답2) 분석에 따르면, 개인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 가지 이상의 미디어를 이용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6.63%로 나타남 - 대중교통 수단 이용 시 미디어 이용을 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여성이 59.15%로 남성 응답자 비율인 53.93% 보다 높게 나타남

*1)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2010년 서울/경기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약 3,000여 가구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2011년부터는 만 6세 이상 가구원을 모집단으로 전국 16개 시도의 5,000여 가구와 가구원 약 1만 2천명을 대상으로 매년 한국 미디어 패널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미디어 다이어리를 기입하는 방식을 통하여 가구원의 미디어 이용 장소, 이용매체, 이용행위, 연결방법에 대한 정보를 하루 15분 단위로 파악하는 조사가 포함되어 있음
2)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에서는 미디어 이용 장소를 크게 집/직장/학교 등, 교통수단, 여가시설/서비스/기타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통 수단의 경우 대중교통 수단 내: 버스, 지하철, 택시, 비행기 등, 개인교통수단: 자가용, 오토바이 등, 개인이동/대중교통 환승대기: 인도, 지하철 플랫폼, 택시 승강장, 공항 등 으로 구분하고 있음

- 연령대별로는 18세 이상 24세 이하 응답자의 경우 10명 중 8명 정도가 대중교통 이용시 미디어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됨 
- 대중교통수단 이용 시 미디어 이용을 하는 응답자의 소득별 차이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월 평균 개인 소득이 500만 원 이상인 응답자의 경우 가장 낮은 비율을 보임 
-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부에 거주하는 경우 조금 더 높은 비율을 보임

■■■ 대중교통 이용 시 미디어 이용 -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하는 미디어를 매체-행위-연결로 나누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점유율의 변화를 살펴봄

-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되는 매체군의 변화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등 전화기의 점유율은 2011년에 약 67.52% 였던 것이 2017년에는 약 90.29%로 크게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음 
- 반면, MP3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기기의 점유율은 2011년 20.07%정도 차지하였으나 2017년에는 7.59%로 줄어듦 - 특히 신문, 책과 같은 종이매체의 경우 2017년 점유율은 0.69%로 확연히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음

- 대중교통수단에서 이용하는 미디어 행위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2011년에는 통화/문자/이메일/채팅, 영화/ 동영상/UCC/음악/음원/사진, 신문/책/잡지 순으로 나타났으나, 2017년에는 온라인 검색/소셜네트워크/ 상거래가 통화/문자/이메일/채팅, 영화/동영상/UCC/음악/음원/사진 다음으로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남 - 특히 온라인 검색/소셜네트워크/상거래의 점유율은 2011년 대비 2017년 약 4배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신문, 책, 잡지와 같은 종이매체의 경우 2017년 점유율은 0.69%로 확연히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음

- 대중교통수단에서 미디어 이용 시 연결 방법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저장매체 등을 이용한 기타 연결방법의 점유율은 감소하였고, 인터넷 연결방법의 점유율이 2011년 12.99%에서 2017년 65.72%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남

*5) 이동통신 무선 인터넷 (2G, 3G, LTE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통해, 와아파이(Wi-Fi)존, 유무선 공유기 이용, 에그(Egg), 브릿지(Bridge), 단비 이용, 와이브로 서비스(휴대인터넷)를 통해 6) 패키지미디어를 해당기기에 재생, 자체기능/저장된 파일 이용, 다른 미디어 기기에 연결, 정기구독 및 우편/택배/배달, 본인이 서점/가판대 구입 및 도서관/대여점 통해, 그 외 기타(친구/가족의 것, 회사에 있는 것 등)

