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2월 25일 수요일

왜 종이책 읽기와 손으로 쓰기가 뇌에 좋은가/ 2015년 2월 23일 가디언지, 톰 채필드



Why reading and writing on paper can be better for your brain

Some tests show that reading from a hard copy allows better concentration, while taking longhand notes versus typing onto laptops increase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retention

My son is 18 months old, and I’ve been reading books with him since he was born. I say “reading”, but I really mean “looking at” – not to mention grasping, dropping, throwing, cuddling, chewing, and everything else a tiny human being likes to do. Over the last six months, though, he has begun not simply to look but also to recognise a few letters and numbers. He calls a capital Y a “yak” after a picture on the door of his room; a capital H is “hedgehog”; a capital K, “kangaroo”; and so on.

Reading, unlike speaking, is a young activity in evolutionary terms. Humans have been speaking in some form for hundreds of thousands of years; we are born with the ability to acquire speech etched into our neurones. The earliest writing, however, emerged only 6,000 years ago, and every act of reading remains a version of what my son is learning: identifying the special species of physical objects known as letters and words, using much the same neural circuits as we use to identify trees, cars, animals and telephone boxes.

It’s not only words and letters that we process as objects. Texts themselves, so far as our brains are concerned, are physical landscapes. So it shouldn’t be surprising that we respond differently to words printed on a page compared to words appearing on a screen; or that the key to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lies in the geography of words in the world.

For her new book, Words Onscreen: The Fate of Reading in a Digital World, linguistics professor Naomi Baron conducted a survey of reading preferences among over 300 university students across the US, Japan, Slovakia and Germany. When given a choice between media ranging from printouts to smartphones, laptops, e-readers and desktops, 92% of respondents replied that it was hard copy that best allowed them to concentrate.

This isn’t a result likely to surprise many editors, or anyone else who works closely with text. While writing this article, I gathered my thoughts through a version of the same principle: having collated my notes onscreen, I printed said notes, scribbled all over the resulting printout, argued with myself in the margins, placed exclamation marks next to key points, spread out the scrawled result – and from this landscape hewed a (hopefully) coherent argument.

What exactly was going on here? Age and habit played their part. But there is also a growing scientific recognition that many of a screen’s unrivalled assets – search, boundless and bottomless capacity, links and leaps and seamless navigation – are either unhelpful or downright destructive when it comes to certain kinds of reading and writing.

Across three experiments in 2013, researchers Pam Mueller and Daniel Oppenheimer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taking longhand notes versus typing onto laptops. Their conclusion: the relative slowness of writing by hand demands heavier “mental lifting”, forcing students to summarise rather than to quote verbatim – in turn tending to increase conceptual understanding, application and retention.

In other words, friction is good – at least so far as the remembering brain is concerned. Moreover, the textured variety of physical writing can itself be significant. In a 2012 study at Indiana University, psychologist Karin James tested five-year-old children who did not yet know how to read or write by asking them to reproduce a letter or shape in one of three ways: typed onto a computer, drawn onto a blank sheet, or traced over a dotted outline. When the children were drawing freehand, an MRI scan during the test showed activation across areas of the brain associated in adults with reading and writing. The other two methods showed no such activation.

Similar effects have been found in other tests, suggesting not only a close link between reading and writing, but that the experience of reading itself differs between letters learned through handwriting and letters learned through typing. Add to this the help that the physical geography of a printed page or the heft of a book can provide to memory, and you’ve got a conclusion neatly matching our embodied natures: the varied, demanding, motor-skill-activating physicality of objects tends to light up our brains brighter than the placeless, weightless scrolling of words on screens.

In many ways, this is an unfair result, effectively comparing print at its best to digital at its worst. Spreading my scrawled-upon printouts across a desk, I’m not just accessing data; I’m reviewing the idiosyncratic geography of something I created, carried and adorned. But I researched my piece online, I’m going to type it up onscreen, and my readers will enjoy an onscreen environment expressly designed to gift resonance: a geography, a context. Screens are at their worst when they ape and mourn paper. At their best, they’re something free to engage and activate our wondering minds in ways undreamt of a century ago.

Above all, it seems to me, we must abandon the notion that there is only one way of reading, or that technology and paper are engaged in some implacable war. We’re lucky enough to have both growing self-knowledge and an opportunity to make our options as fit for purpose as possible – as slippery and searchable or slow with friction as the occasion demands.

I can’t imagine teaching my son to read in a house without any physical books, pens or paper. But I can’t imagine denying him the limitless words and worlds a screen can bring to him either. I hope I can help him learn to make the most of both – and to type/copy/paste/sketch/scribble precisely as much as he needs to make each idea his own.

디지털 네이티브가 종이책을 더 선호하는 이유는?/ 워싱턴포스트 2015년 2월 22일, 마이클 로젠왈드


Why digital natives prefer reading in print. 
Yes, you read that right.

