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31일 토요일

이매진

Imagine

 

Imagine there's no heaven, "천국은 없어"라고 해봐요

It's easy if you try, 해보면 쉬운 일이죠

No hell below us, 지옥 또한 없다고

Above us only sky, 오직 푸른 저 하늘만

Imagine all the people 이 모든 사람들이

Living for today. 오늘을 위해 사는 세상

 

Imagine there's no countries, 국경은 없다고 해봐요

It isnt hard to do, 어렵지도 않아요

Nothing to kill or die for, 서로 죽일 일도 없고

No religion too, 종교 역시 없는 세상

Imagine all the people 이 모든 사람들이

Living life in peace... 평화스럽게 살아가는

 

You may say Im a dreamer, 꿈만 꾼다고 하겠지만

But Im not the only one, 혼자만의 꿈은 아니죠

I hope some day you'll join us, 언젠간 당신도 함께 하겠죠

And the world will live as one 하나되는 세상을

 

Imagine no possesions, 내것이 없다고 해봐요

I wonder if you can, 할 수 있을거예요

No need for greed or hunger, 탐욕과 궁핍도 없고

A brotherhood of man, 인류애만 넘치는

Imane all the people 이 모든 사람들이

Sharing all the world... 그런 세상을 나누어가죠

2009년 10월 30일 금요일

인터넷 40주년

10 월 29 일, 인터넷 탄생 40 주년을 맞이하여 미국 UCLA에서 기념 행사가 열렸다.

1969 년 10 월 29 일, UCLA가 인터넷의 원형인 ARPANET (국방부 군사네트워크)로 첫번째 데이터 통신을 보냈다. UCLA는 이것을 인터넷의 시작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최초의 통신은 이 학교와 SRI(스탠포드연구소) 사이에 이루어졌다. UCLA의 학생이 SRI 시스템에 로그인하기 위해 "LOG"를 입력하고 SRI이 "IN"을 입력 예정이었다. 하지만 UCLA 측이 "L" "O"를 보내, "G"를 입력하는 때에 시스템이 충돌하여 "LO"가 인터넷으로 전송되는 첫번째 메시지가 되었다고 한다.

출처: http://www.engineer.ucla.edu/IA40/program.html

참고: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06443

 

--------------------------------------------------

the Birth of the Internet

It all began with a comic book! At the age of 6, Leonard Kleinrock was reading a Superman comic at his apartment in Manhattan, when, in the centerfold, he found plans for building a crystal radio. To do so, he needed his father's used razor blade, a piece of pencil lead, an empty toilet paper roll, and some wire, all of which he had no trouble obtaining. In addition, he needed an earphone which he promptly appropriated from a public telephone booth. The one remaining part was something called a "variable capacitor". For this, he convinced his mother to take him on the subway down to Canal Street, the center for radio electronics. Upon arrival to one of the shops, he boldly walked up to the clerk and proudly asked to purchase a variable capacitor, whereupon the clerk replied with, "what size do you want?". This blew his cover, and he confessed that he not only had no idea what size, but he also had no idea what the part was for in the first place. After explaining why he wanted one, the clerk sold him just what he needed. Kleinrock built the crystal radio and was totally hooked when "free" music came through the earphones - no batteries, no power, all free! An engineer was born.

 

Leonard Kleinrock spent the next few years cannibalizing discarded radios as he sharpened his electronics skills. He went to the legendary Bronx High School of Science and appended his studies with courses in Radio Engineering. When the time came to go to college, he found he could not afford to attend, even at the tuition-free City College of New York (CCNY), and so he enrolled in their evening session program while working full time as an electronics technician/engineer and bringing a solid paycheck home to his family. He graduated first in his class after 5 1/2 years of intense work (and was elected student body president of the evening session). His work and college training were invaluable, and led to his winning a full graduate fellowship to attend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 the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ment.

 

At MIT, he found that the vast majority of his classmates were doing their Ph.D. research in the overpopulated area of Information Theory. This was not for him, and instead he chose to break new ground in the virtually unknown area of data networks. Indeed, in 1961, he submitted a Ph.D. proposal to study data networks, thus launching the technology which eventually led to the Internet. He completed his work in 1962 which was later published in 1964 by McGraw-Hill as an MIT book entitled "Communication Nets". In this work, he developed the basic principles of packet switching, thus providing the fundamental underpinnings for that technology. These principles (along with his subsequent research) continue to provide a basis for today's Internet technology. Kleinrock is arguably the world's leading authority and researcher in the field of computer network modeling, analysis and design and a father of the Internet.

 

But the commercial world was not ready for data networks and his work lay dormant for most of the 1960's as he continued to publish his results on networking technology while at the same time rising rapidly through the professorial ranks at UCLA where he had joined the faculty in 1963. In the mid-1960's, th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ARPA) - which was created in 1958 as the United States' response to Sputnik - became interested in networks. ARPA had been supporting a number of computer scientists around the country and, as new researchers were brought in, they naturally asked ARPA to provide a computer on which they could do their research; however, ARPA reasoned that this community of scientists would be able to share a smaller number of computers if these computers were connected together by means of a data network. Because of his unique expertise in data networking, they called him to Washington to play a key role in preparing a functional specification for the ARPANET - a government-supported data network that would use the technology which by then had come to be known as "packet switching".

 

The specification for the ARPANET was prepared in 1968, and in January 1969, a Cambridge-based computer company, Bolt, Beranek and Newman (BBN) won the contract to design, implement and deploy the ARPANET. It was their job to take the specification and develop a computer that could act as the switching node for the packet-switched ARPANET. BBN had selected a Honeywell minicomputer as the base on which they would build the switch.

 

Due to Kleinrock's fundamental role in establishing data networking technology over the preceding decade, ARPA decided that UCLA, under Kleinrock's leadership, would become the first node to join the ARPANET. This meant that the first switch (known as an Interface Message Processor - IMP) would arrive on the Labor Day weekend, 1969, and the UCLA team of 40 people that Kleinrock organized would have to provide the ability to connect the first (host) computer to the IMP. This was a challenging task since no such connection had ever been attempted. (This minicomputer had just been released in 1968 and Honeywell displayed it at the 1968 Fall Joint Computer Conference where Kleinrock saw the machine suspended by its hooks at the conference; while running, there was this brute whacking it with a sledge hammer just to show it was robust. Kleinrock suspects that that particular machine is the one that was delivered by BBN to UCLA.) As it turns out, BBN was running two weeks late (much to Kleinrock's delight, since he and his team badly needed the extra development time); BBN, however, shipped the IMP on an airplane instead of on a truck, and it arrived on time. Aware of the pending arrival date, Kleinrock and his team worked around the clock to meet the schedule. On the day after the IMP arrived (the Tuesday after Labor Day), the circus began - everyone who had any imaginable excuse to be there, was there. Kleinrock and his team were there; BBN was there; Honeywell was there (the IMP was built out of a Honeywell minicomputer); Scientific Data Systems was there (the UCLA host machine was an SDS machine); AT&T long lines was there (we were attaching to their network); GTE was there (they were the local telephone company); ARPA was there; the UCLA Computer Science Dept. administration was there; the UCLA campus administration was there; plus an army of Computer Science graduate students was there. Expectations and anxieties were high because, everyone was concerned that their piece might fail. Fortunately, the team had done its job well and bits began moving between the UCLA computer and the IMP that same day. By the next day they had messages moving between the machines. THUS WAS BORN THE ARPANET, AND THE COMMUNITY WHICH HAS NOW BECOME THE INTERNET!