■■■ 결어 
- 불과 6,7년 전만 해도 대중교통 이용 시 오디오 기기에 저장된 매체의 음악을 재생하거나 휴대전화의 문자 메세지를 전송하는 행위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인터넷 연결을 통하여 다양한 미디어 행위가 가능해지며 이용자들의 행위도 채팅, 동영상 시청, 인터넷 쇼핑 등 다양해진 것으로 나타남 
- 국토교통부에서 조사한 대중교통 관련 이용자 이용실태 및 이동수단과 만족도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하루 평균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행시간은 63.8분 정도 소요됐으며 16.8%가 출퇴근시간에 통행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남 
- 최근 정책당국은 공공 와이파이의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서울 지하철의 와이파이 속도 개선을 위한 노력도 지속되고 있는 실정임
- 이는 대중교통수단 이용 시 인터넷 연결을 통한 동영상 시청이 주를 이루는 미디어 행위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양질의 공공 와이파이가 대중교통 시설로 확대되는 경우 스트리밍 방식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소비도 함께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출처 https://goo.gl/8pSauP
대중교통에서 뭐 보세요?…"종이매체 0%대"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면서 시선을 스마트폰으로 고정하는 것이 일상이 됐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대중교통 이용 시 책이나 신문 등 종이매체를 읽는다는 사람의 비중이 '0%'대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작년 전국 16개 시도 5천여 가구와 가구원 약 1만2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미디어 패널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한 가지 이상의 미디어를 이용하는 비율이 56.63%였다.

18세 이상 24세 이하 응답자의 경우 79.8%가 이용해 가장 이용률이 높았고, 18세 미만 75.78%, 25∼34세 75.04%, 35∼54세 50.79%, 55세 이상 41.73% 순이었다.

월평균 소득별 차이나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대중교통에서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눈과 귀는 스마트폰이 '독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대중교통에서 이용되는 매체별 점유율의 변화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등 전화기는 2011년 67.52%에서 2017년 90.29%까지 올랐다. 반면 MP3플레이어 등 오디오 기기와 신문, 책과 같은 종이매체의 점유율은 크게 떨어졌다. 오디오 기기 점유율은 2011년 20.07%에서 2017년 7.59%로, 종이매체 점유율은 2011년 4.66%에서 2017년 0.69%로 확연히 감소했다.

대중교통 이용 시 많이 하는 행위는 2011년에는 통화·문자·이메일·채팅, 영화·동영상·음악·사진, 신문·책·잡지 순이었으나 2017년에는 신문, 책 등 종이매체 대신 온라인 검색·소셜네트워크·상거래가 앞의 두 카테고리 다음으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신지형 KISDI ICT통계정보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스마트폰과 인터넷 연결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행위가 가능해졌다"며 "양질의 공공 와이파이가 대중교통으로 확대되면 스트리밍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소비도 함께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8년 7월 26일 목요일

임하우스(Het Eemhuis)

임하우스--영감을 얻으십시오
임란트 지역은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강 유역의 북동 지역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지역은 여러 지자체에 걸쳐 있습니다. 그 가운데 아메르스포르트 시는 신도시를 개발하면서 그 중심부에 중앙도서관을 새롭게 문을 엽니다. 2005년 4월 설계에 들어가서 2014년 5월 1일 문을 열었습니다. 명칭은 임하우스(Het Eemhuis). 누리집(https://heteemhuis.nl/)에 들어가서 보니, “영감을 얻으십시오”(Laat Je Inspireren.)라는 구호를 함께 붙여 놓고 있었습니다.
설계는 로테르담에 있는 건축회사 Neutelings Riedijk가 맡았습니다. 건축가 미힐 리데이크(Michiel Riedijk, 1964년생, 2007년부터 TU Delft 건축학부의 공공건물 담당 교수, 건물의 공공성에 대한 정의와 공공 공간과의 관계에 관한 질문을 핵심적으로 던지고 있는 인물)은 공공적 내부(publiek interieur)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외부에 있는 임광장Eemplein의 확대, 도시의 활동무대, 회의장소, 모든 사람이 환영받는 장소를 기획했습니다. 임하우스는 도서관de Bibliotheek Eemland, 미술관Kunsthal KAdE, 아카이브Archief Eemland, 예술학교Scholen in de Kunst의 4개 기관을 복합적으로 전개한 것이지만, 이들 기관 이외에도 레스토랑과 박물관 시설, 카페 등이 함께 자리를 잡았습니다. 건물 전체 규모는 16,000평방미터.
임하우스의 사례는 네덜란드의 도서관이 도서의 대출 반납이라는 도서관의 전통적인 기능에서 지역사회의 사회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비공식 교육 및 개인 개발의 중심 기관으로 이전한 사례입니다.
임란트의 도서관 시스템은 7개의 분관, 2개의 서비스포인트, 5 개의 거실 도서관huiskamerbibliotheken 및 20개가 넘는 학교도서관이 있습니다. 이들 도서관의 서비스 지역에는 20만이 넘는 주민이 있습니다.