 February 22  
Frank Schembari loves books — printed books. He loves how they smell. He loves scribbling in the margins, underlining interesting sentences, folding a page corner to mark his place.
Schembari is not a retiree who sips tea at Politics and Prose or some other bookstore. He is 20, a junior at American University, and paging through a thick history of Israel between classes, he is evidence of a peculiar irony of the Internet age: Digital natives prefer reading in print.
“I like the feeling of it,” Schembari said, reading under natural light in a campus atrium, his smartphone next to him. “I like holding it. It’s not going off. It’s not making sounds.”
Textbook makers, bookstore owners and college student surveys all say millennials still strongly prefer print for pleasure and learning, a bias that surprises reading experts given the same group’s proclivity to consume most other content digitally. A University of Washington pilot study of digital textbooks found that a quarter of students still bought print versions of e-textbooks that they were given for free.
“These are people who aren’t supposed to remember what it’s like to even smell books,” said Naomi S. Baron, an American University linguist who studies digital communication. “It’s quite astounding.”
Earlier this month, Baron published Words Onscreen: The Fate of Reading in a Digital World,” a book (hardcover and electronic) that examines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s for print and explains the science of why dead-tree versions are often superior to digital. Readers tend to skim on screens, distraction is inevitable and comprehension suffers.
In years of surveys, Baron asked students what they liked least about reading in print. Her favorite response: “It takes me longer because I read more carefully.”
The preference for print over digital can be found at independent bookstores such as the Curious Iguana in downtown Frederick, Md., where owner Marlene England said millennials regularly tell her they prefer print because it’s “easier to follow stories.” Pew studies show the highest print readership rates are among those ages 18 to 29, and the same age group is still using public libraries in large numbers.
It can be seen in the struggle of college textbook makers to shift their businesses to more profitable e-versions. Don Kilburn, North American president for Pearson, the largest publisher in the world and the dominant player in education, said the move to digital “doesn’t look like a revolution right now. It looks like an evolution, and it’s lumpy at best.”
And it can be seen most prominently on college campuses, where students still lug backpacks stuffed with books, even as they increasingly take notes (or check Facebook) on laptops during class. At American, Cooper Nordquist, a junior studying political science, is even willing to schlep around Alexis de Tocqueville’s 900-plus-page “Democracy in America.”
“I can’t imagine reading Tocqueville or understanding him electronically,” Nordquist said in between classes while checking his e-mail. “That would just be awful.”
Without having read Baron’s book, he offered reasons for his print preference that squared with her findings.
The most important one to him is “building a physical map in my mind of where things are.” Researchers say readers remember the location of information simply by page and text layout — that, say, the key piece of dialogue was on that page early in the book with that one long paragraph and a smudge on the corner. Researchers think this plays a key role in comprehension.
But that is more difficult on screens, primarily because the time we devote to reading online is usually spent scanning and skimming, with few places (or little time) for mental markers. Baron cites research showing readers spend a little more than one minute on Web pages, and only 16 percent of people read word-by-word. That behavior can bleed into reading patterns when trying to tackle even lengthier texts on-screen.
“I don’t absorb as much,” one student told Baron. Another said, “It’s harder to keep your place online.”
Another significant problem, especially for college students, is distraction. The lives of millennials are increasingly lived on screens. In her surveys, Baron writes that she found “jaw-dropping” results to the question of whether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multitask in hard copy (1 percent) vs. reading on-screen (90 percent).
Earlier this month, while speaking to sophomores about digital behavior, Baron brought up the problem of paying close attention while studying on-screen.
“You just get so distracted,” one student said. “It’s like if I finish a paragraph, I’ll go on Tumblr, and then three hours later you’re still not done with reading.”
There are quirky, possibly lazy reasons many college students prefer print, too: They like renting textbooks that are already highlighted and have notes in the margins.
While Nordquist called this a crapshoot, Wallis Neff, a sophomore studying journalism, said she was delighted to get a psychology textbook last year that had been “run through the mill a few times.”
“It had a bunch of notes and things, explaining what this versus that was,” she said. “It was very useful.”
When do students say they prefer digital?
For science and math classes, whose electronic textbooks often include access to online portals that help walk them through study problems and monitor their learning. Textbook makers are pushing thes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to make screen learning more attractive.
They prefer them for classes in which locating information quickly is key — there is no control-F in a printed book to quickly find key words.
And they prefer them for cost — particularly when the price is free. The Book Industry Study Group recently found that about a quarter of 1,600 students polled either downloaded or knew someone who downloaded pirated textbooks. Students, it turns out, are not as noble in their reading habits when they need beer money. They become knowledge thieves.
But stealing texts probably is more a reflection on the spiraling cost of higher education — and the price of textbooks, up 82 percent from 2002 to 2012 — than some secret desire of students to read digitally. If price weren’t a factor, Baron’s research shows that students overwhelmingly prefer print. Other studies show similar results.
The problem, Baron writes, is that there has been “pedagogical reboot”where faculty and textbook makers are increasingly pushing their students to digital to help defray costs “with little thought for educational consequences.”
“We need to think more carefully about students’ mounting rejection of long-form reading,” Baron writes.
And that thinking shouldn’t be limited to millennials, Baron said. Around the country, school systems are buying millions of tablets and laptops for classroom use, promising easier textbook updates, lower costs, less back strain from heavy book bags, and more interactivity. But the potential downsides aren’t being considered, she said.
“What’s happening in American education today?” she said. “That’s what I’m concerned about. What’s happening to the American mind?”
When Baron started researching her book on reading, some of her colleagues responded with pity.
“Did I fail to understand that technology marches on?” she writes. “That cars supplanted horses and buggies? That printing replaced handwritten manuscripts, computers replaced typewriters and digital screens were replacing books? Hadn’t I read the statistics on how many eReaders and tablets were being sold? Didn’t I see all those people reading eBooks on their mobile devices? Was I simply unable to adapt?”
But after learning what millennials truly think about print, Baron concluded, “I was roundly vindicated.”
Michael Rosenwald is a reporter on the Post's local enterprise team. He writes about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business and culture.

2015년 2월 17일 화요일

한국 페이스북 소고(小考)/ 김곰치 소설가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217000034

문화칼럼] 한국 페이스북 소고(小考)

/김곰치 소설가
2015-02-16 [20:27:24] |

지지난해에 페이스북 글쓰기를 참 열심히 했다. 지난해는 쉬었다. 작년 말부터 다시 하고 있다. 내 경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페이스북(이하 페북) 말고 알지 못한다. 트위터는 계정도 없다. 페북으로 시작했고, 페북 하나로 충분했기 때문이다. 
 