 

A month later the second node was added (at Stanford Research Institute) and the first Host-to-Host message ever to be sent on the Internet was launched from UCLA. This occurred in early October when Kleinrock and one of his programmers proceeded to "logon" to the SRI Host from the UCLA Host. The procedure was to type in "log" and the system at SRI was set up to be clever enough to fill out the rest of the command, namely to add "in" thus creating the word "login". A telephone headset was mounted on the programmers at both ends so they could communicate by voice as the message was transmitted. At the UCLA end, they typed in the "l" and asked SRI if they received it; "got the l" came the voice reply. UCLA typed in the "o", asked if they got it, and received "got the o". UCLA then typed in the "g" and the darned system CRASHED! Quite a beginning. On the second attempt, it worked fine!

 

Little did those pioneers realize what they had created. Indeed, most of the ARPA-supported researchers were opposed to joining the network for fear that it would enable outsiders to load down their "private" computers. Kleinrock had to convince them that joining would be a win-win situation for all concerned, and managed to get reluctant agreement in the community. By December 1969, four sites were connected (UCLA, Stanford Research Institute, UC Santa Barbara, and the University of Utah) and UCLA was already conducting a series of extensive tests to debug the network. Indeed, under Kleinrock's supervision, UCLA served for many years as the ARPANET Measurement Center (in one interesting experiment in the mid-1970's, UCLA managed to control a geosynchronous satellite hovering over the Atlantic Ocean by sending messages through the ARPANET from California to an East Coast satellite dish). As head of the Center, it was Kleinrock's mission to stress the network to its limits and, if possible, expose its faults by "crashing" the net; in those early days, Kleinrock could bring the net down at will, each time identifying and repairing a serious network fault. Some of the faults he uncovered were given descriptive names like Christmas Lockup and Piggyback Lockup. By mid-1970, ten nodes were connected, spanning the USA. BBN designed the IMP to accommodate no more than 64 computers and only one network. Today, the Internet has millions of computers and hundreds of thousands of networks! Electronic mail (email) was an ad-hoc add-on to the network in those early days and it immediately began to dominate network traffic; indeed, the network was already demonstrating its most attractive characteristic, namely, its ability to promote "people- to-people" interaction. The ARPANET evolved into the Internet in the 1980's and was discovered by the commercial world in the late `80's; today, the majority of the traffic on the Internet is from the commercial sector, whereas it had earlier been dominated by the scientific research community. Indeed, no one in those early days predicted how enormously successful data networking would become.

 

In the ensuing years since those pioneering days that led to the birth of the Internet, Kleinrock has continued as a prime mover at the frontier of the Internet and its growth and development. He has provided an international brain trust of Ph.D. graduates (39 to date) who populate major laboratories, universities and commercial organizations and who continue to advance the state of the art in networking. As one of the youngest members elected to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he was a founding member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s elite Computer Science and Telecommunications Board (CSTB). He chaired the committee that produced this Board's first report, "Towards a National Research Network"; in presenting the findings of this landmark report, he testified for then Senator Al Gore, which precipitated the Gigabit Networking component of the US Government's 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Initiative.

 

Today, four events have juxtaposed to create a crucial juncture. First, the Internet has exploded in use and reach (and no one controls the Internet, no one owns it, no one can "shut it off"). Second, the US Administration has vigorously promoted a vision of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 NII). Third, the entertainment industry, along with the telephone and cable TV industries, have recognized that there is a massive business opportunity in network-based entertainment. Fourth, the telecommunications networks have been deregulated. Indeed, the Internet and the World Wide Web are household words. The result is that huge sums of money are about to be expended by the private sector to wire up the USA. In the face of this, there are some basic questions as to what is the proper vision of future networking, what is the technology framework needed to realize that vision, who will design and deploy it, whom will it serve and how, what kinds of applications and services will it support, what is the role of government and of the private sector, etc. Once again, Leonard Kleinrock is leading the effort here by way of a National Research Council CSTB committee that he chaired, and that produced the widely circulated 1994 report "Realizing the Information Future; The Internet and Beyond". This report took the country by storm, and he briefed many government and industry groups regarding its recommendations. Kleinrock's goal this time is to help formulate the guidance needed to bring the networking technology that he pioneered to society and industry for the greater good of this country and of the world.

More recently, Kleinrock has taken the leading role in the new technology of Nomadic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the idea is to create a technology that will support the nomadic user in his computing and communication needs as he travels from place to place.

 

The potential impact of a ubiquitous information infrastructure is unbounded. The nature of the services and styles it can produce is limited only by the imagination of its practitioners. Kleinrock has always worked at the frontier of new technology. He chooses not to follow, fill-in, patch-up or catch-up. Rather, he takes the lead and opens up vast new technologies that have impact and excitement. Kleinrock has provided the leadership and vision to help bring this about .

 

From a comic book to cyberspace; an interesting journey indeed!

 

 



 

 

헌재에 대한 논평 2가지

이외수: http://www.oisoo.co.kr/

 

<유구무언> 세상 돌아가는 판세가 내 소설보다 몇 배나 기상천외하구나.

<졌다> 그래, 동대문 문지방을 박달나무로 만들었다고 우기던 니들이 이겼어. 그 큰 대문에 문지방이 없다고 말했던 내가 어리석었어. 니들은 정말 대단해-라고 말한 다음 저는 울고 있습니다.

 

--------------------------------------------------------------------------------------------

 

진중권: http://blog.daum.net/miraculix

 

<헌재 패러디 봇물>

 

1.

 

"절차는 위법한테 법률은 유효하다.  -헌재

 

헌재가 허경영 콘서트냐......?

 

나라꼴이 이게 뭔지.

말이 필요 없습니다.

투표로 심판해야 합니다.

 

2.

 

"침묵이 금인 시대는 지났다." - 윤증현

 

이 분은 딴 시대에 사는 듯.

입만 벙긋해도 잘리는 시대.  

"침묵이 금인 시대는 지났다."

예, 맞습니다.

MB 정권 출범 이후 침묵의 값이 너무 올라

지금 침묵이 다이아먼드인 시대예요.

 

 3.

 

"누 끼쳐 죄송." - 공정택

 

28억 물어내야 한다면서요?

little MB의 처참한 말로.

다른 little MB들의 말로도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

 

아, Big Brother도 예외는 아니겠지요.

교육과 관련된 논평 2가지

오늘 아침 논평 2개가 눈에 띈다.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에서 내놓은 것이다. 하나는 헌법재판소가 2009년 10월 29일 "밤 10시 이후 학원교습 금지조례가 합헌"이라는 결정을 내린 데 대한 것이고, 또 하나는 대법원의 확정 판결로 공정택 서울특별시교육감이 교육감직을 상실한 데 대한 것이다.