참조
https://www.bibliotheekeemland.nl/over-ons/wie-zijn-we.html

https://heteemhuis.nl/het-eemhuis/
https://www.kunsthalkade.nl
http://b-u-b.de/het-eemhuis/

미힐 리데이크 
https://en.wikipedia.org/wiki/Michiel_Riedijk
https://www.tudelft.nl/bk/over-faculteit/hoogleraren/profir-m-riedijk/ 
 

2018년 7월 25일 수요일

‘오테삐아’ オーテピア

‘오테삐아’ オーテピア
-일본 고치시의 새로운 문화복합시설, 2018년 7월 24일 개관 소식
‘오테삐아'(https://otepia.kochi.jp/)’는 고치현립도서관과 고치시민도서관본관을 합친 오테삐아고치도서관オーテピア高知図書館, 그리고 이것에 더하여 고치음성과점자도서관高知声と点字の図書館, 고치미래과학관高知みらい科学館, 이 세 기관의 상호 협력을 꾀하는 복합시설. 주민의 평생학습과 문화 발전, 다양한 과제 해결을 지원하는 기반 시설. 고치현 인구 약 70만 명, 고치시 인구 약 33만 명.
애칭인 ‘오테삐아’라는 말은 도서관이 들어선 부지가 고치시의 오테마에소학교(追手前小学校)가 있던 곳이었기에, 여기서 ‘오테’라는 말과 가져오고, 도서관이 많은 사람들이 만나는 장소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영어의 동료를 뜻하는 ‘peer’에서 ‘삐아’를 가져와 만든 것.
부지 면적 6,605.76㎡(다목적 광장 · 산책로 포함), 건축 면적 4,216.26㎡, 연면적 22,797.25㎡(기계식 지하 주차장 제외), 오테삐아고치도서관 17,763.57㎡, 고치음성과점자도서관 955.31㎡, 고치미래과학관 2,260.68㎡, 주차장 1,737.90㎡, 공중화장실 79.79㎡. 층수 5층(건축기준법상으로는 지하1층, 지상9층)
오테삐아를 소개하는 여러 영상 가운데서 비즈니스 지원 센터를 소개하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5bql0T5dfJk
무장애(배리어프리) 서비스를 소개하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dM-dXMEq0As

2018년 7월 24일 화요일

일본 사립대학의 위기, 대학의 도산 러시가 일어날 가능성, 일본 Business Journal 2018.07.19

사립 대학 수난 시대가 계속되고있다. 데이터뱅크의 조사 [※ 1]에 따르면, 사립 대학 법인의 약 40 %가 적자 경영이며, 3 분기 연속 적자는 약 20 %를 차지한다.

저출산 으로 어려운 경영 환경에 놓인 사립 대학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데이터뱅크 도쿄 지사 정보부 기자帝国データバンク東京支社情報部記者의 사토 아야코佐藤綾子 씨는 "대학의 도산 러시가 일어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지만, 대학 간 합종 연횡은 충분히있다"고 설명한다. 사립 대학의 미래에 대해 사토 씨에게 물었다.

약 40 %가 정원 미달로 유학생 유치에

문부 과학성 의 조사에서는 사립 대학에서 입학 정원 충족 율이 100 % 이상의 비율은 1996 년에는 96.2 %를 차지했으나 저출산을 배경으로 2017 년도에는 60.6 %로 대폭 다운 . 이미 정원 미달 사립 대학의 비중은 39.4 %에 이르고 큰 경영 과제가되고있는 것은 명백하다.

사립 대학은 수익의 77 %를 학생 납부금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립 대학의 12 %를 크게 웃돈 다. 따라서 학생수의 감소가 수익 높은 및 손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되어있다.

그래서 사립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 방향으로 방향을 끊었다. 지금은 전국적으로 중국인 과 베트남인 네팔인 등 유학생이 캠퍼스를 활보하고있다.

