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4월 30일 토요일

김유승 교수, 거버먼트2.0과 정보공개

2011년 4월 29일 오마이뉴스 구태우 기자의 보도, 왜 주요정보는 정부와 VIP들만 독점할까요?  김유승 교수는 "국민의 세금에 의해 생산된 정보들은 국민이 접근, 이용할 권리를 갖고 있다"며 "미국에서는 세금이 1센트라도 들어간 정보에 대해서는 저작권이 없다"고 말했다.
기존의 정부는 항상 동전을 넣고, 뭔가를 시켜야지 줍니다. 정보공개청구는 마치 자판기에 동전을 넣는 것과 같습니다. 자판기가 돈을 먹을 때도 있는 것처럼, 정보공개청구도 비공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버먼트 2.0에서는 정부가 커피와 설탕, 프림(정보)을 주고, 시민들이 직접 타마실 수 있도록 합니다.

거버먼트 2.0은 정보의 공개보다 정보의 공유에 가깝습니다. 기술이 발달했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 고급 정보는 돈과 권력이 있는 사람들만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거버먼트 2.0이 추구하는 가치는 참여, 개방, 소통, 민주주의입니다.

김해기적의도서관과 함께하는 이와사키 치히로전

김해기적의도서관과 함께하는 이와사키 치히로전 김해시는 일본 치히로미술관,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 책읽는사회문화재단과 함께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에서 오는 1일부터 6월 12일까지 43일간 어린이 미술축제 "김해기적의도서관과 함께하는 이와사키 치히로전"을 개최한다.

이번 축제는 전국에서 11번째로 건립되는 어린이전용도서관인 김해기적의도서관 준공을 기념하여 도서관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창가의 토토"의 삽화로 잘 알려진 이와사키 치히로의 작품과 일본 그림책의 역사 관련 전시물이 소개된다.

이와사키 치히로(1918~1974)는 평생동안 어린이를 주제로 그림을 그렸으며, 그녀가 그린 투명하고도 맑은 색채에 둘러싸인 어린이들은 생명의 소중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세계 모든 어린이들의 평화와 행복을 바라는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이러한 이와사키 치히로의 업적을 기념하고자 이와사키 치히로 기념사업단이 발족되었으며, 생전 치히로가 소망하던 "세계 어린이들의 평화"라는 뜻을 이어받아 동경 치히로미술관과 아즈미노 치히로미술관을 운영을 비롯하여 국내외(북미, 중국, 베트남, 한국) 전시회 개최, 그림책 및 그 역사에 관한 조사․연구, 그림책 관련 단체와의 국제교류 등 다양한 활동에 힘쓰고 있으며, 이번 미술축제도 그런 맥락으로 추진되어 입장료는 무료이다.

이와사키 치히로 미술 작품은 제1전시실에서 전시되며, 다양한 표정의 어린이와 부드러운 색감이 돋보이는 꽃이 그려진 작품 90여점과 일본 그림책의 발자취 관련 전시물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제2전시실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국 기적의도서관 10개관의 사진, 모형과 스케치를 전시하고, 기적의 도서관 활동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그리고 김해기적의도서관의 설계의도, 건립과정, 건물의 구조 등 김해기적의 도서관 전반에 대해 소개하는 홍보하는 장을 마련한다. 또한 전시장내 기적의도서관 체험공간에는 "2011 김해의 책" 선정도서 "고릴라는 핸드폰을 미워해"와 어린이도서 "얼음소년"을 비롯하여 다양한 동화책 열람 코너와 동화속 모형이 전시된 포토존이 마련되어 있어 가족과 함께 소중하고 행복한 시간을 담은 추억 사진을 남길 수 있다.

이 외에도 5월 1일(일) 오후 2시 김해문화의전당 영상미디어센터에서는 "그림책의 매력"이라는 주제로 일본 아즈미노 치히로미술관 유코 다케사코 부관장의 초청강연회를 실시하고, 오후 5시에는 "이와사키 치히로 작품, 일본 그림책의 역사"라는 주제로 갤러리 토크도 진행된다. 세계적인 그림책 거장의 전시회를 통해 그림책의 예술성을 느끼고 그림책을 흥미롭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더 없이 행복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뉴스와이어, 출처: 김해시

독서 권장제도가 되레 청소년 독서 망치고 있다

조선일보 2011년 4월 30일자 김연주 기자의 보도, 독서 권장제도가 되레 청소년 독서 망치고 있다

올초 초·중·고에 도입한 독서이력제, 점수 따기로 변질
"특목고·大入에 유리" 학생들은 제대로 읽지 않고 부모·학원 강사들이'독서 이력'에 입력하기도

우리나라 학생의 독서문화가 입시용으로 변질돼 무너지고 있다.

초등학교 1학년과 4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김미정(가명·경기도)씨는 얼마 전 다른 학부모로부터 '독서 이력 과외를 하자'는 제안을 받았다. 과외 교사가 일주일에 한 번씩 책 10권을 강의하고 정부가 운영하는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사이트(reading.go.kr)에 들어가 대신 입력까지 해주는 데 한 달에 50만원이라고 했다. 김씨는 비용이 비싸 포기했지만, 다른 학부모 4명은 과외를 시작했다.

김씨가 과외까지 생각한 것은 독서 이력을 관리하는 일이 보통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김씨와 아이들은 요즘 매일 밤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해 그날 읽은 책을 기록으로 남긴다. 책 이름, 줄거리, 느낀 점을 쓰고 독서 퀴즈까지 풀다 보면 1시간이 훌쩍 지난다.



아이가 진짜 읽은 책을 기록할 때도 있지만, 김씨가 인터넷에 권장도서에 대한 줄거리 등을 미리 찾아 아이에게 브리핑해 주고, 그것을 아이가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 시험이나 학원 스케줄 때문에 아이가 너무 바쁠 땐 김씨가 아이 대신 사이트에 들어가 입력하기도 한다. 학생이 대충 훑어 보거나 아예 읽지도 않은 책이 마치 다 읽은 책으로 입력돼 독서를 많이 한 것으로 인정받는 것이다. 초등학교 1학년 딸이 "그냥 책을 읽고 싶을 때 읽으면 되지 왜 이렇게 해야 하는 거냐"고 짜증을 내기도 하지만 김씨는 "나중에 좋은 고등학교·대학교에 가려면 기록이 있어야 한다"고 설득한다.

'독서이력제' 때문에 사교육을 받는 학생도 늘고 있다.


지난 26일 서울 강남구의 한 논술학원에서 중학생들이 독서 관련 강의를 듣고 있다. 이 학원은 초등학생들의 독서 이력도 관리해준다. /오종찬 기자 ojc1979@chosun.com

독서이력제는 정부가 올해부터 전국 초·중·고생들에게 읽은 책을 온라인에 기록하도록 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정부는 학생들이 초·중·고 12년간 읽은 책에 대한 기록을 차곡차곡 모아 '독서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이를 진로 교육을 할 때 활용하거나 대입 입학사정관 전형에 제출할 수 있게 하겠다며 이 제도를 도입했다. 지난 26일 서울 대치동 A논술학원에선 중학생을 대상으로 '그리스 로마 신화' 책에 대한 강의가 한창이었다. 강사는 그리스 로마 신화 중 '판도라의 상자'에 대한 줄거리와 주제를 요약한 프린트를 나눠주고, 의미를 설명했다. 이 학원은 보통 권장 도서를 한 달에 1~2권씩 선정하고, 책에 대해 강의를 한 뒤 각종 독서 이력 사이트에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A학원을 포함, 기자가 직접 서울 시내 15개 논술·독서 학원에 찾아가거나 전화해본 결과 모두 "독서 이력을 관리해 준다"고 했다. A학원 원장은 "정부는 독서 이력을 남기도록 요구하고, 국제중이나 특목고, 대학에 진학할 때 독서 이력이 활용되면서 문의해 오는 연령층이 초등학교 저학년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대치동의 한 독서토론 학원은 올 초부터 일정량의 책을 뗀 학생들에게 '증서'도 발급해준다. 공공기관이 공인하는 증서가 아닌데도 지금까지 100명 가까이 발급해갔다. 학원 관계자는 "국제중에 입학할 때 제출하겠다며 발급해간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했다.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2학년 자녀를 둔 김주희씨는 "독서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이것이 입시와 연결돼 있으니까 문제"라며 "공교육에서는 독서이력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주지 않고 학부모와 학생 개인에게 맡겨 놓으니 사교육에 의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 비판] 입시 기록용 독서는 흥미·즐거움 빼앗고 인성 발달도 막아

독서 교육 전문가들과 학부모들은 독서이력제가 독서의 교육적인 기능을 훼손한다고 비판한다. 생각을 깊게 하고 인성을 기르는 진정한 의미의 독서는 사라지고, 오직 기록으로 남기기 위한 수단으로 독서가 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5일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한국어린이문학협의회, 한국작가회의, 한국출판인회의,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등 20여개 독서 관련 시민단체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폐지하라"는 성명을 내기도 냈다.

