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후 민족주의자들은 민중을 민족의 주체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각계각
층에서 사회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사회주의운동이 대두되면서 민중의 역할은 어느 때
보다도 중요시되었다.
그러나 1920년대의 모든 운동들이 한결같이 당면하게 되는 한계성은 민중이 너무 무지몽
매하다는 점이었다. 민중의 거의 대부분이 문맹상태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어떤 운동
도 이들이 주체가 되는 어떤 운동도 추진력의 한계를 들어낼 수밖에 없었다. 모두가 문맹
의 무지몽매한 상태에서는 그 어떤 사회운동도 민족운동도 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더욱이 민족실력양성을 주장하면서도 문맹 상태의 민중의 실력양성이란 기대할 수
가 없었다. 그리하여 민족실력 양성 운동이나 노동운동이나 농민운동이나 여성운동 형평운
동·청년운동 또는 사회주의운동 할 것 없이 선결과제는 즉 무지몽매한 민중을 자각케 하고
의식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문맹을 타파하여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 것이었다.*
따라서 1920년대에는 문맹 타파운동이 모든 민족주의 운동·사회 주의운동의 기반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이 문맹상태였기 때문에 그러한 문맹타파운
동으로서도 역부족이었다. 그러면 일제시대 우리민족의 문맹률은 과연 어느정도였는지
왜 문맹상태가 계속되었는지 또는 문맹률의 변화는 어느 정도 있었는지를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문맹률 문제는 일제하에서의 모든 민족운동·사회운동의 성과
여부와 깊은 관련성을 갖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일제시대의 문맹률을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일제하에
서 우리민족은 단순히 한글만을 사용한 것도 아니고 사용할 수도 없었다. 전통적으로 사
용된 한문이 그대로 계승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국어라고 일컬어졌던 일본어가 공식용
어였으므로 일상생활은 이 세 가지 문자와 두 가지 언어가 모두 필수적이었다.
또한 문맹률의 정확한 통계 자료가 부족한 것이다. 실제로 문맹률의 조사통계작성은
용이한 일이 아니였거니와 일제가 구태여 문맹률을 조사할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다만
1930년도 국세조사에서 문맹률은 세밀하게 전국규모의 조사를 공식적으로 행하여 공포
하였기 때문에 이것이 가장 대표적인 문맹률 조사자료가 될 것이다. 그 밖에 자료들은
단편적이며 세밀한 내용이 없는 것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도 어느 정도 문맹률을
추출할 수 있는 내용은 될 것이다.
이제 1930년도 국세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각종 자료들을 분석하여 일제하 문맹률의
추이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
1930년 조선총독부에서 전국에 일제히 실시한 국세조사에서 읽고 쓰기 정도의 인구를
조사한 바 있는데 이때 조사항목을 〈일본어 및 한글의 읽고 쓰기 할 수 있는 사람〉,
〈일 본어 읽고 쓰기 할 수 있는 사람〉, 〈한글 읽고 쓰기 할 수 있는 사람〉, 〈일본
어 및 한글 읽고 쓰지 못하는 사람〉 등 4개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朝鮮總督府, 《朝鮮國勢調査報告》(1930年度).
-----------------------------------
李沂는 〈일부벽파론〉에서 전국민교육을 주장한 바 있고7) 박은식도 전국민교육과 평
민 교육을 위한 의무교육의 실시를 주장한 바 있다.8)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현실적으로
실현가능성이 희박하였던 것이고 정부에서도 1895년 근대교육제도를 실시함에 있어 일
본의 교육제도를 모방하여 의무교육제를 도입하였으나 유명무실하게 되어 전연 실시되
지 못하였다.9) 당초 갑오개혁이 진행되면서 1895년 처음으로 소학교령이 발포되었으나
당시 일본의 소학교령을 모방한 것으로 일본의 의무교육정신도 채용하였으나 형식에 불
과한 것이었다.10)
7) 李沂, 〈一斧劈破論〉(《海鶴遺書》).
8) 박은식, 〈홍학설〉( 《박은식 전서》 中,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pp.409∼410.
9) 大野謙一, 《朝鮮敎育問題管見》(1936) p.393.
10) 統監府, 《韓國施政年報》(1906, 1907년도, 1908년 12월 발행 ) p.355.
--------------------------------------
1906년 1월부터 통감부에 의한 통치가 시작되면서 일제의 침략적 교육정책이 실시되
었다. 통감부시대 교육정책의 기본방침은 문맹정책과 동시에 사립학교의 통제에 있었다.