"해외에서의 학생의 수용을 증가 배경에는 사립 대학은 학생수를 유지하고 학생 납부금을 확보하고자하는 사정이 있습니다. 또한 국가에서 사립 대학에 대한 보조금 이 기본적으로 학생 수에 비례 하는 사정도 있습니다 "(사토 씨)

일단 보수 대학이라고 한 타쿠 쇼쿠 대학拓殖大学과 국사 관 대학国士舘大学도 지금은 유학생 을 받아들이는 등 자세를 약간 전환시키고 있지만, 배경 등에 아랫배는 바꿀수없는 사정이있는 것 같다.

한편, 사립 대학뿐만 아니라 대학 전체에 덮치는 것이 '2018 년 문제'이다. 18 세 인구는 1992 년 205 만명을 정점으로 감소세에서 2009 년 이후 120 만명 전후로 정체에 남아 있었다. 그러나 18 년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 31 년에는 100 만명으로 하락 것으로 예상되고있다.

「증수 대책増収対策으로서 생각할 수있는 것은, 유학생뿐만 아니라 사회 인 학생을 증가 입학금과 수업료 등의 가격 인상 으로 수익을 유지하는 등 방법입니다. 한편, 지출면에서는 대학의 운영비는 인건비 와 연구 비용에서 약 90 %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학에서 " 구조 조정 "을 단행하기 어려운면은 부정 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학교와 연계하여 경비 절감을 시도하는 것이 아닐까요.

또한 규모에 따라 상황이 달라집니다. 대규모 대학은 윤택 한 자본금이 있기 때문에 아직 여유가 있지만, 소규모 대학은 더 빨리 손을 치는 것이 요구 될 것입니다 "(이)

3 분기 연속 적자의 사립 대학이 약 20 %

데이터뱅크의 조사에서는 사립 대학의 어려운 경영 상황이 부각되고있다.

먼저 498 기업의 16 년도의 연수입 높이를 규모별로 보면, "10 억 ~ 50 억원 미만 '(241 법인 구성비 48.4 %)가 가장 많았고있다. 또한 16 년도에 증수 된 260 법인 (동 55.4 %), 수입 감소가 된 것은 209 법인 (동 44.6 %)이다. 흑자는 275 법인 (동 62.8 %) 적자는 163 법인 (동 37.2 %)이며, "3 분기 연속 적자 '는 84 법인 (동 19.9 %)가되었다.

지역 별로는 「관동関東 '이 194 법인 (동 39.0 %)으로 가장. 16 년도의 증수되었다 법인의 구성비가 가장 높았던 것은 「시코쿠四国」(동 80.0 %), 흑자 법인의 구성비가 가장 높았던도 「시코쿠」(동 100.0 %)이다 .

" 경영 이 어려운 경향은 주로 소규모로 큰 도시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학입니다"(이)
 또한 향후 대학 전반에 인공 지능 ( AI ) 등의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예상된다.

"인기있는 교수를 대학간에 공유하는 움직임이 생겨나 고 있습니다. 국립 경우이지만, 최근에는 나고야와 기후 대학이 운영법인 통합을 발표했다. 그러한 흐름이 사립 대학 도 파급 될 수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국립 대학의 케이스이지만, 오비 히로 축산 대학帯広畜産大学 ,北見工業大学, 오타루 상과 대학小樽商科大学 3 개교는 22 년 4 월을 목표로 경영 통합하고, 국립 대학 법인 「홋카이도 연합 대학기구 (가칭)北海道連合大学機構(仮称) '의 설립에 향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저출산少子化 에 따른 학생 수 감소와 국가에서 운영비 교부금의 감소 등 단과 대학은 특히 어려운 경영 환경에있다. 이 3 개는 전문 분야의 강점을 살린 교육 · 연구의 양면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예산 · 인사 관리 등을 일원화하여 경영의 효율화 를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립 대학에서도 같은 지역의 대학이 제휴하는 경우가있을 수 있습니다. 학내 시설 등의 공동 이용 등을 상정하면 같은 지역의 대학 쪽이 연계 쉬울 것입니다.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대학 연계를 통해 인기 분야의 개설을 매각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업종은 다르지만, 지방 은행 은 재편 · 통합 살아날 길을 모색하고있다. 마찬가지로, "대학도 합종 연횡을 통해 생존을 도모 할 수있다"는 것이 사토 씨의 비유이다. 그러나 대학은 은행과 달리 교수와 직원의 구조 조정 은 어렵다. 따라서 협력 "조직의 몸을 지키기"라는 것이 현실적일지도 모른다.