독서이력제가 오히려 독서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린다는 지적도 있다.

대구교대 국어교육과 윤준채 교수는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해 독서 관련 데이터를 남기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즐기면서 독서를 하는 것을 막는다"고 말했다.

외국에서도 이런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옥현진 연구위원은 "미국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을 개별 수준에 맞춰 지도하기 위해 읽은 책 목록을 파악하는 경우는 있지만, 정부 차원에서 독서 기록을 입력하게 해 관리하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허병두 숭문고 교사(책으로 따뜻한 세상 만드는 교사들 대표)는 "대학 입시와 연결된 기록 중심의 독서 활동은 독서의 즐거움을 빼앗고, 결국 전인적인 발달을 막는 아주 위험한 것"이라며 "독서이력제를 없애고 학생들이 하나의 문화로서 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7차 기적의도서관 전국협의회, 울산 북구에서 개최

부울경뉴스 2011년 4월 29일자, 제7차 기적의도서관 전국협의회, 울산 북구에서 개최



제7차 기적의도서관 전국협의회, 울산 북구에서 개최

전국 기적의도서관의 운영방향과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서로 교류하고 어린이 독서문화를 장려하기 위한 제7차 기적의도서관 전국협의회가 울산 북구 기적의도서관에서 열렸다. 28일부터 29일까지 1박 2일간의 일정으로 열리는 이번 협의회에는 전국 기적의도서관 관장 및 사서, 책읽는사회문화재단 관계자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의회는 △기적의도서관 2011년도 현황 및 사업계획 발표 △‘책읽는 사회’ 10주년과 기적의도서관 성과 발표 △도서관 문화운동에 대한 특별강연 △2011년 공동안건에 대한 협의 등으로 진행됐으며, 29일에는 화암주상절리와 현대자동차, 울산대공원 등 울산의 명소를 둘러보는 시간도 가질 계획이다. 

한편 지난 2005년 창립된 기적의도서관 전국협의회는 전국 각지의 기적의 도서관 11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년 1회 정례회를 도서관 개관 순으로 순회 개최하고 있다.

부울경뉴스 편집부

2011년 4월 26일 화요일

‘시각장애 1급’ 출판인 이건범씨--"보이지 않는다고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스포츠칸 2011년 4월 25일  강석봉 기자의 보도, ‘시각장애 1급’ 출판인 이건범씨

세상의 채찍을 두려워하지 않는 낙관주의자의 도전에 미리 선을 그어놓고 금단의 구역을 설정해 놓을 수 있는 사람은 없어보인다. 이씨를 통해 세상을 보는 창은 시력이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혜안이라는 사실을 느낄 수 있었다.

근로소득자의 소득격차

2011년 4월 26일자 조선일보의 보도, 억대 연봉 20여만명… 하위 20%는 평균 1480만원. "25일 국세청에 따르면, 2009년 소득 상위 20%인 근로 소득자의 평균 연봉은 7680만원으로 하위 20%(1480만원)보다 6200만원이 높았다. 이 소득 격차는 2005년의 5490만원보다 710만원 더 늘어난 것이다."라고 보도.

그런데 국세청은 2011년 4월 25일 대변인을 통해  "상위 20% 소득자 1인당 평균소득이 하위 20% 소득자 1인당 평균소득의 45배로 ’99년 19배보다 크게 증가했다는 내용은  - 붙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위 20%와 하위 20%의 1인당 소득금액 격차가 늘어난 것은 1999년과 2006년도 간에 대부분 늘어난 것이며(1999년 19배 → 2006년 44.3배),   -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거의 동일한 수준(2006년 44.3배 → 2009년 45.4배)을 보이고 있어 최근 3~4년간에 소득격차가 심화된 것은 아니므로 보도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라고 말하면서 다음과 같은 자료를 첨부했다.

붙임 : <종합소득 신고자 1인당 소득금액>
명, 만원
구 분
신 고
인 원
신고자 전체
1인당소득금액
상위 20%
1인당소득금액
하위 20%
1인당소득금액
상위20%
/하위20%
’99귀속
1,342,153
1,839
5,829
306
19.0배
’00귀속
1,616,244
1,990
6,358
300
21.2배
’01귀속
1,782,369
2,043
6,796
283
24.0배
’02귀속
2,010,363
2,097
7,048
262
26.9배
’03귀속
2,114,527
2,139
7,313
239
30.5배
’04귀속
2,235,905
2,200
7,652
217
35.3배
’05귀속
2,279,497
2,373
8,340
218
38.3배
’06귀속
2,736,478
2,375
8,473
191
44.3배
’07귀속
3,074,419
2,509
9,056
200
45.2배
’08귀속
3,584,432
2,374
8,621
176
49.1배
’09귀속
3,570,816
2,527
9,020
199
45.4배


본질은 상위20%와 하위20%의 소득격차가 더욱 더 벌어지고 있다는 것, 하지만 국세청은 그것인 현임 정부가 들어선 이후의 일은 아니다라고 말하고 싶은 것이다. 아이고...

물 좀 주소


물 좀 주소
물 좀 주소
목마르요 물 좀 주소
물은 사랑이요
나의 목을 간질며 놀리면서
밖에 보내네

아! 가겠소
난 가겠소
저 언덕 위로 넘어 가겠소
여행 도중에 처녀 만나본다면
난 살겠소 같이 살겠소

물 좀 주소
물 좀 주소
목 마르요 물 좀 주소
그 비만 온다면 나는 다시 일어나리
아! 그러나 비는 안 오네

"Stop killing the future"

Protesters want change now

Anti-nuclear marches have been taking place across Germany and Europe on the eve of the 25th anniversary of the Chernobyl disaster. With past and present catastrophes on their minds, marchers want an end to atomic power.


학생 독서활동도 입시화 논란

내일신문, 2011년 4월 25일 김성배 기자의 보도, 학생 독서활동도 입시화 논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통해 독서 등급
일선 교사 "독서가 입시에 악용될 것" 반발