 

------------------------------------------------------------------------------------------------

[논평]

헌법재판소의 “밤 10시 이후 학원교습 금지조례”

합헌 결정을 환영한다.

 

헌법재판소는 오늘 ‘밤 10시 이후 학원교습을 금지한 서울시와 부산시 조례는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렸다. 헌법 재판소의 결정을 적극 환영하는 바이다.

 

우리회는 지난 7월 7일 민주당과 한나라당에 “밤10시 이후 학원교습 금지법”을 즉각 제정할 것을 촉구하는 의견서를 전달하였다. 밤 10시 이후까지도 학원을 전전하는 것은 교육적으로도 문제가 심각할 뿐 아니라 아이들의 건강한 심신 발달에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번 결정은 우리 아이들과 우리 교육의 미래를 걱정하는 학부모들의 절절한 요구를 헌법재판소가 올바르게 수용한 판단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번 결정이 실질적인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후속적인 보완이 이루어져야한다.

 

첫째, 밤 10시 이후 심야학원교습금지를 법으로 제정해야 한다.

현재는 시도별 조례를 적용하기 때문에 시도별 제한 시간이 달라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으로 제정하여 전국적인 기준선을 분명하게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소액 과외 교습까지도 법 적용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학교에서의 밤10시 이후 심야 보충학습 및 야간자율학습을 금지해야 한다.

 

우리회는 ‘밤 10시 이후 심야 교습을 금지하는 법 제정’에 찬성하는 모든 단체들과 연대하여 더욱 힘차게 법제정 촉구 운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다.

2009년 10월 29일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

[공정택 교육감 대법원 확정판결에 대한 논평]

 

공정택 교육감이 추진했던 교육정책도 무효다.

 

대법원은 29일 상고심에서 공정택 교육감에게 당선 무효 형에 해당하는 벌금 150만원을 선고 했다. 이번 대법원 확정판결로 공정택 교육감은 교육감직을 상실했다.

 

 

그동안 1심에서 당선 무효 형을 선고받고도 그 직을 유지하기 위해서 최종심의 판결까지 가서 서울교육의 공백을 초래 했다. 비리 부패 교육감의 오명을 쓰면서 학생의 교육은 안중에도 없고, 오직 자신의 직에만 연연해하는 모습만 보였다.

 

공 교육감은 MB 교육정책의 전도사로서 우리교육을 거꾸로 돌리는 잘못된 정책을 펼쳤다. 영어 몰입교육, 국제중 설립, 일제고사 부활, 고교 학교 선택제 도입, 자율형 사립고 설립추진, 등 경쟁만능 교육정책을 소통마저 거부하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 그로 인해 학생들은 무한경쟁으로 내몰려 고통당하고, 학부모들은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로 고통당했다.

 

서울시 교육감 직은 내년 6월 교육감 선거가 끝날 때까지 현 김경회 부교육감이 대행한다.

 

공 교육감의 당선 무효가 결정됨과 동시에 공정택 교육감이 추진했던 교육정책도 무효이며, 김경회 부교육감은 공 교육감이 일방적으로 추진했던 잘못된 교육정책을 중단하여야 한다.

 

남은 8개월 동안만이라도 그동안 잘못된 경쟁교육으로 학생 학부모의 고통을 줄이기 위한 교육정책으로 선회하여 더 이상 차별과 경쟁으로 공교육 현장을 혼란스럽게 하지 말기 바란다.

2009년 10월 29일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2009년 10월 29일 목요일

동아시아 백 권의 책

 

동아시아 각 지역을 대표한다는 의미를 지닌 `동아시아 100권의 책`이 선정됐다. 동아시아출판인회의는 29일 전주에서 9차 대회를 열고 한ㆍ중ㆍ일에서 각각 26권, 홍콩ㆍ대만에서 22권의 책을 뽑아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동아시아 상호 이해를 도울 20세기 인문학술 서적을 뽑아 각 나라에서 동시에 번역ㆍ출판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도둑질은 위법하지만 장물은 도둑놈의 소유다?

       

2009년 10월 29일 헌법재판소는 지난 7월 국회에서 표결 처리한 미디어법을 두고 "표결 과정에서 야당 의원들의 법률안 심의·표결권을 침해하는 등 절차는 '위법'했지만 법은 '유효'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에 대한 누리꾼들의 반응과 몇 명의 정치인들의 멘트.

 

희망한국 : "술은 마셨는데 음주운전이 아니다?"

노루귀:  "도둑질은 위법하지만 장물은 도둑놈의 소유이고, 컨닝은 인정되지만 성적은 유효하다는 것"

melonfist: "대리 수능을 봐서 서울대 가도 되는 건가. 위법하나 시험 성적은 유효하니…"

new20234: "강간은 했는데 성폭행은 아니다?"

노회찬: "위조지폐라는 건 분명한데, 화폐로서 가치가 없다고 할 수 없다? "

천정배: "아이의 아버지라는 건 분명한데, 아버지의 자식은 아니라는 식이다. "

 
 

2009년 10월 26일 월요일

전자도서관 논쟁

우연히 전자책, 전자도서관에 대해 검색하다가 어느 논술 관련 홈페이지에 실려 있는 다음과 같은 글을 만났다. 누가 쓴 글일까? 필자 불명이다. 하지만 내용은 찬찬히 읽어볼 만한 내용이다. 출처는 http://www.sun4in.com/

 

------------------------------------------------------------------------

 