외국의 페북은 어떤 분위긴지 알지 못한다. 국가 간 벽이 있지 않지만, 한국 페북, 미국 페북 등 독특한 분위기가 있지 않을까 한다. 해외 이민자들이 한국 페북에 와서 많이 활동한다. 인터넷 전반이 그러하듯 페북도 기본적으로 '읽기 쓰기'의 문자 세계이기 때문이다.
 
열심히 할 때는 '지난 반년, 장편소설 두어 권 쓴 것 같다' 싶은 뿌듯한 포만감마저 느꼈다. 부지런히 읽기도 했는데, 그러자 종이책과 종이신문이 더욱 멀어져 버렸다. 페북에 중독된 이들은 '책들이 우편봉투째로 쌓이고 있다'고 하소연하곤 했다. 
 
행복한 사람들의 놀이터가 페북
'좋아요' 세례로 사랑 나누기 하고 싶어
시간 놓고 페북과 종이책 경쟁
한국 페북이 시인 천국 되는 것 바라

 
사 놓고 보지 않은 책 아무거나 펼쳐 책상 앞에 정자세하고 밑줄 그으며 읽는다면, 그 어떤 페북 글을 읽는 것보다 더 영양가 있는 정신적 섭식 시간이 될 것이다. 뻔히 알면서 페북을 쉬 닫지 못한다. 그만큼 사람은 얽히고설킨 속의 자극을 애호하는 관계지향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책이야 옛날에 대충 볼 만큼 봤다, 하는 오만이 작동하는지도 모른다. "페북은 40~50대 중년들의 놀이터"라는 소리를 몇 번 들었다. 

스물 몇 살 때 나는 PC통신 문학동호회에 일 년 가까이 몰입했다. 서른 몇 살 때는 블로그를 가꾸느라 신경을 많이 썼다. 이제는 페북이다. '행복한 사람은 시계를 보지 않는다.' 은희경의 단편소설 제목이다. '행복한 사람은 블로그를 하지 않을 거야', 'PC통신도 하지 않았을 거야' 하고 자조하곤 했다. 그런데 페북은 그전의 것들과 달랐다. 행복한 사람이 잘한다. 이게 페북의 가장 놀라운 점이다.

안전한 글을 써 가지고는 진수를 맛보기 힘들다. 위험하고 아슬아슬하고 딴에는 최초라 할 만한 마이너한 표현들이 가득한 글을 페북 타임라인에 게시했을 때, 그리고 일정 시간 불안과 초조에 시달리다가 페북의 핵심 의사표시 기능인 '좋아요(Like)' 세례를 받으면, 큰절 올리고 싶은 감동을 경험한다. 그러다가 자연스러운 전환이 일어난다. 아, 나도 다른 사람한테 '좋아요'의 감동을 맛보게 하고 싶다! 받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이라 하는 사랑과 '좋아요'가 똑같다. 행복한 사람들이 사랑을 주려고 흡사 안달 난 곳이 페북이 아닐까 싶다. 

페북도 시간싸움이다. 여유 없이는 할 수 없다. 생각해 보면, 독서는 더하다. 페북보다 더 많은 시간이 쓰인다. 뉴스 소비가 SNS에서 가장 왕성하게 이뤄진다고 하니, 신문과 페북의 경쟁관계는 해소된 듯하다. 적절한 기사 링크는 페북 세계가 현실 감각을 잃지 않게 하는 고마운 포스팅이다. 그러나 종이책은 페북에 들어오기가 서평 형식의 글 말고는 어렵다. 시간을 놓고 페북과 종이책이 경쟁하는 형국이다. 그렇지만 '페북 재미에 빠져 사람들이 더욱 책을 안 읽는다'는 불평은 초점이 잘못된 것이다. 책을 읽을 시간은 없고 짤막짤막한 페북 글 읽을 짬은 낼 수 있는 형편들인 것이다. '저녁이 있는 삶'이 종이책과 인문학의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제만이 아니라 '읽을거리'를 찾아 헤매는 군상이 적지 않은 것이 한국 페북의 안타까운 특징이다. 

내가 지난해에 페북을 쉬었던 것은 '좋아요'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돌아가신 어머니를 잊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했다. 페북 세상의 어떤 '좋아요'에도 동의할 수 없었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후에도 많은 사람이 페북을 접었다고 한다. 덧붙여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페북에 서툰 한 선배에게 "페북은 가장 건전한 성욕의 도가니야"라고 한 적이 있었다. 이 이야기는 내 페북에 쓰도록 하겠다. 페북이 그 자체로 돈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 만큼 사람들의 호혜 관계가 순수하다. '좋아요'를 극도로 아끼는 이들이 있다. 자존심이 걸렸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아낀 '좋아요'는 아무 소용이 없다. 

간명한 글이 비교적 환영 받는다. 몇 개의 시어에서 벼락같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나의 바람은 한국 페북이 세계에서 유례없는 시인들의 천국이 되는 것이다. 가능할까. 사랑하는 내 페친들에게 안부 인사를 전한다.