생존 사립 대학의 조건은

통합이 진행되면, 대학의 도산 러시가 일어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일까.

"지난 10 년에 대학을 경영하는 법인의 파산은 6 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 중 3 건은 민사 재생 법民事再生法의 적용에서 대학 자체는 남아 있습니다. 사업 소멸 형의 도산은 3 개 있습니다」(동 )

창조 학원 대학創造学園大学 등을 운영하고 학교 법인 堀越学園는 13 년 6 월에 파산하여 사업 소멸했다. 바로 이것이 교직원의 급여 늦은 배달이나 잦은 이사장 교체 등의 문제가 이전부터 지적되고 있으며, 문부 과학성 에서 해산 명령을받은 특별한 경우이다.

"堀越学園는 입학 자수의 감소에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자금 사정이 악화하고 있었다 위에 조직적인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보통은 문부 과학성의 경영 개선지도에 따라 사업 계획을 작성하고, 학부 개편 등의 구조 조정에 재건을 목표로합니다 "(이)

경영 부진으로 민사 재생 법의 적용에 이른 사례로는 야마구치 복지 문화 대학山口福祉文化大学을 운영하는 학교 법인 싸리 학원学校法人萩学園이있다.

"이쪽도 학생이 모이지 않고 한때 중국인 유학생이 60 %를 차지했지만, 입국 관리국의 자격 심사가 엄격화 한 것으로, 모집 전략이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골프장을 인수 한 프로 골퍼를 육성하는 골프 문화 과정의 학부를 창설했지만 자금면은 개선하지 않고 05 년에 민사 재생 법의 적용에 이르렀습니다 "(이)

그 후, 소금 보고 홀 홀딩스를 후원 경영 재건을 추진하여 2006 년에 회생 절차를 종결시킨다. 그러나 이후에도 학생 수 부족에 시달리고 상당한 적자를 기록. 11 년 3 월기 매출 높은 7 억 7800 만원에 3 억 8000 만엔의 적자 가되고있다. 결국 시오미 홀딩스의 경영 악화도, 군산 동도 학원에 사업을 양도하는 형태로 채무의 압축을 도모하고있다.

사립 대학 이 후원 찾아 동분서주하는 경우도있는 가운데, "앞으로 지역 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라고 사토 씨는 추측한다.

"지방 대학의 미래를지지 하나는 지역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영 이 어려운 지방 대학은 앞으로 학술 활동을 충실하게 해 나가는 것은 어려운 것이 아닐까요.는"지방 대학의 존재 의의와 무엇인가地方大学の存在意義とは何か "라고 묻는다면,"지역 발전에 기여 "도 선택 중 하나입니다. 지방 기업이 후원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지역 모두에서 대학을 존속시키는 대신 장기 인턴십 등 에서 학생 의 둘러 쌈이 진행되는지도 모릅니다. 학생들이 지역 기업에 취업함으로써 인재의 유출이 방지된다는 도식입니다 "(이)

불황의 사립 대학이 살아 남기 위해서는 지역과의 연계도 하나의 열쇠가 될 것 같다.
(글 =長井雄一朗/ 라이터 )

[※ 1]
사립 대학을 운 영 전국 대학 법인 544 법인 중 기업 개요 데이터베이스 "COSMOS2」에수록되어있는 대학 법인 498 법인 (단기 대학 법인 제외)을 대상으로 2014 ~ 2016 년도 결산 년 수익 높은 손익 지역별 동향 등을 분석.

ニュースサイトで読む: http://biz-journal.jp/2018/07/post_24111_3.html
Copyright © Business Journal All Rights Reserved.