전자도서관 논쟁

전자도서관 예찬론이 무성하다. 2006년 8월 20일 개최된 2006 서울 세계도서관정보대회(WLIC: World Library and Information Congress)에서도 전자도서관 예찬이 쏟아졌다. 디지털도서관, 가상도서관, 사이버도서관, 벽 없는 도서관 등으로 불려지기도 하는 전자도서관의 장점은 무수히 많다. 그러나 허버트 실러는 “모든 사람이 마음껏 도서관의 보고(寶庫)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전망은 공공 도서관들이 문을 닫거나 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교수 김정근을 비롯한 부산대 문헌정보학과 연구팀은 전자도서관 열풍을 ‘어리석은 광기’라고 질타했다. 기존의 책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한 비참한 현실을 외면하고 그 과정을 건너뛰려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현실이 비참할수록 미래로 도망가야 하느냐고 물으면서 한국 도서관 현장의 현 단계에서는 소장(ownership)이 장서 문제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고 보며 전자 매체를 이용한 접근(access)은 어디까지나 기본인 소장의 보완과 강화를 위한 보조의 위치에 세워두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국에서의 시급한 현안은 공공도서관의 문제다. 한국 공공도서관의 현실은 ‘비참하다’고 말해도 좋을 정도로 열악하기 때문이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공공도서관이 겪는 가장 큰 민원은 독서실을 운영해달라는 것이라고 한다. 자신의 책을 가지고 와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이처럼 한국인들은 도서관을 독서실로 착각하고 사서들을 독서실 ‘총무’로 보는 시각이 만연해 있다. 이창원 한성대 행정학과 교수는 “‘공시족(公試族)’이 점령한 대학도서관을 해방시키자”고 주장했다. 한국출판연구소 차장 백원근은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 기능은 매우 취약해 전국에 500개도 채 안 되는 실정입니다. 국내 모든 공공도서관에서 구입하는 책이 미국 하버드대학 한 곳의 도서구입비보다 적은 실정 아닙니까? 이런 상황에서 무슨 국가경쟁력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 대학도서관도 문제입니다. 대학생들이 학교 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빌려 읽는 책이 시중의 베스트셀러 소설이나 킬림타임용 판타지류입니다. 대학 도서관의 학술도서 구입 비중 등을 대학평가 요소로 적극 반영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논설위원 송충식은 일본 최고의 도서대출률을 자랑하는 ‘도서관 도시’ 우라야스와 도서관 혁신을 통해 ‘생각하는 학교, 학습하는 나라’의 비전을 실천해온 싱가포르의 사례를 거론하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동네도서관,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학습국가’ 구상에 착수할 때다. 이는 비단 아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모든 국민이 배움의 문화를 즐기는 우리사회의 총체적 역량에 관한 문제다. 안타까운 것은 정치권이 거대 담론을 놓고 대책없는 싸움박질로 날을 지새는 사이, 정작 이처럼 모두에게 절실하고 중요한 문제들이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는 현실이다.” 전자도서관의 축복을 말하기에 앞서 공공도서관의 현실에 주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혹자는 전자도서관이 공공도서관의 그런 문제마저 건너뛸 수 있는 대안인 것처럼 말하지만, 이는 공공도서관이 최소한의 도서 구입으로 지식 생산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 영향력을 간과한 단견일 수 있다.


(참고문헌)

배영대, <“디지털 도서관, 정보 평등화 기여할 것”>, 『중앙일보』, 2006년 8월 21일, 18면;

허버트 실러, 김동춘 옮김, 『정보 불평등』(민음사, 2001), 145-146쪽;

김정근, <엮으면서: ‘가벼움’의 기원에 대하여>, 김정근 편저, 『디지털 도서관: 꿈인가, 광기인가, 현실인가』(민음사, 1997), 5-17쪽;

고정욱, <도서관에 대한 몇가지 오해>, 『경향신문』, 2004년 10월 2일, 18면;

이창원, <‘공시족’이 점령한 대학도서관 해방시키자>, 『조선일보』, 2007년 10월 5일자;

백원근 외, <테마대담: 위기에 빠진 인문출판>, 『한겨레』, 2004년 12월 21일자; 송충식, <‘우라야스’를 배우자>, 『경향신문』, 2004년 12월 21일자

2009년 10월 23일 금요일

"아닌건 아니라더군요"

 

시민들의 성금을 모아 만든 <언론자유 수호 TV 광고> 가운데 하나가 언론노조 홈페이지(http://media.nodong.org)에 공개되었다.

 "이들의 이야기는 꼭 해야겠습니다.

남의 일이라 고개 돌리지 마시고

또 투쟁이냐 지겨우시겠지만

아이가 셋인

한 해직 언론인이 그러더군요.

'언론은 누구도 소유할 수 없습니다.

언론은 국민의 것이어야 합니다'

'왜 해직까지 당하면서

그렇게 싸우냐'니까

아닌건

아니라더군요.

미디어법 국민 여러분께서 판단해 주십시오"

 

신동엽 시인

오늘 신동엽 시인 40주기 학술대회가 열린다고 한다. 오후1시부터 숭실대 한경직기념관. 가보고 싶지만, 가지 못하는 마음. 오랫동안 읽고 읽었던 <신동엽 시전집>을 들추어본다. 금강은 아직도 흐르고 있었다. 장시 금강의 3장이다.

 

    어느 해
    여름 금강변을 소요하다
    나는 하늘을 봤다.

 

    빛나는 눈동자.
    너의 눈은
    밤 깊은 얼굴 앞에
    빛나고 있었다.

 

    그 빛나는 눈을
    나는 아직
    잊을 수가 없다.

 

    검은 바람은
    앞서 간 사람들의
    쓸쓸한 혼을
    갈가리 찢어
    꽃 풀무 치어오고

 

    파도는,
    너의 얼굴 위에
    너의 어깨 위에, 그리고 너의 가슴 위에
    마냥 쏟아지고 있었다.

 

    너는 말이 없고,
    귀가 없고, 봄도 없이
    다만 억천만 쏟아지는 폭동을 헤치며
    고고히
    눈을 뜨고
    걸어가고 있었다.

 

    그 빛나는 눈을
    나는 아직
    잊을 수가 없다.

 

    그 어두운 밤
    너의 눈은
    세기의 대합실 속서
    빛나고 있었다.

 

    빌딩마다 폭우가
    몰아쳐 덜컹거리고
    너를 알아보는 사람은
    당세에 하나도 없었다.

 

    그 아름다운,
    빛나는 눈을
    나는 아직 잊을 수가 없다.

 

    조용한,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
    다만 사랑하는
    생각하는, 그 눈은
    그 밤의 죽음거리를
    걸어가고 있었다.

 

    너의 빛나는
    그 눈이 말하는 것은
    자시(子時)다. 새벽이다.
    승천이다.

 

    어제
    발버둥치는
    수천 수백만의 아우성을 싣고
    강물은
    슬프게도 흘러갔고야.

 

    세상에 항거함이 없이,
    오히려 세상이
    너의 위엄 앞에 항거하려 하도록
    빛나는 눈동자,
    너는 세상을 밟아디디며
    포도알 씹듯 세상을 씹으며
    뚜벅뚜벅 혼자서
    걸아가고 있었다.

 

    그 아름다운 눈,
    너의 그 눈을 볼 수 있는 건
    세상에 나온 나의, 오직 하나
    지상의 보람이었다.

 

    그 눈은
    나의 생과 함께
    내 열매 속에 살아남았다.

 

    그런 빛을 가지기 위하야
    인류는 헤매인 것이다.

 

    정신은
    빛나고 있었다.
    몸은 야위었어도
    다만 정신은
    빛나고 있었다

 

    눈물겨운 역사마다 삼켜 견디고
    언젠가 또다시
    물결 속 잠기게 될 것을
    빤히, 자각하고 있는 사람의.

 

    세속된 표정을
    개운히 떨어버린,
    승화된 높은 의지 가운데
    빛나고 있는 눈,
    산정을 걸어가고 있는 사람의,
    정신의
    눈
    깊게. 높게.
    땅속서 스며나오는듯한
    말없는 그 눈빛.

 

    이승을 담아버린
    그리고 이승을 뚫어버린
    오, 인간정신미의
    지고한 빛.