“새마을 운동은 미국 안보전략 따른 것”/ 한겨레 이유진 기자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678697.html

등록 : 2015.02.16 19:26수정 : 2015.02.16 20:17
13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영원홀에서 열린 한국냉전학회 창립 국제학술대회 ‘한국의 냉전연구’

허은 고려대 교수 논문서 밝혀
동아시아 농촌 장악 중대 문제로
전략촌 ‘대공 새마을’ 전국 건설
최종결과는 지역민 상호감시 구축 

1970년대 한국의 새마을운동은 미국이 안보적 이해 속에서 진행한 동남아시아 농촌 개발 전략과 초국적인 영향을 주고받으며 진행되었다는 내용의 논문이 발표됐다.
13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영원홀에서 열린 한국냉전학회 창립 국제학술대회 ‘한국의 냉전연구’에서 허은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냉전과 지역사회’라는 논문을 통해 이렇게 밝혔다. 이 연구는 새마을 운동을 냉전사 속에 위치시켜 관련 연구의 새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논문을 종합하면, 한국의 새마을 건설계획은 말레이반도·필리핀·베트남에서 공산주의 세력의 영향력을 완전히 차단하려는 미국의 안보적 이해와 연관성 속에서 전개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뒤 공산주의 세력이 농촌 중심으로 게릴라전을 벌였고, 동아시아 농촌 장악은 전후 세계질서 재편의 중대한 사안이 되었기 때문이다.
1950년대 미국의 대외활동본부(FOA)와 국제협조처(ICA)는 동남아시아의 농촌개발 경험을 교류하도록 지원했다. 1958년 미국 국제협조처의 지원 아래 필리핀과 한국이 지역개발 참조를 위해 상호방문하고, 1962년 한국 군사시찰단이 남베트남의 전략촌 건설을 시찰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그러나 지역행정체계를 이미 갖추고 있었던 한국은 새로운 곳으로 주민들을 재정착시킨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달리 부락 자체를 ‘대공 새마을’로 전환했다. 1960년대 말부터 전국 안보취약지구에 ‘전략촌’을 건설하고 반공사상이 투철한 제대장병들에게 국유지를 배분하고 방어임무까지 맡기는 방식이었다. 논문의 ‘괴산군 대공 전략촌 설치운영실적’을 보면, 1969년 9개 부락에 머물렀던 전략촌이 1971년 58개 마을로 늘었다. 한국식 전략촌인 ‘대공 새마을’ 건설은 1970년대에 전국적으로 전개돼 물적지원, 반공계몽교육, 감시체계의 기반을 구축했다. 새마을지도자, 이·동장은 ‘개발의 핵’이자 ‘안보의 핵’이었다.
허 교수는 특히 공동체 내부의 치밀한 감시체계를 중요하게 거론했다. 관찰보호대상자 분류에는 데모주동자, 포로송환 및 납북 귀환자의 가족도 포함돼 있었고 요시찰 대상자로서 ‘정신병자’의 근황을 매우 상세히 파악, 보고했다. 허 교수는 “‘외부의 적’을 막는 감시체계뿐 아니라 국가의 통치체계나 규율에서 일탈할 여지가 있는 사회구성원들까지 잠재적인 적으로 간주하고 감시하는 지배체제를 작동시켰다”고 밝혔다. 박정희 정부가 안보를 위해 추진한 새마을 건설의 최종 결과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상호감시 체제의 구축이었다는 것이다. “민주주의를 배제한 채 국민을 감시의 대상으로 삼으며 국가권력을 위한 안보를 추구하는 것은 극단적 광기를 낳을 가능성이 높다”고 허 교수는 우려했다. 냉전시대 근대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다면 국가안보라는 명분으로 언제든 지역사회와 개인이 희생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한국냉전학회는 1989~90년 유럽 중심의 냉전체제가 해체된 뒤 관련 연구가 각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가운데, 한국의 특수한 상황과 세계사적 맥락을 아우른 연구의 필요성에 공감한 역사학자와 사회학자들이 중심이 돼 만들었으며, 이날 첫 학술회의를 열었다.
브루스 커밍스 미국 시카고대 석좌교수는 이날 ‘냉전에서 한반도의 중심성’이라는 제목의 기조발표를 통해 냉전시기 전체를 통틀어 미국의 대외정책에서 한국 전쟁의 경험이 가진 중심적 역할을 강조했다. 미국이 이북으로 진격하는 ‘롤백’ 정책이 실패하면서 그 뒤 미국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베트남 전쟁을 다룬 <학살, 그 이후>로 인류학계의 노벨상이라는 ‘기어츠상’을 받은 권헌익 영국 캠브리지대 교수는 ‘관계’를 중심으로 한 한국의 냉전 연구가 여전히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1930~40년대 사회인류학의 친족체제연구가 밝힌 ‘친족조직과 정치조직은 상호 규정한다’는 명제를 언급했다. “한반도 냉전의 문화사는 결코 ‘관계의 역사’를 피해갈 수 없으며 국가와 국가의 세력 다툼이 어떻게 형제, 부모자식, 친구 사이의 관계에 구현하게 되는지 톺아보는 것은 여전한 우리의 과제”라는 것이다.
홍석률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는 한국은 냉전의 제반 현상이 폭발적으로 드러나는 무대였고 한국의 분단사 연구가 이런 점에서 통찰을 제공하고 있기에 좀더 깊은 학술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동기 강릉원주대 사학과 교수는 냉전의 세계사적 연루와 지역적 맥락을 함께 고려하는 다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냉전학회는 이번 창립학술회의와 발기인 총회를 통해 1년에 두차례 정례 학술대회를 열고 매달 콜로키움 또는 워크샵을 진행하기로 했다. 학회 운영위원장은 정근식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가 맡기로 했다.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사진 한국냉전학회 제공