2018년 7월 22일 일요일

아이들을 책벌레로 키우고 싶다면 부모님이 먼저 독서를 하라

아이들을 책벌레로 키우고 싶다면 부모님이 먼저 독서를 하라
If you want to bring up a bookworm, get reading yourselves
 
영국의 독서단체인 리딩 에이전시’(Reading Agency, https://readingagency.org.uk/)의 대표인 수 윌킨슨(Sue Wilkinson)은 여름방학 독서 권장 프로그램인 여름독서’(Summer Reading)를 시작하면서, 아이들을 책벌레로 키우고 싶다면, 부모님이 먼저 독서를 하라고 권합니다. 지당하신 말씀!
 
수 윌킨슨은 여름 방학 동안 책을 읽지 않은 아이들은 개학이 되어 다시 학교를 다닐 때 독서 격차’(reading dip)로 고통 받을 확률이 높다고 지적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린이가 스스로 책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선택의 자유와 거기서 오는 힘에 관한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여름독서 프로그램은 올해로 20년 된 프로그램이며, 아이들이 방학 동안 6권의 책을 읽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76만 명이 넘는 어린이들이 참가했다고 합니다.
 
이브닝 스탠더드Evening Standard’ 2018719일자, 애나 데이비스 교육에디터Anna Davis Education Editor의 보도 참조 https://goo.gl/qMjuB1


If you want to bring up a bookworm, get reading yourselves, parents told
Evening Standard - West End Final19 Jul 2018Anna Davis Education Editor

Pile ’em high: Sue Wilkinson wants adults to pick up books
PARENTS who want their children to read this summer must “practise what they preach” and pick up a book themselves, the head of a leading literacy charity has urged.

Sue Wilkinson, chief executive of the Reading Agency, said children who fail to read during the summer holidays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a “reading dip” when they go back to school.

However, if they see their parents enjoying a good book they are much more likely to do so themselves.

She said: “Adults say to me, ‘I can’t get my child to read’, and I say, ‘Do they ever see you read?’ If they see you reading a newspaper or magazine, or laughing at something you are reading, they will see reading as something that happens in their world. It is really important. I would say to parents you need to practise what you preach.”

Mrs Wilkinson urged parents to let children choose their own book and let them give up if they are not enjoying it.

Her comments come at the start of Summer Reading

Challenge, a national programme in its 20th year, which encourages children to read six books in the school holidays.

Children can register for the challenge at their library. They record what they have read and collect stickers and a certificate when they complete the challenge. Last year more than 760,000 children took part.

Mrs Wilkinson sai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child chooses the book — it is about that freedom to choose and the power that comes with that. All books in the children’s section have been screened by librar- ians so you are completely safe. If they don’t like it they should move on and read something else. Don’t make this into something children don’t like.”

She added: “We know that if children keep reading during the summer holidays they will come back to school with reading levels the same or better.”

The Reading Agency runs a similar programme to encourage adults to read, called Reading Ahead. Libraries, colleges, workplaces and prisons are encouraging adults to read six books and record, rate and review them in a diary to get a certificate.

Mrs Wilkinson said: “We know of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dults’ reading skills to help them develop their own lives, but also because it makes them a role model for children.”

출처 https://goo.gl/qMjuB1
http://www.pressreader.com/uk/evening-standard-west-end-final/20180719/281904478959714

도서관 카드 Library Cards

도서관 카드 Library Cards
뉴욕타임스의 오피니언 섹션의 사진가인 데이먼 윈터(Damon Winter)의 의견. 도서관 카드를 휘두르는 사람들의 새로운 힘-이 카드는 뉴욕의 문화 문호를 열 것입니다.The Newfound Power of People Wielding Library Cards-The cards will open the door to culture in New York.