 

 

   

2009년 10월 22일 목요일

숫자들

가계부채 : 03년말 448조원→07년말 631조원→09.6월말 698조원

국가직접채무 : 97년 60조원→02년 134조원 →07년 299조원 →08년 308조원

사실상국가채무 :  97년 368조원→02년 925조원→07년 1,295조원→08년 1,439조원*

청년실업률 : 05년 4.8%→06년 7.9% →08년 7.2%→09.3분기 8.1%

정부행정위원회 :  97년 23개 →02년 35개 →08.2월 44개→09.8월 42개

정부자문위원회 :  97년 357개→02년 329개→08.2월 540개→09.8월 419개

사교육비 : 07년 20.0조원→08년 20.9조원

재정지출 :  04년 197조원 →07년 238조원→08년 257조원-09년 284조원→2013년 335조원 (국가재정운용계획)

 

*․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옥동석 교수) 국가채무 : 688.4~1,198조원(’07)/국회예산정책처 추산 : 1,281.4조원(’07)/한국조세연구원 추산 : 986조원(’07)/이한구 의원 추산 : 1,285조원(’07), 1,439조원(’08)

 

위의 수치들은 오늘 이한구 국회의원(한나라당)의 총리실 국정감사 시에 나온 자료들. 원문은 첨부. 이 질의 내용 중 눈에 띄는 대목. "공직자윤리법 있으나 마나 : 고위공직자들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다양한 편법을 동원해 유관기관에 재취업하고 있음."

 

아, 신부님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h730818/15536628

 

'용산참사 해결'을 요구하며 11일째 단식농성을 해온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문규현 신부님(65)이 오늘 새벽 쓰러져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한다. 의식불명 상태이나 위험한 고비는 넘겼다고 언론매체는 전하고 있다. 부디 일어나시기를.

'서울도서관재단'에 대한 토론

                                                  *사진출처: http://blog.seoul.go.kr/

 

2009년 10월 21일 오후2시,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에서는 '서울특별시 공공도서관 정책토론회'가 서울특별시의 주최로 열렸습니다.

 

엄연숙 과장(서울특별시 문화국 문화예술과)과 남영준 교수(중앙대 문헌정보학과) 가 발제를 하였고, 안찬수 사무처장(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이상복(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임승빈(명지대학교 행정학)  신동엽(연세대학교 경영학) 교수가 토론자였으며, 정동렬 교수(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가 사회자였습니다.

 

2시에 시작된 토론회는 거의 4시간이나 계속되어 토론회가 끝나고 밖으로 나오니 어둠이 드리워져 있었습니다. 입추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많은 분들이 참석하여 이날 토론의 의제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습니다. 토론회가 끝난 뒤, 토론문을 원시는 분들이 계셔서 여기에 저의 토론문을 첨부해 놓겠습니다. (혹 퍼가시는 분들께서는 아래에 짤막한 메모라도 남겨주시길.)

 

이 토론회가 끝난 뒤, 집으로 돌아오면서 엄연숙 과장께 이런 식의 질문을 마지막으로 꼭 던졌어야 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엄연숙 과장님, 과장님은 행정가입니다. 그런 행정가의 입장에서, 제가 드리는 질문에 답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질문은 이렇습니다.

 

지금 우리가 오늘 토론회를 개최하는 곳이 국립중앙도서관입니다. 이 도서관을 <도서관법>에서는 국가대표도서관이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가정을 해보죠!

 

이 국가대표도서관이 아직 개관하지 않은 상태이고, 내년, 혹은 내후년쯤 개관을 목표로 한창 공사중이라고 말이죠. 그리고 중앙정부에서는 국가대표도서관의 개관이 예정되어 있는 상태이니까 당연히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그 운영을 위해서 어떤 조직이 필요한가, 얼마나 예산이 투여되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됩니다. 그럴 때 어떤 분이 이렇게 제안합니다. --"재단'을 만듭시다. 지금 총정원제 때문에  법정 기준에 맞추어 사서 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국가공무원이 도서관을 운영하는 것보다 민간이 훨씬 창의적으로 전문성을 가지고 운영할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지금 광역시도에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하거나 지정하여 운영하라고 법에서는 규정해놓았지만 광역시도는 그 대표도서관들을 민간위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물론 이것도 가정입니다만 서울특별시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재단의 사례를 모형으로 16개시도의 지역대표도서관이 모두 민간위탁되어 있다고 가정하죠. 오늘 토론회에서도 이상복 교수님이나 남영준 교수님은 그런 우려를 표명하신 것이니까요.) 그것도 큰 문제 아닙니까? 그러니까 국가 차원에서 '재단'을 만들어서 광역시도가 위탁하고 있는 도서관들도 중앙정부와 광역시도와 협의하에 이 재단에 맡기도록 하면 되지 않겠습니까? 그 재단의 명칭은 '한국도서관재단'이라고 하죠." 그래서 '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법안을 만들어 국회에 내놓습니다. 이 법안에 따르면 재단 이사장은 대통령이 임면하고, 재단의 대표이사가 국가대표도서관의 관장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질문1: 만약 이런 식으로 국가대표도서관, 또 '재단'이 설립된다고 하면 엄과장님께서 행정가로서 적극 찬성하시겠습니까? 아니면 반대하시겠습니까?

 

질문2: 제가 가정한 것과 같은 '재단'이 만들어지면 서울특별시대표도서관의 운영을 이 '재단'에 맡길 의향이 있습니까? 아니면 그게 무슨 소리냐. 서울특별시의 대표도서관은 당연히 서울시가 운영해야지, 이렇게 말하겠습니까?

 

질문3: 그리고 이 '재단'의 추진과정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어느 대학생이 묻습니다. "저는 그 대표도서관에서 일하고 싶어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대표도서관을 국가에서 직영하는 것이 아니라 '재단'을 만든다고 하면 과연 그 재단의 직원이 되었을 때 안정성이 있습니까? 국가공무원이 되는 것이 더 안정성이 있는 것 아닙니까? 그런데 그 '재단'을 추진하고자 하는 중앙정부의 공무원이 이렇게 답변합니다. "아닙니다. 그 안정성을 위해서 '재단'을 만드는 것입니다." 엄과장님은 국가공무원과 재단 직원 가운데 어느 쪽이 '안정성'이 있다고 보십니까?

 

엄연숙 과장은 행정가로서 질문1에 대해 '반대해야' 옳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왜냐면 그런 식으로 국가대표도서관이 재단에 의해 운영된다면, 많은 혼동이 일어날 것입니다. 현재 국가대표도서관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입니다만, 국가대표도서관이 재단의 소속이 되어서, 관장 위에 장관이 있는 게 아니라 관장 위에 이사장이 있는 꼴이 될 터이니까요. 그런데 이 날 토론회에서 엄연숙 과장은 질문1에 대해 적극 찬성의 입장이라고 강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질문2에 대해서도 엄과장은 분명 서울시는 서울시의 대표도서관을 운영할 것이라고 답변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서울시의 자치구들도 '서울도서관재단'이 만들어진다고 해서 자치구의 구립도서관들을 '서울도서관재단'에 맡기지는 않고 자치구는 자치구대로 도서관을 운영할 것입니다. 질문3에 대해서도 당연히 국가공무원이 재단 직원보다 훨씬 안정성이 있다는 것이 상식적일 것입니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이 날 정책토론회에서는 반대로 이야기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상식적인 질문에 대해 비상식적인 답변이 거듭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니까 저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도대체 왜? 그런 의문을 품고 토론회에 참석했던 것인데 이 날 토론회를 통해서 아무런 의문을 풀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도대체 왜, 서울특별시는 '서울도서관재단'을 만들고자 하는 것일까?