2015년 2월 16일 월요일

팟캐스트 '수도원 책방' 진행하는 황인수 신부, 김경희 수녀,


http://www.hani.co.kr/arti/society/religious/678557.html

등록 : 2015.02.15 20:08수정 : 2015.02.16 15:56

툴바메뉴

기사공유하기

(왼쪽부터) 김경희 수녀, 황인수 신부. 사진 이길우 선임기자

[짬] 팟캐스트 ‘수도원책방’ 진행하는
황인수 신부, 김경희 수녀

바오로는 기독교 역사상 최고의 전도자였다. 2만㎞에 이르는 선교 여행을 했고, 신약성서 27개의 문서 중 13편의 서신서를 남겼다. 당시에는 걸어서, 그리고 최첨단 미디어인 문서를 통해 선교하는 것이 최선이었을 것이다. 황인수(이냐시오·47·오른쪽) 신부와 김경희(젬마·46·왼쪽) 수녀가 마이크 앞에 나란히 앉은 이유는 그런 바오로의 길을 따르기 위함이다. “만약 바오로 사도가 지금 살아있다면 아주 열정적이고 인기있는 방송인이었을 겁니다.”
조근조근, 그리고 차분하고 청량한 목소리로 호흡을 맞춘 수사와 수녀는 선교만을 위해 마이크를 잡지 않았다고 한다. “하느님의 사랑은 거창한 것이 아니라 바로 옆에 있는 사람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우리 안에서 그 사랑을 끄집어내고 싶습니다.”
100년된 ‘연년생 남매 수도회’ 출신
4년 전부터 준비한 김 수녀가 제안
“하느님이 아니라 하느님 뜻 전하자”
2월 첫 방송에 비신자 애청자도 호응
‘달달한 오누이 수다쟁이 등장’ 화제
“청취자들 생각 바뀌어 깨어났으면”
인터넷 팟캐스트 방송 ‘수도원 책방’(podbbang.com/ch/8788·팟빵)을 시작한 지 한달이 된 황 신부와 김 수녀는 마이크 앞에만 앉으면 수다쟁이가 된다. 30분 동안 이런저런 책과 영화, 사는 이야기를 쏟아낸다. 하지만 두렵다. “설익고 별 볼 일 없는 자신의 체험이 아닌 온축된 하느님의 이야기를 전해야 하기 때문”이다.
첫 ‘맛보기’ 방송에서는 일본의 철학자 사사키 아타루의 에세이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과 유럽에서 시작해 전세계로 확산한 ‘휴먼 라이브러리’ 운동을 소개했다. 최근 방송에서는 김수환 추기경의 강연집 <거룩한 경청>과 안젤름 그륀 신부의 <당신은 나의 천사>를 소개하면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랑을 이야기했다. 신자뿐 아니라 비신자 애청자가 많다. 한 애청자는 “달달한 수사님, 수녀님의 목소리를 듣다가 나도 모르게 잠들었어요”라며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했다.
흑산도가 고향인 황 신부는 졸업하고 배를 탔다. 외항선 기관사로 2년을 일했다. 바다에서의 생활은 너무 외로웠다. 선원생활을 그만두고 다른 직장에서 일하다가 29살의 나이에 수도원에 들어갔다. 그가 속한 수도원은 성바오로수도회로 사회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복음을 전하는 것이 사명이다. 사제가 된 그는 로마에서 교부학을 전공했고, 성바오로출판사 편집장을 지냈다.
28살에 수도원에 들어온 김 수녀는 성바오로딸수도회 소속으로 <평화방송>에서 한동안 책 소개를 한 경력이 있고, 그동안 온·오프라인 서점을 관리해왔다. ‘삶과 사명이 선교’인 둘은 우연히 뭉쳤다. 4년 전부터 팟캐스트를 준비하던 김 수녀가 지하철에서 이야기를 나누다가 황 신부의 이야기를 듣고 손을 내밀었다. 둘은 쉽게 의기투합했다.
황 신부는 지난해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종편을 비롯한 기성 방송의 ‘거짓 편파 방송’이 충격적이었다고 했다. “우리 모두가 져야 할 큰 책임입니다. 대중 조작에 맞서서 참된 방송이 필요하다고 느꼈어요.”
김 수녀는 “책과 영화 등 문화 이야기를 통해 대중에게 깨어있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고 한다. “하느님의 이름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이 해주신 것, 우리에게 나눠주신 것이 뭔지 전하고 싶어요. 이 시대 일하는 모든 이들의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그러다 보면 사회문제도 피할 수 없겠죠. 비록 느리긴 하지만 한 사람 한 사람의 생각을 바꾸는 데 기여하고자 해요.”
두 사람은 미리 주제를 정해 서로 소개할 책을 고른다. 다음 방송 주제는 ‘광야’다. 사순절을 앞두고 인생의 힘든 시기를 이야기하고 싶단다. 그래서 황 신부가 고른 책은 오스카 와일드의 <옥중기>이고, 김 수녀는 김의경의 <청춘 파산>을 골랐다. “한자로 종교의 뜻은 ‘으뜸의 가르침’입니다. 인간에 대한 깊은 이야기를 나누면 그것이 바로 종교 이야기가 돼요. 이런 책을 소개하다 보면 시대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피해 갈 수 없죠. 그런 이야기를 진솔하게 하고 싶어요.”
맑은 목소리로 이미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는 김 수녀는 자신의 소명을 ‘씨를 뿌리는 사람’이라고 한다. “비록 팟캐스트 방송이지만 우리의 목소리가 이 땅에 조그만 씨앗이 돼, 그 언젠가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제구실을 한다고 생각해요. 처음부터 거창하게 시작하는 것이 아닌, 낮은 곳에서 조그맣게 시작하는 것이 옳다고 봐요.”
신부와 수녀의 수도원은 서울 미아동에 나란히 자리잡고 있다. 이탈리아의 복자 알베리오네(1884~1971) 신부가 각각 1914년·1915년 설립한 ‘연년생 남매’ 수도회다. 이들 역시 연년생이다. 그래서 오누이처럼 정겹고 사랑스럽게 이야기를 나눈다.
‘수도원 책방’은 매달 1일을 기점으로 열흘 단위로 새로운 방송을 올린다. 스마트폰에서 팟캐스트 청취 애플리케이션인 ‘팟빵’이나 애플 아이튠스를 통해 들을 수 있고, 웹에서는 포털사이트에서 ‘수도원 책방’으로 검색해서 들을 수 있다.
“회개는 생각이 바뀐다는 뜻입니다. 많은 이들이 저희 방송을 듣고 깨어나서 생각을 바꾸길 바라요. 욕심인가요?” 신부와 수녀는 바쁘게 스쳐 지나가는 명동의 인파 속에서 사랑과 사람을 이야기했다. 향기로운 냄새가 퍼지는 듯했다.
이길우 선임기자 nihao@hani.co.kr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서 '고려사' 필사본 완질 발견/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http://www.ajunews.com/view/20150216144351228