메인 MAIN

메인
MAIN
뉴저지주 모리스 카운티, 뉴욕시에서 서쪽으로 약 40킬로미터(25마일) 떨어져 있는 곳으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거나 원격으로 일하기 좋은 곳이라 합니다. 지역 주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모리스(Morris), 서머셋(Somerset), 워렌(Warren) 카운티의 38개 공공도서관이 컨소시엄인 '메인'(MAIN, Morris Automated Information Network) 즉 모리스자동화정보망을 형성했다고 합니다.(https://www.mainlib.org/)
'메인'은 원래 1980년에 설립되어 지역 공공도서관 시스템의 자동화를 관리하는 곳이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본격적인 공공도서관 컨소시엄으로 발전했다고 합니다. 비영리 기관으로 운영되는, 이 도서관은 회원 도서관의 비용 분담, 자동화 서비스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합니다. '메인' 도서관은 50만 명이 넘는 모든 연령대의 주민들이 풍부한 자원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https://goo.gl/RKRLN4)
스테이트테크 2018년 7월 9일자 보도에 따르면(https://goo.gl/JuifHq), ‘메인’은 재원은 적지만 기술 및 경영 관리 전문 지식에 대한 욕구가 큰, 독립적인 계약자와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해, 컴퓨터, 와이파이 네트워크, 화상 회의 기능, 프린터 및 기타 비즈니스 필수 요소를 갖춘 회의실 등 전문화된 작업공간을 제공하면서, 일종의 비즈니스 멘토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기사에는 임시직 선호 경제(gig economy)에 대응하고자 하는 텍사스 달라스공공도서관의 사례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달라스공공도서관의 2,323제곱미터(2만5천 평방피트, 약 700평)를 점하고 있던 서가 공간이 만남의 공간과 공유 비즈니스 장비를 갖춘 공간을 바뀌었다는 것. 한편 National Economic Research Bureau에 따르면, 미국에서 독립적인 계약자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수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십 년 동안 10.7%에서 15.8%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변화하는 경제 현실과 매체 현실 속에서 공공도서관은 과연 어떤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것일까, 스테이트테크 기사는 이런 사례들이 디지털 시대 도서관의 역할을 재규정하고 있다(redefining (again) the role of libraries in the digital age)고 적고 있습니다.

2018년 7월 21일 토요일

페이스북은 당신을 추적하고 있다 Facebook Tracks About You

페이스북은 당신을 추적하고 있다
Facebook Tracks About You
페이스북의 최고경영자(CEO)인 마크 주커버그(Mark Zuckerberg)는 지난 4월 케임브리지 분석가 추문의 여파로 미국 의회에서 증언을 했습니다. 이 청문회에서 주커버그는 여러 질문 가운데 자신이 대답할 수 없었던 질문에 대해서 후속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예를 들어, 로저 위커 상원의원(Sen. Roger Wicker)이 “페이스북 플랫폼에서 로그아웃한 후에도 페이스북이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징 활동을 추적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는 질문에 주커버그는 “의원님, 저는 정확한 결과에 대해 후속 조치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이후 서면 답변이 제출되었는데, 미국 의회는 2018년 6월 8일 이를 공개했습니다.(https://goo.gl/E4UFrb) 이 답변에 대해 버즈피드뉴스(BuzzFeed News)의 니콜 응구옌(Nicole Nguyen) 기자는 2018년 6월 11일 ‘페이스북이 당신을 추적하고 있지만, 당신이 인식하지 못했을 18가지 사실이 여기 있다’는 기사를 통해 이를 소개하고 있습니다.(https://goo.gl/b3yzCG)
1. ‘컴퓨터, 전화, 연결된 TV 및 기타 웹 연결장치’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또는 이동통신사업자’ 정보
2. 컴퓨터의 ‘마우스 움직임’
3. 당신이 사용하는 기기의 ‘앱 및 파일 이름'(또는 파일 유형)
4. 페이스북이 열린 브라우저 윈도우가 '포그라운드'인지 '백그라운드'foregrounded or backgrounded인지, 시간, 빈도 및 활동 시간
5. IP주소 또는 Wi-Fi 연결과 같은 연결 정보 및 장치의 GPS 신호와 같은 특정 위치 정보 (페이스북 대변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가까운 Wi-Fi 액세스 지점, 표지 및 셀 타워’ 및 ‘신호 강도’ 등을 통해 우리는 당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6. ‘근처에 있거나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장치에 대한 정보’
7. ‘배터리 수준’
8.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
9. 설치된 ‘플러그인’
10. 연결 속도
11. "구매(사용자)purchases[users] make는 페이스북 외부 웹사이트에서 확인.(*무슨 말인지 저로서는 정확하게 이해되지 않습니다. 무슨 뜻이죠?)
12. ‘주소록과 같은 연락처 정보’ 및 안드로이드 사용자의 경우 ‘전화 로그 또는 SMS 로그 기록’이 동기화되면 ‘알 수 있는 사람’을 찾습니다.
13. 사용자가 우리 카메라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페이스북 대변인은 카메라 효과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를 통해 보고받은 것을 서버에 보내고 마스크 / 필터를 생성한다고 설명했습니다.)
14.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사진의 위치 또는 파일이 만들어진 날짜’
15. ‘GPS 위치, 카메라 또는 사진’과 같은 장치 설정을 통한 정보
16. 타사 데이터 제공업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작업’ 및 구매에 대한 정보
17. ‘사용자가 사용하는 게임, 앱 또는 계정과 같은 기기 ID 및 기타 식별자’
18. ‘다른 사람들이 사진을 공유하거나 댓글을 달거나 메시지를 보내거나 연락처 정보를 업로드, 동기화 또는 가져올 때’