 

                                                *사진출처: http://www.lafent.com

 

공사개요
■ 대지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31번지
■ 대지면적 : 12,709㎡
■ 규모 : 지하5층, 지상13층
■연면적 : 90,788㎡
  - 본관동 : 18,977㎡
  - 증축동 : 71,811㎡
■ 구조 : 철골철근콘크리트조
■ 외부마감 : 로이 복층유리, ETFE (불소수지 투명판)
■ 삼성물산 컨소시엄
  - 건설사 : 삼성물산(주), 에스케이건설(주), 쌍용건설(주)
  - 설계사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2009년 10월 21일 수요일

방향이 잘못되면 속도는 의미 없다

"방향이 잘못되면 속도는 의미 없다."

오늘 읽은
박창근(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시민환경연구소 소장)의 글 가운데 인용된 간디의 말이다.

 

                                                      *사진 출처: kimeld.egloos.com

 

2009년 10월 20일 화요일

"자, 읽자"-일본의 '국민독서의 해'

                     *출처: http://www.47news.jp

 

 

일본의 재단법인 문자활자문화추진기구 등은 2009년 10월 19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서, '2010년 국민독서의 해'의 사업계획을 발표했다고 한다. 캐치프레이즈는 '자, 읽자'(じゃあ、読もう) .

 

지난 2008년 6월 6일 일본 국회(중의원, 참의원)는 만장일치로 2010년을 국민독서의 해로 결의하였고, 2010년 11월 18일 '국민독서의 해 추진회의'가 출범한 바 있다. 이 추진회의의 구성원을 보면, 저명한 건축가인 안도 다다오(安藤忠雄) 씨가 의장. 문화, 예술, 출판, 언론, 정치 등 사회 각계의 인사들이 결집되어 있다.

 

기자회견을 전하는 일본 언론의 보도를 보면, 내년에는 '독서 장애 제거 법안(読書バリアフリー法案)도 추진한다고 하는 데 그 내용이 궁금해진다. 또한 '국민독서의 해'의 사업들이 어떻게 전개될지도 주목해야겠다.

2009년 10월 14일 수요일

2009 Access to Learning Award

       *사진출처: http://www.fundacionepm.org.co/site/

 

"지역공동체의 일원이 되면, 사람들은 더 잘 배울 수 있다고 믿습니다." (We believe that you can learn better if you're part of a community.)

 

이 말은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매년 수여하는 '학습접근권상(Access to Learning Award)'을 올해 수상한 콜롬비아의 도시 메델린의 비영리 조직 '메델린 공사재단(Fundacion Empresas Publicas de Medellin)'의 도서관 코디네이터인 가브리엘 바네가스(Gabriel Jaime Vanegas)의 말이다.

 

'2009 학습접근권상'을 수상한 메델린 공사재단을 소개하는 내용을 보니, '도서관'의 의미를 새롭게 만들어가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공공도서관 네트워트의 활동은,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전통적인 '책 창고'에서 역동적인 중심기지인 것으로 바꾸어 내고 있다. 그 중심기지란 개인의 발전과 경제적 개선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곳, 지역공동체 의식을 창조하고 지구적 차원의 공동체와의 연결고리를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NPL has shifted people’s perceptions of libraries from traditional “bookshelves” to dynamic centers—places that offer tools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improvement, places that create a sense of local community and provide a connection to the global community.)

 

정보기술과 교육프로그램, 문화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메델린이라는 지역이 공동체를 어떻게 재생하는 데 도움을 주었는가, 메델린 공사재단에 상을 수여한 것은 이에 대해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 지역공동체 형성자로서의 도서관!

2009년 10월 13일 화요일

영국의 '2009 북스타트 전국대회'

2009년 10월 9일, 영국은 '2009 북스타트 전국대회' 행사를 개최했다고 한다. 주제는 '좋아하는 음율'. 약 5천 개 이상의 행사가 전국 각지에서 열렸다고 영국 북스타트 홈페이지는 전하고 있다.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율은 "반짝반짝 작은 별(Twinkle Twinkle Little Star)'이라고 한다.

 

아기에게는 노래와 음율과 이야기가 필요하다. 그 아이가 어느 나라의 아이든.  

---------------------------------------------------------------------------------

아래 출처: http://www.bookstart.org.uk/show/feature/Family-activities/National-Bookstart-Day/National-Bookstart-Day

 

National Bookstart Day 2009

Over 5,000 rhyme - themed events took place across the country on National Bookstart Day!

National Bookstart Day!

National Bookstart Day 2009 was celebrated across the UK on Friday 9 October with over 5,000 'My Favourite Rhyme'themed events taking place in children 's centres, nurseries, libraries and bookshops. A million copies of the free booklet Bookstart 's Favourite Rhymes have been given out on high streets and shopping centres to spread the message about Bookstart.

The national press event at the V & A Museum of Childhood in London was a great success with 55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carers attending from Mowlem Children 's Centre in Tower Hamlets and VIP guest Danielle Lineker, left, joining in the fun, with entertainment provided by the Bookstart Bear, storytellers, illustrators and a lively rhymetime session.

Visit the Bookstart website to find out more

If you didn't receive a copy of the Bookstart 's Favourite Rhymes booklet, you can download a free copy from the Bookstart website.

 

---------------------------------------------------------

The nation’s favourite nursery rhyme is Twinkle Twinkle Little Star.

 

The top ten across the UK are:

1.    Twinkle Twinkle Little Star

2.    Incey Wincey Spider

3.    Round and Round the Garden

4.    Baa Baa Black Sheep

5.    The Grand Old Duke of York

6.    If You’re Happy and You Know It

7.    Humpty Dumpty

8.    This Little Piggy

9.    Ring a Ring a Roses

10.    I’m a Little Teapot

 

2009년 10월 6일 화요일

감옥 안에서 금서 읽기

 

As part of Banned Book Week, the East Branch Library in Dayton built a “jail” for classic banned books and invited volunteers to read from the books. Shadd Douglas read from “Song of Solomon,” by Toni Morrison on Friday, Oct. 2. (사진출처: http://www.daytondailynews.com/)

책읽는도시 김해--도정일

"책을 읽는다는 것은 지적 성장과 정신적 성숙에 꼭 필요한 일입니다. 어쩌면 인간의 성장과 성숙을 위해 불가결한 일입니다.

 

지금 각 지방자치단체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주민들의 삶의 질, 삶의 품격을 높이는 것입니다. 삶의 품격이라는 것은 물질적인 것만으로는 높일 수 없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재산을 늘린다고 삶의 품격이 높아지는 것이 아닙니다. 삶이란 정신과 육체의 결합이고, 그렇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는 주민 내부의 친밀성, 신뢰, 연결망, 그리고 주민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자신감 등을 만들어나갈 때 행복한 도시, 행복한 공동체가 되는 것입니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지역사회의 정신적 자산을 늘려나가는 일입니다. 책을 매개로 주민들이 서로 가까워지고, 그렇게 함으로써 새로운 소통이 생겨나고 주민들 상호간에 새로운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상호신뢰가 싹트도록 하는 것, 이런 것이 지역 공동체에 대한 자신감을 만들어냅니다.