  •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서 '고려사' 필사본 완질 발견
  • 국외소재문화재재단,"19세기 한중 지식인들의 문화교류를 보여주는 중요자료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필사본 '고려사(高麗史)' 전질 139권 19책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도서관에서 발견됐다고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16일 밝혔다. 중국 청대 최고의 금석문 학자인 유희해(1793~1852)가 소장하고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을 펴는 데 참고한 책이다. 

 2014년 실시된 ‘구한말 해외반출 조선시대 전적 현황 조사 연구’(책임연구자 유춘동 선문대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과정에서 발굴됐다. 

 조사단의 허경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케임브리지대학 도서관의 웨이드 문고(Wade Collection)의 서가를 살펴보던 중 양장(洋裝) 제본의 책 등에 “KAOLI SHIH”라고 표기된 19책을 우연히 발견했다. 이후 이 책이 괘선지에 해서체로 쓰여진 필사본 '고려사' 전질이며 19세기 중국 학자들이 애장하며 돌려보았던 것임을 확인했다. 이 서적을 기증한 토마스 웨이드(Thomas Francis Wade, 1818~1895)는 주청 영국공사를 역임하면서 중국 고서만을 전문적으로 수집하였는데, 그의 기증도서 속에 한국 고서들이 섞여 있었던 것이다. 

 단정한 해서체로 필사된 이 책은 중국의 이름난 금석학자 옹방강(1733~1818)의 아들인 옹수곤(1786~1815)과 장서가 고천리(1766~1835) 등이 함께 읽은 책으로 알려졌다.


[1. 본문 첫 장 상단에 ‘가음이장서인(嘉蔭簃藏書印)’ㆍ‘고천리경안기(顧千里經眼記)’, 아래에는 ‘유희해인(劉喜海印)’ㆍ‘연정(燕庭)’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다.]

'고려사'는 김종서·정인지 등이 1449년 세종(재위 1418∼1450)의 명을 받들어 편찬하기 시작해 1451년 139권으로 완성한 기전체(紀傳體) 사서(史書)로 현재 대부분 목판본으로 전하고 금속활자본이나 목활자본이 그 다음으로 많다. 총 글자수 336만 9623자에 달하는 '고려사' 필사본의 경우, 열전이나 지(志) 부분만을 필사한 것들이 대부분이고, 전질을 필사한 '고려사'는 규장각 소장 61책과 콜레주 드 프랑스 소장 71책 등이 있을 뿐이다. 특히 케임브리지대학 도서관본처럼 전질을 정성스럽게 필사한 책은 찾아보기 어렵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이 책은 청나라 금석학자들이 조선 금석문을 얼마나 열심히 연구했는지, 그리고 조선금석문 연구를 위해 '고려사'를 얼마나 소중하게 여기며 구입하거나 필사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문화재적인 가치가 높다. 나아가 19세기 한·중 학자들의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자료로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2015년 2월 14일 토요일

인류가 멸종하면 지구는 어떻게 되나/ 윤태희 기자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209601019&ff=face


인류가 멸종하면 지구는 어떻게 되나


어느 날, 갑자기 새로운 강이나 인공 섬이 생기고 산이 평지로 바뀐다. 이는 바로 우리 인간의 영향이다. 인간은 지구의 지형과 환경을 크게 바꿀 수 있는 유일한 생물이다. 이런 인류가 갑자기 지구 상에서 사라져 버린다면 지구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한 번쯤 생각해볼 법한 이런 의문에 대해 유명 유튜브 채널 ‘에이셉사이언스’(AsapSCIENCE)가 최근 영상을 통해 과학적으로 설명했다고 미국 허핑턴포스트 등 외신이 보도했다.


이를 보면, 지구 상에서 인간이 사라지면 처음 몇 주 동안은 혼란 상태가 계속된다. 우선 수 시간 이내에 전 세계 곳곳에 있는 모든 발전소가 연료를 다 쓰고 가동을 중지한다. 그 영향으로 거리에서는 빛이 사라져 암흑이 되고 전기가 통하던 울타리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전 세계 15억 마리 이상의 소와 10억 마리의 돼지, 200억 마리의 닭 등 가축이 먹이를 찾아 울타리를 넘게 될 것이다.

먹이를 주던 사람이 없으므로, 가축 대부분은 굶어 죽거나 전 세계에 5억 마리 이상 있는 개와 이와 같은 정도로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고양이의 먹이가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런 개와 고양이와 같은 인공적으로 대량 개량된 품종들 역시 야생에서의 생활에 적응해 더 튼튼한 잡종이나 늑대, 코요테, 살쾡이 등 맹수의 표적이 될 것이다.