2018년 7월 20일 금요일

포산도서관 佛山市图书馆 Foshan Library, IFLA녹색도서관상

포산도서관 佛山市图书馆 Foshan Library
-제3회 IFLA녹색도서관상 수상을 축하합니다.
전 세계에 녹색 도서관 운동을 확산하기 위해 제정된 IFLA녹색도서관상(IFLA Green Library Award). 2018년의 수상자는 중국 광동성 포산시의 포산도서관(佛山市图书馆, Foshan Library)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오는 8월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WLIC에서 상이 수여됩니다. 축하드립니다. IFLA Green Library Award to support the worldwide Green Library movement, and to demonstrate the social role and responsibility of libraries as leaders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IFLA Green Library Award 2018, Foshan Library. Congratulation!
포산도서관의 녹색 실천(Green Practice of Foshan Library)에 대해서는 https://goo.gl/2A7D9r

2018년 7월 18일 수요일

시인-전호근 선생의 칼럼 '시인을 존경한다'에서

시인
전호근 선생의 칼럼 '시인을 존경한다'에서
시는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오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시인으로 사는 사람에게만 찾아오는 것이다. 겨울과 강, 나무와 풀은 늘 말을 걸어오지만 그 말을 들을 수 있는 사람은 귀가 순해진 사람, 시인뿐이다. Poetry seems to arrive suddenly one day, but it comes only to the poet. Winter, rivers, trees and grass always talk, but the only person who can hear it is the poet, the poet.
cf: 이순耳順--The Master said, at sixty, my ear was an obedient organ for the reception of truth.

도서관자전거, 비비와 포켓 Bibliotekscyklar, Bibbi와 Pocket

도서관자전거, 비비와 포켓
Bibliotekscyklar, Bibbi와 Pocket
이런 자전거를 타고, 느릿느릿, 나릿나릿,
거리를 돌아다니는 상상을 해봅니다.
2018년 4월부터 스웨덴 웁살라 거리에는 ‘도서관자전거’(Bibliotekscyklar) 비비와 포켓이 돌아다니기 시작했습니다. 지난봄에는 유치원, 놀이터, 그리고 도서관 협력기관을 방문했다고 합니다. 이 자전거는 날씨가 허락하는 한 웁살라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사람들과 만날 거라고 합니다. 웁살라에 가시는 분들은, 이 자전거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웁살라Uppsala는 스웨덴 남동쪽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13만 명, 웁살라 대학교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 울삽라 공공도서관 https://bibliotekuppsala.se/web/arena/bibliotekscyklar

2018년 7월 17일 화요일

뉴욕시 공공도서관 카드

뉴욕시 공공도서관 카드
2018년 7월 16일자 뉴욕타임스에 따르면(https://goo.gl/PUzGgq), 뉴욕시 공공도서관 카드를 소지한 사람은 뉴욕시의 여러 문화기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구겐하임미술관, 휘트니박물관 등 31개의 유명한 문화기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 뉴욕공공도서관 카드 발급 안내 https://www.nypl.org/library-card
'문화패스' https://www.culturepass.ny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