학생들의 독서 경력을 등급화해 입시에 활용하는 제도가 도입돼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학생들이 선정도서를 읽을 경우 교사가 이를 평가해 등급으로 매겨 대입 입학사정관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지난해 도입했다. 하지만 독서 관련 단체들은 이 시스템이 학생들의 독서 의욕을 오히려 감퇴시키고 입시에 악용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교사들도 교육현장에서 독서교육이 혼선을 빚고 있다며 비판하고 있다.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신영호 간사는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은 교육청과 학교에서 선정한 도서를 읽고 등록하면 교사가 등급을 주는 것으로 학생들이 읽고 싶은 책이 아니더라도 점수 때문에 읽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결국 학생들의 자유로운 독서활동에 방해가 되는 시스템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은 교과부가 이미 시행중인 '에듀팟'(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센터)과 기능이 유사해 중복 도입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에듀팟은 학생들의 체험활동이나 학부모와 경험한 활동 결과를 제출하면, 교사들이 이를 평가해 종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체험 활동에는 학생들의 독서 활동도 포함하고 있다. 결국 교사들은 학생 독서 지도보다 평가에 휘둘려 독서교육에 혼선을 빚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학교도서관담당교사모임 이덕주 사무국장은 "학생들이 책을 읽고 독서지원시스템에 스스로 등록하는데 있어 실제 책을 읽었는지 학부모나 과외선생이 썼는지에 대해 일선 교사들이 평가를 할 수는 없다"며 "교사가 학생들의 자유로운 독서활동을 평가하고 점수화해 관리하는 것은 문제"라고 밝혔다. 또 이 국장은 "학생생활기록부에 독서활동에 대한 의견을 이미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과 에듀팟의 독서활동 평가는 폐지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독서관련 단체들의 모임인 바람직한독서문화를위한시민연대(시민연대)도 23일 토론회를 열고 정부의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에 대해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시민연대는 "이미 학교 현장에서는 에듀팟 운영, 그리고 기존의 NEIS 시스템 개편 등이 맞물려 엄청난 혼선과 업무 과중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런 가운데 정부가 또 중복 도입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은 학생들의 책에 대한 관심이나 독서활동, 독서능력 신장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밣혔다.

독서단체들은 특히 학생들의 독서 이력이 대학 입시에 활용되면서 독서 관련 사교육만 조장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논란이 가중되자 정부는 학생 독서 평가 제도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교과부 관계자는 "독서 등의 특화활동을 평가하는 제도가 중복돼서 혼선을 빚고 있다는 일선 교사들과 단체들의 의견을 모아 올해 상반기 내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개선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학생 발달사항에 독서 부분을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며 "하지만 독서 이력을 사교육 업체에서 관리해 주는 등 악영향이 드러나 입학사정관에 제공하는 독서 평가를 별도로 작성하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시민단체 "독서이력 시스템 폐지해야"

연합뉴스 2011년 4월 24일 김태균 기자의 보도, 시민단체 "독서이력 시스템 폐지해야"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시민단체 연합체인 '바람직한 독서문화를 위한 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는 학생들의 독서 이력을 관리하는 전산망인 '독서교육 종합 지원 시스템'을 폐지해야 한다고 24일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이 시스템이 네이스(교육행정정보시스템) 개편 등과 맞물려 학교 현장에서 혼란을 일으키는데다, 독서 이력 컨설팅을 하는 사교육 업체에 악용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 단체는 이어 "올해 초 정부가 이 제도를 정착시키고자 시ㆍ도 교육청에 연수까지 했지만 실제 시스템을 쓰는 곳은 16개 시ㆍ도 교육청 중 7곳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독서교육 종합 지원 시스템은 학생의 독서활동 기록을 전산망을 통해 교사가 평가ㆍ인증해 대입 입학사정관제에 쓸 수 있게 한 제도로, 지난해 도입됐다.

tae@yna.co.kr

시민단체 "독서이력 시스템 폐지해야" 촉구

휴먼타임즈, 2011년 4월 25일자 보도, 시민단체 "독서이력 시스템 폐지해야"촉구

시민단체 "독서이력 시스템 폐지해야"

시민단체 연합체인 '바람직한 독서문화를 위한 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는 학생들의 독서 이력을 관리하는 전산망인 '독서교육 종합 지원 시스템'을 폐지해야 한다고 24일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이 시스템이 네이스(교육행정정보시스템) 개편 등과 맞물려 학교 현장에서 혼란을 일으키는데다, 독서 이력 컨설팅을 하는 사교육 업체에 악용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 단체는 이어 "올해 초 정부가 이 제도를 정착시키고자 시ㆍ도 교육청에 연수까지 했지만 실제 시스템을 쓰는 곳은 16개 시ㆍ도 교육청 중 7곳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독서교육 종합 지원 시스템은 학생의 독서활동 기록을 전산망을 통해 교사가 평가ㆍ인증해 대입 입학사정관제에 쓸 수 있게 한 제도로, 지난해 도입됐다.

2011년 4월 24일 일요일

질보다 양? ‘독서인증제’ 겉돈다

동아일보 2011년 4월 19일자 봉아름 기자의 보도, 질보다 양? ‘독서인증제’ 겉돈다

대입 입학사정관전형에 독서 중요해져
일부 고교 과열·편법운영으로 ‘독서인증’ 취지 무색

그래픽 이고운 leegoun@donga.com

《독서교육 강화를 목표로 일부 고교에서 시행 중인 ‘독서인증제’가 당초 취지와 달리 허울만 남은 제도로 전락하고 있다. 인터넷에 떠도는 독후감을 짜깁기해 독후감을 제출하는 것은 물론, 학원이나 논술강사가 건넨 도서 요약본만 읽고 책을 모두 읽은 것처럼 인증을 받기도 하는 것. 이런 편법들은 단순히 책을 몇 권 읽었는지, 독후감을 몇 편 제출했는지에 따라 인증급수를 부여하는 독서인증제 시스템의 제도적 맹점을 악용하는 사례다.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진로와 관련된 도서를 얼마나 읽었는지, 지원자에게 영향을 미친 책은 무엇인지를 평가하는 등 대입에서 독서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편법을 써 독서인증을 받으려는 움직임은 암암리에 확산되고 있다. 이른바 ‘양 치기’(질이 아닌 양으로만 해결하는 행위)로 독서인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독서인증제의 가장 큰 맹점이다. 책을 많이 읽을수록 높은 급수를 받을 수 있으므로 적잖은 고교생이 책을 읽지도 않은 채 인터넷에서 베낀 독후감을 제출한다. 학교가 직접 나서 독서인증제를 실시하고 독서활동을 관리하기도 하지만, 적잖은 학생들은 “공부할 시간도 빠듯한데 정직하게 독서활동을 해서 인증을 받기란 쉽지 않다”고 푸념한다.》

○ 독후감 제공·대행 사이트에서 돈 주고 거래


올해 경기지역의 한 고교를 졸업하고 서울 주요 대학에 입학사정관전형으로 합격한 박모 군(18). 그는 “책을 한 권도 제대로 읽지 않았지만 학생부에는 독서인증 1급 기록이 남았다”고 털어놨다.

박 군의 학교에선 권장도서 250권 중 20권 이상 책을 읽으면 독서인증 3급, 35권 이상은 2급, 50권 이상이면 1급을 부여했다. 자연계열이었고 고2 때부터 입학사정관 전형을 준비했던 박 군은 권장도서 중 과학 관련 독후감을 전략적으로 준비하기로 마음먹었다.

관심 있는 도서 50권 목록을 작성한 뒤 독후감을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와 독후감 대행사이트를 이용했다. 독후감 제공사이트는 ‘부분보기’는 무료였고, 독후감 전체를 내려받을 때는 한 건에 1000∼2000원을 지불했다. 박 군은 이렇게 내려받은 독후감에만 기대기엔 불안했다. 일부 ‘인기 독후감’의 경우 조회수가 많게는 1만 건을 넘는 경우도 있어 자신과 똑같은 독후감을 다른 학생이 제출할 가능성도 없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박 군은 ‘학생수준에 맞춰서 100% 새롭게 써준다’고 주장하는 한 독후감 대행사이트에 맡기기도 했다. 독후감 분량에 따라 편당 1000∼3000원을 지불했다. 박 군은 “이런 식으로 ‘히포크라테스 선서’, ‘과학콘서트’,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실험 10가지’와 같은 과학 독후감을 작성해 제출했고 같은 내용을 서너 줄로 요약해 대학 자기소개서의 독서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작성했다”고 말했다.

학원강사가 감상문 대필하기도
한 고교의 ‘독서인증제’ 시행계획. 읽은 책을 독서기록장에 정리하고 온라인상에 독후감을 기록하도록 되어있다.