또 쥐나 바퀴벌레와 같은 동물들은 인간이 사라짐으로써 자연히 먹이가 줄어 개체 수가 감소하고 머릿니와 같이 인간의 몸에만 사는 기생충은 멸종하게 될 것이다.


도시에 있던 수많은 유명 거리는 강물에 잠겨 사라지고 지하철은 전기 펌프가 작동하지 않아 수몰될 것이다. 그리고 영화에서 보던 것처럼 건물과 거리 곳곳은 잡초와 덩굴로 뒤덮이고 식물과 나무가 무성해져 이전의 도시는 알아볼 수 없을 것이다. 또 이런 도시는 수몰되거나 초목으로 덮이기 전에 발생한 불에 의해 거의 다 파괴될 가능성도 크다. 특히 목재를 사용한 주택가에는 벼락이라는 자연재해로 일대가 소실될 가능성도 있다. 반면, 자연환경과 가까운 지방의 주택들은 조금 더 오랜 기간에 걸쳐 파괴된다. 불보다는 나무를 먹고 사는 흰개미나 기타 분해생물들에 의해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인간이 사라진 뒤 100년 정도 지나면 대부분 목재 건축물은 없어질 것이다. 그리고 남은 것은 건물의 기초와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고철 등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철재도 머지않아 부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철강 대부분은 녹이 슬게 되는데 표면에 코팅이 없으면 산소와 반응해 빠르게 부식할 것이다. 즉 이런 것도 인간이 사라지면 수명이 그리 길지 않게 되는 것이다.


수백 년이 지나면 전 세계 동물 대부분은 인간이 탄생하기 전의 생활 수준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하지만 생물의 서식 분포는 살아있던 인간의 영향으로 변화할 것이다. 이는 전 세계 동물원에서 빠져나온 동물들이 그대로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하기 때문.

또 인간이 살아있을 때 이용했던 라디오와 위성 전화 등에서 나오는 전자파도 반영구적으로 지구에 남게 된다. 플라스틱이나 황화물, 고무 등 화학적 결합물은 박테리아 등이 물질을 분해할 때 사용하는 소화효소의 영향을 받지 않아 그대로 남게 된다. 이런 물질은 사라지지 않으므로 물에 휩쓸려 바다 위를 표류하거나 흙 속에 파묻히는 등 그대로 남게 될 것이다.

이런 부식 과정은 주위 환경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사막에서는 더 많은 물질이 오랫동안 남게 된다. 이는 사막에는 부식을 진행하거나 분해를 지원하는 수분이 적기 때문.

또한 지구 상에 있는 탄소가 여러 형태로 변환돼서 순환하는 ‘탄소 순환’으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수천 년 이전의 높은 수준으로 되돌릴 가능성도 있다. 유기화합물질이나 방사성 물질도 오랜 기간 지구 상에 남을 듯하다.

결과적으로 놀라운 점은 우리 인간이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줬던 것들만이 차례로 사라져 간다는 것이다.



사진=NASA, 유튜브(http://youtu.be/guh7i7tHeZk)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전진한 소장/ 서울신문 김민석 기자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202008015


“고인 물이 된 NGO 수뇌부…아랫물은 메말라 떠납니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전진한 소장… 27일 퇴임 앞두고 쓴소리

“우리나라 비정부기구(NGO)는 윗물은 고여 있고 아랫물은 메마르는 악순환에 놓여 있습니다. 단체를 세운 선배들이 제 역할은 안 하고 ‘꼰대 짓’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민주주의’한다는 사람들이 마치 재벌 총수나 폭군처럼 군림하는 셈이죠.”

2008년 하승수(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변호사와 함께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를 세운 뒤 3년은 사무국장으로, 이후 3년여를 소장으로 활동한 뒤 오는 27일 퇴임하는 전진한(40) 소장은 1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시민사회단체의 자성을 촉구하는 ‘쓴소리’를 쏟아냈다. 전 소장은 창립 당시만 해도 생소하던 정보공개 청구를 통한 행정부와 권력 감시, 국민 알권리 실현을 시민사회운동의 한 흐름으로 자리매김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 소장은 “국내 NGO의 가장 큰 문제는 단체들이 젊은 활동가들의 ‘등골’을 빼먹는 구조에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남다른 소명의식으로 시민사회운동에 뛰어든 젊은 활동가들은 적은 월급과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데다 단체에서 그들의 의견을 존중하지도 않는 탓에 3년을 못 채우고 떠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설명했다.

‘젊은 활동가가 즐겁게 일하는 단체’라는 콘셉트는 전 소장이 2006년 참여연대를 나와 하 변호사와 함께 정보공개센터를 세울 때부터 지켜온 원칙이다. 전 소장은 이를 위해 ‘(선추진) 후결재 제도’를 도입했다. 전 소장은 “활동가가 결재를 위해 아이디어를 자기 검열하거나 힘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의미 있는 결과물을 만들었다”고 자평했다. 시민단체에서는 보기 드물게 겨울휴가와 안식월·년제를 도입했고 최근에는 주4일 근무제도 시작했다. 전 소장은 “직원 행복을 최우선으로 해 ‘꿈의 직장’으로 유명해진 정보기술(IT) 기업 제니퍼소프트를 NGO 영역에서 실현하고 싶었는데 그 정도에는 이르지 못한 것 같다”며 “나 또한 후배들에게 어려운 ‘직장 상사’가 된 적이 있었던 것 같다”고 털어놓았다.