즉 한국인에 대한 우민화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초등교육의 수업연한을 6년에서 4년으로
단축하였다. 그리고 고등교육을 억제하였다. 또한 동화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관공립 보
통학교를 확장하여 한국인을 식민지인으로 창출하는 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일본
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교과를 통해 친일교육을 강화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민족을 말살하
고 일본인화하려는 정책이었던 것이다.11)
11) 孫仁銖, 《韓國近代敎育史》(1971) pp.47∼55.
--------------------------------------
일제시대 식민지교육정책의 실무를 담당했던 大野는, 조선교육의 진수는 식민지통치와
근저를 이루는 것으로 조선통치의 기본인 내선융합 공존공영의 성과는 식민지교육의 결
실에 달려 있다고 하였다.
------------------------------------
보라 조선인 1천 7백 만명 중에 자기의 성명을 능히 기하는 자가 얼마나 있으며 독하고
서하고 수할줄을 지하는 자가 얼마나 되며 더욱이 사물의 리를 정당히 이해하는 자가 얼마
나 되며 보통상식을 구비하여 일개 시민의 자격을 완유하는 자가 기하이나 되는 고. 1천 7백
만의 반수가 부녀라고 하면 8백 50만이 곧 그것이라. 그중에서 서신 한장은 고사하고 언문 1
자를 능통 하는 자가 기하인고. 백인에 1 인이라 하면 혹 과장이 아닐가 하며 기타 반수인
남자중에서라도 대부분을 점령하는 농민의 지식을 논지할 것 같으면 신문 한장은 고사하고
일상 의사소통에 필요한 서신한장을 능수하는 자가 역시 백인에 1인이면 다행이라 하겠도다.
연즉 대체로 논지하면 조선의 일반민중은 대부분이 문자에 맹목이라 할 수 있나니
-〈동아일보〉 1922년 1월 5일자 사설
-------------------------------
일제는 국세조사를 1925·1930·1935·1940년 등 4회 실시하였는데 1930년도에만 전국적
인 문맹률을 조사하여 발표하였다. 이 문맹률 조사는 조선총독부가 공식적으로 전국에
걸쳐 실시하여 발표한 것으로서 가장 확실하고 전국적 통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
이 〈朝鮮國勢調査報告〉의 12항에서 ‘읽고 쓰기 정도별 인구(府面)’와 13항에서 ‘읽고
쓰기 정도 및 연령 (15구분)별 인구’를 면단위까지 발표하고 연령층별을 15 개 구분하여
발표하였다. 그리고 조사내용을 보면 일본어 및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자, 일본어만을
읽고 쓸 수 있는 자, 한글만을 읽고 쓸 수 있는 자, 일본어 및 한글을 읽을 수도 쓸 수
도 없는 자 등 4 개항으로 하여 조사하였다.35
〈표 23〉1930년도 문자 읽고 쓰기 정도 통계표와 문맹률(한국인)
일본어 및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자 6.78%
일본어만을 읽고 쓸
수 있는 자 0.04%
한글만을 읽고 쓸 수 있는
자 15.44%
일본어 및 한글을 읽을 수도
쓸 수도 없는 자(문맹자) 77.73%
---------------------------------------------------
1930년도의 문맹률은 77.73%인데 남자 63.92%, 여자 92.04%이다. 77.73%라면 거의
80%에 이르는 것으로 1920년대 말에 대체로 80% 정도가 문맹이라는 단편적이며 비공식
적 자료가 거의 정확성을 갖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농촌지역과 민중층 그리고 여성들의 문맹률인 것이
다. 전국 평균치가 약 78%인데 도시지역을 제외하면 농촌지역은 더욱 높아진다. 더욱이
당시의 도시인구보다는 농민이 80% 이상 90% 가까이 이르렀던 것으로 보면 1920년대에
농민이 거의 문맹이고 우리나라 문맹률이 90%에 이른다는 말도 적합한 표현일 것이다.
또한 부유층·중산층을 제외한 민중층은 90% 이상 문맹이었음도 확실해진다.
〈표 23〉에 있는 것과 같이 한국인으로서 일본어만을 읽고 쓸 수 있는 자는 0.03%이
니 큰 비중이 아니고 한글만을 읽고 쓸 수 있는 자가 15.44%인데 이들을 반문맹으로 규
정하여 본다면 완전히 문맹을 벗어난 사람은 6.78%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93%가 완전문맹·반문맹으로 문맹상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는 98.1%가 완전문맹·반문맹이니 중산층 이하 여성은 모두 문맹이었
다고 보아야 마땅할 것이다.
http://db.history.go.kr/download.do?levelId=kn_051_0040&fileName=kn_051_0040.pdf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