경기도의 한 고교는 1학년 때 26권, 2학년 26권, 3학년 13권을 읽어야 학생부에 독서인증기록을 남길 수 있다. 이 학교 2학년 김모 군(17)은 1학년 때 독서논술학원의 도움을 받아 3년 동안 읽어야할 60여 권의 독후활동을 모두 완성했다. 한 학년에 읽어야 할 권장 권수를 초과해서 읽으면 상위 학년이 되어 그만큼의 권수를 감하고 읽어도 된다는 점을 악용한 것. 고교 3년 간 이뤄져야 할 독후활동을 단 1년 만에 ‘벼락치기’로 완성한 셈이다.

김 군은 왜 이런 일을 도모했을까? 내신 2.5∼4등급인 김 군. 원하는 대학에 가려면 최소 전 과목 내신 성적을 2등급 이내로 끌어올려야 했다. 광범위한 독서보단 교과서와 문제집이 중요했다. 정규수업과 보충, 야간자율학습이 끝나면 오후 10시. 자정이 넘어서까지 공부를 하고나면 독서는 우선순위에서 밀렸다.

학원은 자체 보유한 도서요약본을 △인문 △사회과학 △교양서적으로 구분해 속속들이 제공했고, 학원 강사는 김 군이 1차로 쓴 감상문을 수정·보완한 뒤 김 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 인터넷 창의적 체험활동 시스템에 김 군의 이름으로 독후감을 올렸다.

김 군은 “담임선생님이 ‘독서인증을 받아놓으면 수시 지원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셨다”면서 “특수교육학을 전공하고 싶은데 독서인증을 받은 것이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마음이 급해졌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의 한 고교 국어교사 이모 씨는 “남자 고교생들의 경우 제출한 감상문에서 ‘낭만적’ ‘아름다운’과 같은, 평소 구사하기 쉽지 않은 어휘가 자연스레 발견되는 경우는 학력수준이 높은 학부모나 전문 강사가 대필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인증과정이 형식적으로 이뤄진다는 점은 독서인증제의 큰 한계. 많은 학교가 한 학기에 한 번 독서활동기록 작성용지를 나눠준 뒤 읽은 책 목록과 감상평을 채워 오도록 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올해 대구의 한 고교를 졸업한 최모 군(18)은 “한 학기에 10권 목록을 채워야 했는데 하루 만에 해결했다”면서 “전날 인터넷을 검색해 서너 권을 정리하고 학교에 와서 친구들이 정리한 감상평을 단어와 문장만 바꾼 뒤 조합해서 제출하는 경우가 허다했다”고 전했다.

학교가 나서 편법 동원하기도

절대적 기준 없이 학교마다 나름의 기준에 따라 학생들의 독서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도 독서인증제의 시스템적 허점이다. 이를 이용해 일부 고교에선 전교생에게 특정 도서에 대한 독서인증을 일괄적으로 부여하는 과열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단체로 같은 책을 읽도록 한 뒤 해당 도서에 관한 객관식 시험을 치러 일정 점수를 넘으면 독서인증사실을 학생부에 기록하는 것.

한 외국어고에선 매달 독서퀴즈를 실시한다. 전공학과별로 매달 한 권 추천도서를 지정하고 전교생이 15∼20문항의 객관식 퀴즈를 푼다. 일정 점수를 넘은 학생은 학생부에 독서인증이 기록된다. 이 학교 2학년 정모 양(17)은 “독서퀴즈 전날 야간자율학습시간엔 학생들이 2∼3시간 동안 교과서 암기하듯 밑줄을 치면서 추천도서 속 키워드를 외운다”면서 “학생부에는 퀴즈를 본 책 제목과 함께 3줄 안팎으로 요약된 도서 감상평이 기록됐는데 이 감상평은 국어선생님이 일괄적으로 작성한 내용”이라고 말했다.

최근 서울시교육청의 감사에서는 고3 수십 명의 학생부에 빈칸으로 남아있던 ‘독서활동영역’ 난에 비슷한 내용의 독서기록을 뒤늦게 추가 입력한 한 자율형사립고가 적발되기도 했다.

서울의 한 사립대 입학사정관은 “독서인증제가 독서를 통한 학생의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자는 당초 취지와 달리 도서명과 권수 채워 넣기로 일부 변질되고 있다는 점을 상위권 대학 대부분이 파악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대입에서 수험생이나 학부모가 생각하는 것만큼 독서내역이 비중 있게 평가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독서인증제에 대한 대학들의 신뢰가 떨어질 경우 오랜 시간을 들여 진정성 있고 체계적으로 독서를 관리해온 적잖은 학생들이 선의의 피해를 입는 2차 피해도 예상된다.

봉아름 기자 erin@donga.com

2011년 4월 23일 토요일

“독서이력 인증하는 시스템, 사교육을 위한 정책, 즉각 폐지해야”


독서이력 인증 시스템, 즉각 폐지되어야 합니다

1.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은 즉각 폐지되어야 합니다.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은 독서교육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독서이력 인증 시스템’일 뿐입니다. 책과 독서와 도서관과 관련한 시민연대단체인 바람직한독서문화를위한시민연대는 교과부의 ‘독서교육지원종합시스템’이 담고 있는 반교육적․반민주적․반인권적 독서교육을 당장 철회하고, 학생들의 진정한 독서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획기적인 방안과 학교도서관이 학교의 중심이 되도록 하는 새로운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야 함을 주장합니다.

1. 교육과학기술부는 ‘독서이력 인증 시스템’(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과 관련한 혼선과 부작용, 방침 부재의 상황에 대해 국민들에게 즉각 해명해야 합니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들도 이 시스템이 전혀 실효성이 없음을 인정하고 있음에도 이 시스템을 계속 구축해나가는 이유는 무엇인지 해명해야 합니다. 독서 사교육 업체들이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부추기면서 마치 새로운 먹잇감이 나타난 것처럼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 이을 방치·묵인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해명해야 합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현재까지 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예산이 투여되었는지, 그 경과와 진척이 어떠한지, 그리고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 국민 앞에 소상하게 밝혀야 합니다. 교육과학기술부 정책담당자는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장단기 운영방안이 아직 완료되지 않아서 “현재로서는 확정된 교육과학기술부의 공식입장을 말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도대체 어떤 단계가 되면 우리 국민들이 교육과학기술부의 공식입장을 듣게 될 것인지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밝혀야 합니다. 또한 전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수립․시행하면서 제대로 된 토론회 및 공청회 한 번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해오다, 시민단체가 마련하는 자리에는 질타의 목소리가 두려워 참여조차 하지 않는 사유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해명해야 합니다.

1. 바람직한독서문화를위한시민연대는 각 시·도 교육감에게 ‘독서이력 인증 시스템’(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더 이상 구동시키지 말 것을 요구합니다. 이 시스템의 구축과 구동을 위해 책정된 예산이 있다면, 그 예산으로 각급 학교의 독서환경을 개선하는 데 투여하거나 교사들의 독서교육을 위한 연수 등의 예산으로 활용할 것을 요구합니다.

1. 바람직한독서문화를위한시민연대는 이 시스템에 의한 독서이력이 절대로 전형 자료로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합니다. 당초 교육과학기술부는 2011년 대입 때부터 입학사정관제와 연계하여 대입 전형에 반영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2011년 4월 23일 현재 실제적으로 이 시스템을 구동하고 있는 곳은 16개 시·도 가운데 7곳(경남, 부산, 충북, 제주, 인천, 충남, 강원)뿐입니다. 이런 편차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각 교육청의 여건이 다르기 때문인데, 이미 출발부터 편차가 나는 시스템, 그리고 각종 사교육 업체들이 대리 입력이 가능한 시스템을 가지고 어떻게 입학 전형 자료로 사용할 수 있겠습니까. 교육과학기술부는 하루라도 빨리 독서이력제를 실시하지 않겠다고 밝혀야 하며, 독서이력을 입학 전형 자료로 이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혀야 합니다.