 

요사이 '사회자본'이라는 말을 많이 쓰지 않나요? '사회자본'은 한 공동체를 행복하게 하는 무형의 자신입니다. 그것은 돈이 아닙니다. 무형의 자산은 어떻게 조성되는가. 주민들의 상호신뢰, 연결망, 소통, 따뜻한 관계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김해가 그런 자산을 늘려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책읽는도시' 정책을 적극적인 시정으로 들고 나온 것은 김해가 최초입니다. 지방자치단체의 행사와 정책이 일시적이거나 현시적인 것으로 끝날 경우가 많은데, 그것이 아니라 몇 년 동안 지속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어떤 행사, 행정, 정책에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으면 무의미해지는데, 김해의 경우를 보면, 이 두 가지 즉 시가 비록 주도권을 쥐고 나온긴 했지만, 지속적이면서 주민들의 지지를 받고, 많은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그렇게 해서 한 도시를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건강하게 행복하게 하는, 구체적인 정책 제안과 비전을 내놓았다. 이것이 김해가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입니다."

김해기적의도서관--정기용

"나는 '책읽는도시'란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시를 책을 통해 가꾸어보자는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김해기적의도서관'을 설계했습니다. 김해는 역사와 신화의 땅이며, 또 김해는 생태와 환경의 도시가 되고자 합니다.

 

생태와 환경이 중심이 되면서, 신화와 역사가 중심이 되는 어린이도서관의 건립은 가능한가? 가능합니다. 김해 장유면 율하지구에는 높이 솟아 있는 아파트가 빼곡하게 차 있습니다. 그래서 어린이도서관은 낮게 엎드려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 창문은 그냥 창문이 아니라, 태양열 전지입니다. 옥상에는 어린이들이 올라가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옥상정원이 있습니다.

 

지난번에 시민들께 '기적의도서관'을 설명한 적이 있는데, 그때 시민들의 열정에 크게 감동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기적의도서관'을 건립한 것은 중요한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무엇이냐 하면, 건축가가 단독으로 구상하고 상상해서 만들어내는 건축이 아니라, 도정일 선생님, 시장님, 그리고 시민들이 협력해서 설계한 결과인 것입니다. 거버넌스 공간생산의 대표적인 사례가 '기적의도서관'인 것입니다. 건축가가 혼자 잘났다고 하면서 만들어내는 건축이 아니라, 정말로 어린이를 보살피고, 삶을 보살피고, 사람을 보살피는 건축, 그런 도서관을 가질 만한 때가 되지 않았는가. 그리하여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시가 펼쳐질 것이고, '기적의도서관'이 건립될 것입니다.

 

교육개혁은 교육부가 하는 것이 아닙니다. 아이들이 고사리 같은 손으로 책을 꺼내들고 그 책을 읽을 때, 교육이 개혁이 되는 것입니다.  어린이가 책을 읽으면, 그 엄마들이 읽을 것이고, 엄마들이 읽으면 아빠들이 읽게 되고,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읽게 됩니다. 제가 설계한 순천, 진해, 서귀포, 제주, 정읍 도서관들에서 그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적의도서관'에서 '기적'이 일어난다고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어린이도서관에서 가서 어린이들이 책을 읽는 모습을 상상해보십시오. 그것은 '혁명적'인 것입니다. 그래서 김해기적의도서관에서 다음, 다음, 또 그 다음의 대통령도 나오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2009년 10월 3일 토요일

대통령도서관의 미래-미국의 경우

지미 카터 대통령도서관이 그의 85번째 생일에 즈음하여 재단장하여 개관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지난 봄부터 시작된 이 재단장을 위해 약 1000만 달러가 소요되었다는 것. 카터 대통령은 미국 역사상 퇴임 후 가장 활발한 활동을 전개한 대통령으로 기록될 모양이다.

 

그런 가운데 눈에 띄는 기사 하나. 제목이 '대통령 도서관의 미래'라는 것이다. 아마도 이 기사는 이소연 교수께 도움이 되리라. 이 기사에 소개된 바로는, 미국의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이 대통령 도서관의 새로운 대안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제안하는 보고서를 발간 했다는 내용이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의회청문회가 열릴 예정이라 한다.

 

이 보고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대통령의 기록을 전자화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정부는 어떻게 이 일을 할 것인가를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난 여름 기록학과 대학원생 봉사자들과 대통령 기록을 보존하는 일을 위해 땀을 흘린 이들이 있었다. 지금 그 경과가 어떤지 궁금할 따름이다.

---------------------------------------------------------------

The Future of Presidential Libraries


The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in Boston. (AP)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draw big crowds to otherwise less-than familiar places. Just ask folks in Abilene, Kansas., Little Rock, Ark., or Yorba Linda, Calif., how life might be different if Presidents Eisenhower, Clinton and Nixon hadn't built their monuments to self where they now stand.

 

Congress wants to cut taxpayer costs associated with presidential libraries and archives however, and a new report (PDF) by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released Wednesday proposed five possible alternatives. It also warned that social networking tools will complicate future presidential record-keeping.

 

The Obama administration's reliance on Web 2.0 and social networking technologies "creates a challenge not yet met by NARA or the rest of government, both in implementation of his directives and in the management of the electronic records created through these initiatives," according to the report. (The report was released the day before the reopening of the Jimmy Cart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in Atlanta. The five month renovation cost $10 million.)

 

Digitizing presidential records is a costly and time-consuming process and the government needs to think hard about how to do it, the report said. Indeed, technical glitches contributed to the Archive's difficulty in obtaining Bush administration records late last year. The Obama White House is in the process of hiring a contractor to automatically archive all of its online activity as it occurs.

 

The National Archives works with private presidential library foundations to operate the facilities and archive their historical records. Congress first addressed the issue of presidential libraries with the Presidential Libraries Act in 1955. The 1978 Presidential Records Act mandated that a presidential transfer his records to the National Archives at the end of his term. Last year lawmakers approved the Presidential Historical Records Preservation Act, part of which required the Archives to explore ways to cut costs, to provide more rapid access to presidential materials and improve the preservation process.

 

The report proposes five possible changes to how the government and private presidential library foundations own and operate presidential records and museums:

Model 1: The current model (in which both the archival depository and museum are donated to NARA by the Library Foundation), with revisions to the endowment calculation that would require an endowment based on the total size of the building. This model also explores a new basis for the charter between NARA and the Library Foundations.
Model 2: The Presidential archival depository leased by the Government, with a separate Museum managed by the Foundation.
Model 3: The Presidential archival depository donated to NARA by the Foundation, a university, or other non-Federal entity, with a separate Museum managed by the Foundation.
Model 4: A centralized Presidential archival depository funded and managed by NARA, with no museum. Presidential Foundations may build and manage their own museums in a location of their choice.
Model 5: A centralized Presidential archival depository funded and managed by NARA and a Museum of the Presidency built and staffed by NARA. Private funds through a separate Foundation or through other fund-raising would be required to build and sustain the exhibits and the educational and public programs of the Museum.