1. 바람직한독서문화를위한시민연대는 전국의 교사들께 ‘독서이력 인증 시스템’(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과 관련된 업무를 중단해주기를 호소합니다.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은 학생들의 독서교육을 위한 시스템이 아닙니다. 이 시스템은 학생들의 책에 대한 관심이나 독서활동, 독서능력 신장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교사들께서 잘 알고 계시듯,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과정 개편,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센터’인 에듀팟 운영과 기존의 NEIS 시스템 개편과 맞물려 엄청난 혼선과 업무 과중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실효성도 없는 일에 굳이 시간과 노력을 기울일 사회적 이유가 없습니다.

1. 바람직한독서문화를위한시민연대는 전국의 학부모들께 막연한 불안감을 조성하는 독서논술 사교육 업체에 휘둘리지 말고 가정과 사회의 독서문화 환경을 바꾸어나가는 일에 동참해 줄 것을 호소합니다.


2011년 4월 23일
바람직한독서문화를위한시민연대

겨레아동문학연구회, 대전마을어린이도서관협의회, 더나은세상을꿈꾸는어린이책작가모임, 문화연대, (사)어린이도서연구회, 어린이책시민연대, 전국교과모임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사)전국국어교사모임, 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모임, (사)참교육실천을위한전국학부모회, 책으로따뜻한세상만드는교사들,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학교도서관문화운동네트워크,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한국어린이문학협의회, 한국작가회의, 한국출판인회의,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폐지하라”

세계일보 2011년 4월 22일자 조정진 기자의 보도.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폐지하라”

책과 독서, 도서관과 관련된 시민연대단체인 ‘바람직한독서문화를위한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 대표 안찬수)는 23일 대한출판문화회관에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폐지를 촉구하는 토론회 및 기자회견’을 연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영미(어린이책시민연대 대표)가 주제발표, 백화현(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모임 자문위원·봉원중 교사)·여을환(어린이도서연구회 사무총장)·송승훈(전국국어교사모임·광동교 교사)·김경숙(학교도서관문화운동네트워크 사무국장)·변춘희(어린이책시민연대 전 대표) 등이 토론한다.

시민연대에 따르면, 이날 토론회에는 교과부의 정책담당자(창의인성교육과 김정한 사무관)가 발제를 할 예정이었으나, 토론회를 앞두고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의 장단기 운영방안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을 이유로 갑자기 불참의사를 밝혔다. 교과부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확정된 교과부 공식 입장을 말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민연대는 “전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수립·시행하면서 제대로 된 토론회나 공청회 한 번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해오다, 시민단체가 마련하는 자리에는 질타의 목소리가 두려워 참여조차 하지 않는 것은 정부가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비판하고 있다.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http://www.reading.go.kr/)은 지난해부터 교육과학기술부가 학생들의 독서이력을 기록·관리하겠다는 온라인 시스템이다. 당초 교과부는 2011년 대입 때부터 입학사정관제와 연계하여 대입 전형에 반영하겠다고 발표하고, 올 초에 각 시·도 교육청 단위로 전달연수까지 실시했으나 실제적으로 이 시스템을 구동하고 있는 곳은 16개 시도 가운데 7곳(경남, 부산, 충북, 제주, 인천, 충남, 강원)뿐이다. 하지만 그마저도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과정 개편,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센터’인 에듀팟 운영과 기존의 NEIS 시스템 개편과 맞물려 엄청난 혼선과 업무 과중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그 사이 각종 사교육 업체들이 대학입학 전형에 독서이력이 이용되니 ‘차별화된 독서이력관리법’을 가르쳐준다면서 이를 관리해야 한다고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부추기고 있어 창의인성을 기르기 위한 것이라는 ‘시스템’이 오히려 사교육 업체의 배만 부르게 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시민연대는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이 즐겁게 읽어야 할 책을 입시를 위한 학습의 도구로 만듦으로써 결국에는 아이들이 책과 멀어지게 만드는 시스템이라고 주장하며,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시행을 당장 철회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은 학생들의 독서환경을 더욱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투자해야 하며 학교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같은 일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 단체는 전국의 학부모들께도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 독서논술 사교육 업체에 휘둘리지 말고 가정과 사회의 독서문화 환경을 바꾸어나가는 일에 동참해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바람직한독서문화시민연대’ 참여단체는 겨레아동문학연구회, 더나은세상을꿈꾸는어린이책작가모임, 문화연대, (사)어린이도서연구회, 어린이책시민연대, 작은실천에서시작하는어린이책진보모임, 전국교과모임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사)전국국어교사모임, 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모임, (사)참교육학부모회, 책으로따뜻한세상만드는교사들,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학교도서관문화운동네트워크,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한국어린이문학협의회, 한국작가회의, 한국출판인회의,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등이다.

조정진 기자 jjj@segye.com

2011년 4월 21일 목요일

새뮤얼 볼스Samuel Bowles의 경제학

한겨레신문 2011년 4월 21일자 기사 “이기심보다 정의가 큰 역할…주류 경제학 틀렸다”
‘경제학 혁신’ 학술회에 온 볼스 교수

세계 자본주의 경제 체제가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줬던 2007년 미국발 금융위기는, 코앞에 닥친 위기조차 알아채지 못했던 경제학에 보낸 엄중한 경고장이기도 했다. 그래서 요즘 경제학계에선 ‘혁신’이 화두다.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에게 쏟아졌던 관심처럼, ‘효용가치’를 그 무엇보다 우선시하는 주류 경제학의 입장과 다른 비주류(heterodox) 경제학이 새롭게 조명받는 것은 이런 경제학계의 혁신 움직임 중 하나로 풀이할 수 있다.
 
미국 샌타페이연구소 새뮤얼 볼스(72·사진) 교수는 경제학이라는 분과 학문의 틀에서 벗어나 교육과 민주주의, 진화 등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며 대안적·실천적 경제 이론을 만들려고 노력하는 세계적 석학으로 꼽힌다. 제자인 최정규 경북대 교수와 함께 인간의 이타적 본성에 대한 논문을 저명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싣기도 했다. 지난 14일 한국사회경제학회가 대구에서 ‘글로벌 경제위기와 경제학의 혁신’이란 주제로 연 국제학술회의에 참석한 볼스 교수를 만났다. 새로운 경제학은 어떠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그는 자신이 깊게 천착해 온 주제인 ‘인간 본성’에 대한 연구를 소개했다.
 
볼스는 주류 경제학을 움직이게 한 동력인 ‘인간은 이기적’이라는 전제 자체가 틀렸다고 말한다. “모든 개인이 이기적이라고 주장한 것은 경제학자 집단이 유일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 경제학계에서 펼쳐진 여러 실험을 통해 그런 신화는 깨졌다.” 이를테면 탁자 위에 놓인 돈을 사람들이 어떻게 나눠 갖나 살펴보는 실험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자발적으로 공평하게 돈을 나눴다. 기존 경제학이 설정했던 ‘인간은 이기적으로 행동한다’는 가설이 뒤집혀진 것이다. 그 뒤 다른 실험들에서도 이런 결과는 일관되게 나타났고, 결국 인간은 ‘호혜적 이타성’을 지닌 존재라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한다. 볼스는 “경제학 지식이 인간 사회의 상식에 마침내 자리를 내준 것”이라고 말했다.
 
생물학은 마지막 장벽이었다. 다윈주의에 입각한 자연선택이론은 이기적 개체가 경쟁에서 살아남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화생물학 영역의 연구들이 이 역시 뒤집었다고 한다. 인간은 집단중심적 동물이어서, 집단을 위해 협동하는 이타적 개인이 많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자연선택에 성공해왔다는 이론이 설득력 있게 제시된 것이다. 볼스는 “경쟁이 진보를 가져오는 게 아니라 협동이 진보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현대 생물학은 경제학에 교훈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내놓은 그의 새 책 <협동적 종>은 이에 대한 그의 연구를 담고 있다고 한다.
 
볼스는 “이타적·협동적인 인간 본성에 대한 새로운 연구는, 경제학과 공공정책에 아주 강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말한다. 그동안 경제학의 영역이 아니라고 치부해버렸던 ‘공정과 정의’가 새로운 경제학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주장이다. ‘경제적 인간’의 관점에서 경제를 분석하고 공공정책을 제시했던 경제학자들은 금전적 수단을 통해 인간 행동을 움직이려 했기 때문에 실패했다는 지적이기도 하다.
 
그는 이스라엘의 미취학 어린이 보육시설에 대한 실험을 사례로 들었다. 아이를 찾으러 오는 부모들이 자주 지각하는 것이 골치였는데, 한 경제학자가 보육시설의 절반은 지각에 벌금을 물리도록 하고 나머지는 그냥 놔두는 실험을 하자고 제안했다. ‘금전적 불이익이 지각을 줄일 것’이란 예상과 달리 결과는 정반대였다. 벌금제를 실시하지 않은 시설들에서는 지각 비율이 전과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벌금제를 실시한 시설들에서는 지각 비율이 곱절로 늘어난 것이다. 벌금제가 ‘지각을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가져다줘 오히려 사람들의 자발적인 의지를 감소시켰던 것이다.
 
볼스는 “인간 본성의 새로운 발견은 내가 한평생 천착해왔던 민주주의·평등주의 정책들이 정치적으로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는 근거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인간은 이기적 인간이란 관점이 아니라 공정과 정의를 추구하는 인간 본성에 기댄 공공정책이 펼쳐질 때, 시간은 오래 걸리겠지만 뿌리 깊은 불평등과 모순이 점차 해소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세계 경제체제 붕괴 등의 비관적 전망들이 가득한데 그 홀로 너무 낙관적인 것은 아닐까? 노학자는 망설임 없이 바로 대답했다. “1920년대 대공황이 일어난 뒤에 복지국가가 나왔다는 점을 기억하라. 문제는 정치적 리더십이다. 금융개혁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경제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불공정·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치적 리더십이 필요하다.”
대구/글·사진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 ‘경제학 혁신’ 학술대회는
‘비주류 경제학 대안’ 초점…미·영 등 학자 80여명 참여
한국사회경제학회가 연 이번 국제학술대회에는 80여명의 학자들이 몰려, 경제학의 혁신과 대안에 대한 커다란 관심을 반영했다. 새뮤얼 볼스를 비롯해 피터 스콧 미국 매사추세츠대 교수, 사이먼 모훈 영국 런던대 교수, 파스칼 프티 프랑스 파리13대학 교수, 신장섭 싱가포르국립대 교수 등 8개국에서 13명의 유명 국외 학자들이 참여하기도 했다. 학술대회의 내용은 금융위기에 대한 진단과 분석, 이에 따라 경제학, 특히 비주류 경제학이 어떤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까에 초점이 맞춰졌다. 최원형 기자

참고1:

MACHIAVELLI'S MISTAKE: WHY GOOD LAWS ARE NO SUBSTITUTE FOR GOOD CITIZENS


Samuel Bowles is referenced in the Shiller Article from this morning. We found a summary of his lectures given at Yale as well as the paper referenced. (Emphasis is mine.)
* * * * *

Precis of Bowles lecture series entitled "Machiavelli's Mistake" I. Moral Sentiments and Material Interests (Tuesday 19th January)
The classical thinkers from Aristotle to Aquinas, Rousseau, and Burke recognized the cultivation of civic virtue not only as the test of good governance, but also as its essential foundation. Machiavelli and Hobbes broke with this Aristotelian tradition. Readers of Machiavelli's Discourses learned that “all men are wicked ... hunger makes them industrious, laws make them good.” Adam Smith's invisible hand provided a decentralized model for how this constitutional alchemy might be accomplished. Good institutions thus came to displace good citizens as the sine qua non of good government. Prices would do the work of morals.
This classical economists approach – now the canonical model of policy-making in economics-- now does not ignore moral behavior, but instead assumes it to be unaffected by incentive-based policies designed to harness self-interest. Along with civic virtue, explicit incentives and constraints could thus contribute additively to good government. The classical writers did not worry that laws designed to induce “wicked” citizens to act as if they were good might induce even the good to act as if they were wicked.
They should have worried. Experimental and other evidence show that while most individuals are far from wicked, treating people as if they were often crowds out the common generous, ethical, and reciprocal behaviors upon which the functioning of modern liberal democratic societies depend.
II. Is liberalism a parasite on tradition? (Thursday 21st January)
The parasitic liberalism thesis holds that markets and other institutions endorsed by liberals depend on family-based, religious and other traditional social norms that are endangered by these very institutions. Liberal society thus fails Rawls’ test of “stability:” it does not “generate its own supportive moral attitudes.” Experimental evidence presented in Lecture I, provides support for the idea. I represent the thesis in a model of the dynamics of institutional and cultural change, indica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cultural dynamic of liberal society leads to economic dysfunction, instability and eventually collapse. I then provide surprising cross-cultural evidence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model. Liberal societies are distinctive in their civic cultures, exhibiting levels of generosity, fairmindedness, and civic involvement that distinguish them from non-liberal societies. The parasitic liberalism thesis fails not because it misunderstands the cultural consequences of markets, but rather because it overrates the benign contribution of tradition to the moral underpinnings of liberal institutions, and underrates the contribution of the liberal state and other non-market aspects of the liberal social order to the flourishing of these civic virtues.
III. Machiavelli 's Mistake: Do good fences make good (enough) neighbors? (Monday 25th January)
Two empirical puzzles show that some incentives work almost exactly as conventional economic theory predicts while others backfire. Under what conditions, then, can prices do the work of morals (as Bentham, Smith and others proposed)? Unraveling these puzzles and answering this question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causal mechanisms by which material incentives crowd out moral motives. Experimental and other evidence suggests that explicit incentives and social motivations may be less than additive due to individual desires for autonomy, self esteem and fairness, which may be compromised by incentives. The material incentives favored by economists can also crowd out institutions that provide at least second best governance of social dilemmas.
How should a sophisticated hypothetical social engineer – that is, one who is aware of the motivational and institutional crowding out problem – design policies and institutions? Three results are demonstrated. First the optimal use of incentives may be either greater or less in the presence of motivational crowding out compared to a case where it is absent. Second, cultural market failures are pervasive, and result in overuse of markets even under ideal conditions for (Coasean) bargaining in the design of property rights and other institutions. Finally, a new second best theorem is proposed: the better definition of property rights and other policies considered by economists to improve incentives may degrade economic performance when they crowd out ethical motivations and alternative governance institutions. A closing coda reflects on the value of a more intimate engagement between the political theory and philosophy of good governance on the one hand and the sciences of human cognition and behavior on the other.

* * * * *

And Finanally here is a copy of Bowles paper entitled "MACHIAVELLI'S MISTAKE: WHY GOOD LAWS ARE NO SUBSTITUTE FOR GOOD CITIZENS" Political philosophers from Aristotle to Thomas Aquinas, Jean-Jacques Rousseau, and Edmund Burke recognized the cultivation of civic virtue not only as the test of good government, but also as its essential foundation. “Lawgivers make the citizen good by inculcating habits in them,” Aristotle had written in the Ethics. “It is in this that a good constitution differs from a bad one.”(Aristotle, (1962):103) Early in the sixteenth century, Nicolò Machiavelli gave rather different advice: “Anyone who would order the laws of a republic must assume that all men are wicked (rei) ... it is said that hunger and poverty make them industrious, laws make them good.” (Machiavelli, (1984):69-70). The task of government for Machiavelli was to not to make citizens moral but rather to induce citizens motivated by what he termed the “natural and ordinary humors” to act as if they were good.    A century and a half later, Hobbes asked how the potentially destructive consequences of the autonomous pursuit of individual gain might be constrained by the authority of a sovereign ruler.
Full PDF

참고2:
A Cooperative Species: Human Reciprocity and Its Evolu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May 1, 2011.
Cover Page
Table of Contents
Chapter 1: A Cooperative Species
Chapter 12: Conclusion: Human Cooperation and Its Evolution
Microeconomics book description  
Understanding Capitalism: Competition, Command, and Change, Oxford University Press, 3rd revised edition, with Richard Edwards, Frank Roosevelt. (table of contents, sample figures from chapter 1)
Understanding CapitalismUnderstanding Capitalism book cover - ItalianUnderstanding Capitalism Korean Understanding Capitalism Chinese