The report admits "a tension" between the charge to cut costs and the speeding up of access records, while also improving the record-keeping process. Some of the proposed alternatives might cut costs while hampering preservation efforts or slowing access to records. Adopting any of the proposed changes might also inadvertently increase government costs, the report said.

 

A Senate subcommittee will hold hearings on the report at a later date.

 

2009년 10월 2일 금요일

이후남 기자의 도서관 특집 기사

      *도표출처: http://sunday.joins.com

 

지난 9월 초 중앙일보의 자매지인 중앙선데이의 이후남 기자를 만났었다. '독서의 달'인 9월의 특집으로 도서관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고 하였다. 꼼꼼하게 질문하고 정확하게 메모하는 모습을 보며 좋은 기사가 나오리라 생각했었다. 오늘 그 기사를 검색해보니 이후남 기자의 기사는 모두 네 꼭지였다. 나를 비롯해서 한국도서관협회의 이용훈 부장,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의 김명희 팀장, 정독도서관의 김선희 과장과 자료봉사과 이선희 계장을 인터뷰했음을 알 수 있었다. 시리즈 물이 아니라 한 주간지에서 단독으로 이 정도의 기사를 혼자 정리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일독을 권한다. 이후남 기자는 자신의 블로그 '이후남 기자의 블로그'에도 이 글을 올려놓았다. (중앙선데이의 이 특집은 조강수 기자도 동참했는데, 조강수 기자의 기사는 남산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서대문도서관의 '글사랑 독서회'를 취재한 것이었다.)

 

(1)독일은 7900명당 공공도서관 한 개 한국은 7만6000명에 하나꼴

(2)중앙도서관 730만 점 책 부자, <월인석보> <동의보감> 등 보물 소장

(3)어른신 위해 활자 키우고, 임산부 위해 책 택배도

(4)'독서실' 분위기는 옛말, 한번 가서 쉬고 즐겨 보세요

 

이들 기사 가운데 눈에 띄는 대목 몇 군데를 옮겨놓는다.

 

---------------------------------------------------------------

지난해 전국 600여 도서관이 새로 산 책은 580여만 권이다. 한 도서관에 평균 약 9000권인데 지역별로 살펴보면 편차가 심하다. 가장 많은 책을 산 지자체는 경기도로, 한 도서관에 평균 1만7000여 권이다. 이를 신간으로만 가정하면 연간 국내에서 출간되는 4만여 종의 단행본 중 25%쯤을 구비한 셈이다. 반면 지난해 산 책이 평균 5000권 안팎에 그친 지자체도 일곱 곳이다. 도서관이 사는 책은 소비재가 아니라 자본재로 보아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도서관이 산 1만원짜리 책 한 권을 10명의 이용자가 본다면 이것만으로도 10만원의 효과를 거두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

도서관에 놀러 가는 것이 도서관의 오랜 역사에서 새로운 일은 아니다. 고대 로마인들은 공중목욕탕에 도서관을 만들었다. 이들에게 공중목욕탕은 사교와 휴식을 다양하게 즐기는 복합시설이었다. 독서 역시 그런 휴식의 방법 중 하나였다. 현대인이라고 이렇게 못 하란 법은 없다. 설령 쉴 생각이 없이 시험 공부를 위해 도서관을 찾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잠시 눈을 들어 서가의 책들에 시선을 주는 여유를 발휘한다면, 생각지도 못했던 책과 가까워질 수도 있는 곳이 도서관이다.

-----------------------------------------------------------------


2009년 10월 1일 목요일

'교육산업'에 대한 몇 가지 통계적 지표

   *그림출처: ko.wikipedia.org

 

민중언론-참세상 교육희망에서 한국의 '교육산업'을 해부하는 글을 연재하기 시작했다. 첫번째 글은 김일영 새사연 정치사회연구센터장의 글인 한국교육산업의 현주소. 이 글은 교육을 '산업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교육산업'이라는 개념은 아주 낯선 것이지만, 과연 교육이 산업적으로 어떤 상태에 있는가를 고찰하는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것이다. 사교육이라고 부르지 말고 '학원산업'이라고 부르자는 주장이 있고 나도 이런 주장에 동의한다. 학원산업을 핵으로 하는 교육산업의 '팩트'는 어떤 것인가. 이 글에 드러나 있는 내용 몇 가지를 간추려본다.  

 

(1)GDP 대비 공교육비를 비교한 2005년 OECD 교육지표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아이슬란드에 이어 세계 3위, 우리나라의 사교육비가 GDP 대비 2%이므로 이를 합산하면 9.4%나 되는 데, 이것은 이스라엘의 8.5%를 능가하는 수치. 다시 말해 한국은 세계 최고의 교육비를 지출하는 국가이다.

(3)통계청의 총교육비 통계에 따르면 공교육에 지출하는 사부담교육비와 사교육에 지출하는 사부담교육비를 합산한, 총사부담교육비는 43조 2827억 원으로 전체의 (교육비)의 56.6%.

(4)2005년 현재, OECD 국가의 공교육비 중 정부부담률 지표에서 한국은 59.7%를 기록하여 최하위. 고등교육의 한국 정부부담률은 25%에 불과하다.(이러한 수치는, 교육과 보건 등에서 신자유주의 논리에 충실하다는 미국이나 일본보다는 낮은 것으로, 교육의 공공적 성격은 재원 부담에서부터 부정당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5)5년마다 시행되는 서비스 총조사에서 교육서비스업의 고용 규모는 2005년 현재 156만 8000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6.9퍼센트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공업, 도소매, 음식숙박업을 이어 4위로, 취업인구의 13.2명당 1명꼴로 교육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최근 4년간 취업자 증가량이 102만 명에 불과한데, 교육부문은 23만 9000명이나 증가해 새로운 일자리의 4개 중 하나는 교육부문에서 창출되었다. 그런데 156만 명에 달하는 교육산업 종사자 가운데 공교육종사자 43만여 명을 제외한 100만 명 이상이 비영리기관이나 사설기관에 종사하고 있다. 이렇게 사적분야에 종사자가 많은 것은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밖에 없다.  

(5)전국 1인 이상 가구 기준의 월평균 교육비 지출은 21만 8천원으로 소비지출의 11%, 도시근로자 가구를 기준으로 할 경우는 25만 6400원, 도시근로자 4인 가구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는 42만3300원에 이른다. 먹고 이동하는 데 쓰는 식료품비, 교통·통신비 다음으로 높은 지출을 보이고 있다. 그 중의 대부분은 흔히 말하는 사교육비로 지출한다.

(6)교육비는 한 가구당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뿐 아니라 소득에 따라 그 격차도 심해서, 하위 1분위(10분위 중)는 가계소비의 단지 1.9퍼센트만 지출한 데 비해 상위 8~10분위 계층은 12퍼센트를 넘고 있다. 국회 예산정책처에서 수행한 가계의 소비구조에 대한 연구(전승훈, 신영임 ; 2009)에 따르면, 한국사회에서 소비항목 중 소득불평등이나 소비불평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이 '교육'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