Foundations of Human Sociality: Economic Experiments and Ethnographic Evidence from Fifteen Small-Scale Societies, co-edited with Joe Henrich, Robert Boyd, Colin Camerer, Ernst Fehr, Herbert Gint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table of contents)
Understanding Capitalism book description 
Foundations book coverFoundations book  description

Unequal Chances: Family Background and Economic Success, co-edited with Herbert Gintis and Melissa Osborn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table of contents)
Unequal Chances book cover

Poverty Traps, co-edited with Steven Durlauf and Karla Hoff.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table of contents)  
Unequal Chances book description 
Poverty Traps book coverPoverty Traps book description 

Inequality, Cooperation,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co-edited with Jean-Marie Baland and Pranab Bardha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table of contents)
Inequality book cover

Globalization and Egalitarian Redistribution, co-edited with Pranab Bardhan and Michael Wallerstei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table of contents)
Inequality book description 
Globalization book cover
Moral Sentiments book description

후쿠시미 원자로 건물 내의 동영상

原子炉建屋内部の映像 被害の実態は(제공 도쿄전력)

후쿠시마 첫번째 원전 1 ~ 3 호기의 원자로 건물 내의 모습을 로봇이 촬영한 영상이 공개되었다 한다. 2011년 4월 20일 처음 공개된 원자로 건물 내부의 영상. 우선 1 호기의 원자로 건물 1층 북쪽에 있는 이중 게이트 부근. 건물 입구 부근의 방사선량은 1시간당 약 50밀리시버트(mSv). 약 5시간에 작업자의 연간 피폭량에 도달할 정도의 높은 수치. 그리고 2호기, 1층 남쪽의 이중 도어. 카메라가 오른쪽으로 굵은 배관이나 분전반과 같은 것들이 보인다. 2호기는 최대 99%라는 매우 높은 습도가 측정되었다. 그 때문인지 화면이 희미하게 흐림,  선량계의 수치를 읽을 수 없다. 전문가가 주목한것은 바닥이 젖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화면. "압력억제실에서 폭발이 있었다. 그곳에서 물이 1 층으로 흘러왔을 가능성. 그렇기에 방사선량은 더 높은 값이 측정되는 것이다."(전 일본원자력학회 회장 齋藤伸三). 그리고 3월 14일 수소 폭발이 일어나 건물 외부가 대부분 날아가 버린 3호​​기. 건물 1층, 카메라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는데 사다리가 떨어져 쓰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폭발의 충격에 의한 것. 철판 같은 것들이 흩어져 있는 가운데, 로봇은 이동.  큰 장비를 넣기 위한 반입 창구가 열려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상을 웃도는 건물 내부의 파괴다. "수소 폭발이 일어난 것은 5층, 이 그림은 1 층(폭발 위치에서 떨어져 있지만) 예상보다 손상이 커서 앞으로의 작업은 상당히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2011년 4월 20 일 20:53)

김민기, 봉우리


사람들은 손을 들어 가리키지
높고 뾰족한 봉우리만을 골라서
내가 전에 올라가 보았던 작은 봉우리 얘기해 줄까?

봉우리...
지금은 그냥 아주 작은 동산일 뿐이지만
그래도 그때 난 그보다 더 큰
다른 산이 있다고는 생각지를 않았어
나한테는 그게 전부였거든...

혼자였지
난 내가 아는 제일 높은 봉우리를 향해
오르고 있었던 거야
너무 높이 올라온 것일까?
너무 멀리 떠나온 것일까?
얼마 남지는 않았는데...

잊어버려!
일단 무조건 올라 보는 거야
봉우리에 올라서서 손을 흔드는 거야 고함도 치면서
지금 힘든 것은 아무 것도 아냐
저 위 제일 높은 봉우리에서
늘어지게 한숨 잘 텐데 뭐...

허나 내가 오른 곳은 그저 고갯마루였을 뿐
길은 다시 다른 봉우리로
거기 부러진 나무 등걸에 걸터앉아서 나는 봤지
낮은 데로만 흘러 고인 바다
작은 배들이 연기 뿜으며 가고

이 봐 고갯마루에 먼저 오르더라도
뒤돌아서서 고함치거나
손을 흔들어 댈 필요는 없어
난 바람에 나부끼는 자네 옷자락을
이 아래에서도 똑똑히 알아 볼 수 있을 테니까 말야

또 그렇다고 괜히 허전해 하면서
주저앉아 땀이나 닦고 그러지는 마
땀이야 지나가는 바람이 식혀주겠지 뭐
혹시라도 어쩌다가 아픔 같은 것이 저며 올 때는
그럴 땐 바다를 생각해
바다...
봉우리란 그저 넘어가는 고갯마루일 뿐이라구...

하여, 친구여 우리가 오를 봉우리는
바로 지금 여긴지도 몰라
우리 땀 흘리며 가는 여기 숲속의 좁게 난 길
높은 곳엔 봉우리는 없는지도 몰라
그래 친구여 바로 여긴지도 몰라
우리가 오를 봉우리는......

2011년 4월 20일 수요일

Beatles: Let it be


When I find myself in times of trouble
Mother Mary comes to me
Speaking words of wisdom
Let it be.

And in my hours of darkness
She is standing bright in front of me
Speaking words of wisdom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Whisper words of wisdom
Let it be.

When the broken hearted people
Living in the world agree
There will be an answer.
Let it be.

Though they may be parted
There is still a chance that they will see
There will be an answer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There will be an answer.
Let it be.

When the night is cloudy
There is still a light that shines on me.
Shine until tomorrow
Let it be.

I wake up to the sound of music
Mother Mary comes to me
Speaking words of wisdom.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Whisper words of wisdom
Let it be.

2011년 4월 19일 화요일

'정보시대'의 다섯 가지 신화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11년 4월 17일자, 우리에게 <고양이 대학살>이라는 책으로 잘 알려진 로버트 단턴의 글, '정보시대'의 다섯 가지 신화(5 Myths About the 'Information Age') 초벌 번역.

이른바 정보시대의 본질에 대한 혼란 때문에 집단적으로 그릇된 인식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그것은 한 사람의 잘못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문제다. 왜냐면 사이버공간에 대해 입장을 정할 때 우리는 종종 잘못된 입장을 취하고 오해는 아주 빠르게 확산되어 그런 오해가 아무 문제가 없는 것처럼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속담처럼 익숙해진 어리석음의 예 다섯 가지.

1. 책은 죽었다. "The book is dead." 

틀렸다.
매년 이전 해보다 더 많은 책들이 출간되고 있다. 2011년에만 세계적으로 1백만 권의 신간이 출간될 것이다. 영국에서는 지난 해 10월 1일 수퍼 목요일 하루 동안에만 8백권의 신간이 출간되었다. 미국의 가장 최근의 수치는 단지 2009년의 것으로 신간이나 구간의 재출간본을 구별하지 않는 것인데, 그 총수는 288,355권, 이는 건강한 시장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2010과 2011년의 성장은 더 클 것이다. 더구나 보우커(Boker, 출판업자나 서점, 도서관 등에 서지정보를 제공하는 업체, 역주)가 제공한 이러한 수치에는 '비전통적인 방식의' 책 출간의 폭발적인 상황을 포함하지 않은 것이다.  1인 출판이나 틈새시장의맞춤 주문형 도서(POD) 기업은 764,448권을 펴낸 바 있다. 그리고 중국이나 브라질과 같은 개발 국가에서는 출판 비즈니스의 붐이 일어나고 있는 중이다. 책의 숫자는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중이지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더구나 죽은 것은 결코 아니다.

2. 우리는 정보시대에 진입했다."We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age." 

마치 다른 시대에는 정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흔히 엄숙한 목소리로 정보시대에 대해 말한다. 그러나 모든 시대는 그 나름의 방식으로 그리고 당대에 유용한 미디어에 따른, 하나의 정보시대였다.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아마도 구텐베르크 시절만큼이나 빠르게 변화고 있는 것일 터이다. 그러나 그런 변화가 미증유의 것이라고 추론하는 것은 오해다.

3. 이제 모든 정보는 온라인에서만 유용하다."All information is now available online."

기록물 보관소에서 자료조사를 해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 주장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 잘 알 것이다. 지금까지 사람들은 아주 작은 분량의 기록물만을 읽었을 뿐이고, 그 기록물 가운데 디지털로 변환된 것은 아주 소량의 것이다. 그것이 주의 것이든 연방정부의 것이든 대부분의 판결문이나 법령은 거의 웹에 뜨지 않는다. 공공기관이 생산해내는 방대한 양의 조례나 보고서는 그것에 영향을 받는 시민들이 거의 접근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여 있다. 구글은 이 지구상에 129,864,880권의 책이 존재한다고 예측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1천5백만 권을 디지털로 변환했다. 그것은 단지 12%에 불과한 것이다. 한 해에 1백만 권의 신간이 쏟아져 나오는 상태에서 이 차이를 어떻게 좁힐 수 있을까? 그리고 종이로 인쇄되지 않은 형태의 정보들을 어떻게 온라인에 올릴 수 있을 것인가? 1940년 이전에 만들어진 영상물의 절반이 소실되었다. 현재 웹 상에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각종 시청각 자료들 가운데 얼마 만큼이나 살아 남을까? 블로그나 전자우편, 소형 장치를 통해 교환되는 수백만 건의 메시지를 보존하려고 노력하고는 있지만 우리가 일상적으로 나누고 있는 정보들 대부분은 사라지고 있다. 종이에 인쇄된 단어들보다 디지털 텍스트는 훨씬 쉽게 퇴화된다. 인터넷 아카이브의 창안자인 브류스터 카알(Brewster Kahle)이 1997년에 계산한 바에 따르면 URL의 평균적인 수명은 44일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정보가 온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한번 제공되었던 대부분의 정보도 거의 사라졌다.

4. 도서관은 쓸모없는 것이다. "Libraries are obsolete."

전국의 도서관인들이 보고하기를 이용자들이 그리 많지 않다고 한다. 하버드 대학의 열람실은 가득차 있다. 뉴욕공공도서관의 85개 분관에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도서관은 책과 비디오와 그밖의 다양한 자료를 제공한다. 그러나 도서관은 또한 다른 기능들--예를 들어 스몰 비즈니스를 위한 정보접근, 어린이들을 위한 숙제 도우미 역할과 방과후 활동, 구직자들을 위한 취업 정보 제공(신문지상에서 구직 정보가 사라진 이후 실직자들에게 도서관 온라인 서비스는 결정적으로 중요해졌다)--을 충족시켜 주고 있다. 도서관인들은 아주 새로운 방법으로 그들의 이용자들의 요구에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그들이 이용자들에게 황무지와 같은 사이버공간에서 의미 있고 신뢰할 만한 디지털 자료로 찾아준다는 것이다. 도서관은 결코 서점이 아니었다. 도서관은 앞으로도 도서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마을공동체의 차원이나 대학 캠퍼스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정보를 소통할 때에도 그 중추로서 기능할 것이다.

5. 미래는 디지털이다. "The future is digital."

사실과 다르지 않지만 오해다. 10년, 20년, 50년 안에 정보환경은 디지털이 지배할 것이다. 그러나 전자 소통이 지배한다고 하더라도 종이로 인쇄된 자료의 중요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책의 역사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커뮤티케이션의 새로운 방식이 오래된 방식을 대체하지 않는다. 적어도 단기간에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실제로 구텐베르크 이후에도 필사본(매뉴스크립트)은 더욱 확산되었고 이후 3백년이나 지속되며 번창했다. 라디오가 신문을 없애지 못했으며 텔레비전이 라디오를 없애지 못했다. 그리고 인터넷이 텔레비전을 없애지 못했다. 각각의 경우 정보 환경은 더욱 풍성해졌고 더욱 복잡해졌던 것이다. 바로 이런 환경 변화가 지금 우리가 지배적인 디지털 생태환경으로 이행하는 중대한 국면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생략.)

I mention these misconceptions because I think they stand in the way of understanding shifts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They make the changes appear too dramatic. They present things ahistorically and in sharp contrasts—before and after, either/or, black and white. A more nuanced view would reject the common notion that old books and e-books occupy opposite and antagonistic extremes on a technological spectrum. Old books and e-books should be thought of as allies, not enemies. To illustrate this argument, I would like to make some brief observations about the book trade, reading, and writing.
Last year the sale of e-books (digitized texts designed for hand-held readers) doubled, accounting for 10 percent of sales in the trade-book market. This year they are expected to reach 15 or even 20 percent. But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sale of printed books has increased at the same time. The enthusiasm for e-books may have stimulated reading in general, and the market as a whole seems to be expanding. New book machines, which operate like ATM's, have reinforced this tendency. A customer enters a bookstore and orders a digitized text from a computer. The text is downloaded in the book machine, printed, and delivered as a paper­back within four minutes. This version of print-on-demand shows how the old-fashioned printed codex can gain new life with the adaption of electronic technology.
Many of us worry about a decline in deep, reflective, cover-to-cover reading. We deplore the shift to blogs, snippets, and tweets. In the case of research, we might concede that word searches have advantages, but we refuse to believe that they can lead to the kind of understanding that comes with the continuous study of an entire book. Is it true, however, that deep reading has declined, or even that it always prevailed? Studies by Kevin Sharpe, Lisa Jardine, and Anthony Grafton have proven that humanist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often read discontinuously, searching for passages that could be used in the cut and thrust of rhetorical battles at court, or for nuggets of wisdom that could be copied into commonplace books and consulted out of context.
In studies of culture among the common people, Richard Hoggart and Michel de Certeau have emphasized the positive aspect of reading intermittently and in small doses. Ordinary readers, as they understand them, appropriate books (including chapbooks and Harlequin romances) in their own ways, investing them with meaning that makes sense by their own lights. Far from being passive, such readers, according to de Certeau, act as "poachers," snatching significance from whatever comes to hand.
Writing looks as bad as reading to those who see nothing but decline in the advent of the Internet. As one lament puts it: Books used to be written for the general reader; now they are written by the general reader. The Internet certainly has stimulated self-publishing, but why should that be deplored? Many writers with important things to say had not been able to break into print, and anyone who finds little value in their work can ignore it.
The online version of the vanity press may contribute to the information overload, but professional publishers will provide relief from that problem by continuing to do what they always have done—selecting, editing, designing, and marketing the best works. They will have to adapt their skills to the Internet, but they are already doing so, and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 new possibilities offered by the new technology.
To use an an example from my own experience, I recently wrote a printed book with an electronic supplement, Poetry and the Police: Communication Networks in Eighteenth-Century Paris (Harvard University Press). It describes how street songs mobilized public opinion in a largely illiterate society. Every day, Parisians improvised new words to old tunes, and the songs flew through the air with such force that they precipi­tated a political crisis in 1749. But how did their melodies inflect their meaning? After locating the musical annotations of a dozen songs, I asked a cabaret artist, Hélène Delavault, to record them for the electronic supplement. The reader can therefore study the text of the songs in the book while listening to them online. The e-ingredient of an old-fashioned codex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a new dimension of the past by capturing its sounds.
One could cite other examples of how the new technology is reinforcing old modes of communication rather than undermining them. I don't mean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faced by authors, publishers, and readers, but I believe that some historically informed reflection could dispel the misconceptions that prevent us from making the most of "the information age"—if we must call it that.

Robert Darnton is a professor and university librarian at Harvard University. This essay is based on a talk he gave last month at the Council of Independent Colleges' Symposium on the Future of the Humanities, in Washing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