전 소장이 센터를 떠나는 것도 후배들을 위한 선택이라고 했다. 그는 “후배들 괴롭히고 ‘진상 짓’ 할 나이가 됐으니 미리 떠난다”며 웃었다. 그는 “후원회원 1000명을 넘으면 떠날 생각이었는데 벌써 1080명이 됐다”며 “신입 간사를 더 뽑을 수 없고 후배가 더 올라갈 곳이 없는 단계로, 지금이 내가 떠날 때”라고 설명했다.

전 소장은 4월에 협동조합 ‘알권리연구소’를, 6월에는 시민단체 네트워크 ‘약속 2020’(가칭)을 세울 계획이다. 활동보다는 연구에 초점을 둔 알권리연구소를 통해 공공기관 정보공개, 공익제보, ‘정부3.0’ 등을 연구하는 것이 오랜 꿈이었다. 약속 2020은 시민단체의 결과물을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방법을 고민하는 ‘연결망’이다. 

전 소장은 “NGO의 언어가 너무 투박하고 어려워 공감을 잘 못 한다”며 “‘미생’(윤태호), ‘송곳’(최규석) 등 웹툰을 본 대중들이 비정규직 문제에 눈뜨는 것을 보고 느낀 바가 크다”고 말했다. 전문가들과 함께 NGO의 콘텐츠를 웹툰, 인포그래픽, 짧은 다큐멘터리 형태로 가공하는 활동을 할 계획이다. 언젠가 새로 시작하는 단체들이 자리를 잡으면 또 떠날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게 나의 몫이고, 잘 만들어져 있는 단체에 매력을 못 느끼는 체질”이라며 활짝 웃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5년 2월 13일 금요일

전체 청소년 713만 명 중 학교 밖 청소년 28만 명(4%)/ 헤럴드 경제 박혜림 기자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50131000018&pp=001

‘퇴학’ 당한 28만 청소년, 관리 사각지대…사회불만세력, 범죄자 양산
기사입력 2015-01-31 08:57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이른바 문제아로 낙인찍혀 학교 밖으로 쫓겨난 청소년들이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아직은 사회와 가정의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미성년자이지만, ‘착한 양’만 지켜려는 교육행정 편의주의와 어른들의 이기심 때문에 제도권 교육의 울타리에서 쫓겨나 격리된 28만여명의 청소년들은 사회에 대한 분노를 키우며 잠재적ㆍ위협적 범죄자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에서 퇴학당한 제도권 밖 청소년들의 ‘일탈’ 행위가 위험 수위임에도 이들에 대한 범 국가적ㆍ사회적 통합 관리가 미흡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문제아로 낙인찍혀 학교 밖으로 쫓겨난 28만명의 청소년들이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이들은 어른들의 무관심속에 사회에 대한 분노를 키우며 잠재적ㆍ위협적 범죄자로 전락하고 있어 시급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김명섭 기자/msiron@]


▶제도권 교육이 외면한 청소년 28만명…은둔형 외톨이로 전락 =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학교 밖 청소년’은 전체 청소년 713만 명 가운데 4%인 28만명 수준이다. 

초ㆍ중ㆍ고교 재학생 672만명을 비롯해 대안학교 재학생, 장기 입원자, 소년원 수감생, 조기 유학생 등을 제외한 숫자다. 

전문가들은 이 중 약 4만명 정도를 은둔형 외톨이로 보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게임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의존하며 철저히 현실을 도피하는 실정이다. 

배주미 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팀장은 “학교 밖 청소년도 여러 유형이 있지만 어떤 유형이든 간에 최근 유독 은둔형 외톨이의 숫자가 느는 추세”라면서 “사회적 욕구를 게임이나 인터넷을 통해 충족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난 20일 불과 70여명이던 김 군의 트위터 팔로어 수는 불과 6일 만에 8배가 증가했다. 대부분은 10대~20대로 이들 중 일부는 자신의 트위터에 “IS에 가입하고 싶다”는 글을 남기기도 해 우려를 사고 있다.

▶끔찍한 범죄로 사회 분노 표출 = 학교 밖 청소년 중 상당수는 폭력 성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실제로 지난해 10월에는 10대 청소년들이 했다고는 믿기 어려울만큼의 잔혹한 폭력행위가 벌어져 충격을 주기도 했다. 수원지검 안산지청에 따르면 고교를 자퇴한 A(16ㆍ여고 자퇴)양과 그의 남자친구 B군(16ㆍ고교 자퇴)은 아파트 옥상 바닥에 침을 뱉은 후 피해자인 친구 C양에게 핥게 하고 심지어 대변까지 먹게 했다. 또한 담배꽁초를 삼키게 하고 버스정류장에서 구걸을 시켜 돈을 갈취하는가 하면 유사성행위까지 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해외에서 벌어지는 10대 총기 난사 사고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성장 과정에서 제대로 된 사회화 과정을 거치지 못한 청소년들이 폭력적인 게임 등을 통해 사회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다가 결국 극단적인 행동까지 벌이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인터넷 등을 탐닉함에 따른 여러 유형의 범죄로 학교 밖 청소년들에 의해 등장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 송파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6월28일부터 7월28일까지 인터넷 성인용품쇼핑몰 등 영세하고 보안이 취약한 사이트에 대해 해킹을 시도하고 해당업체 경영진을 위협하며 금품을 요구한 10대 청소년이 붙잡히기도 했다. 이 청소년은 고등학교를 자퇴한 이후 인터넷 등을 통해 해킹 방법을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불과한 학교밖 청소년 범죄, 전체의 40% 달해=실제로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들의 범죄율은 높은 편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 7월말까지 4년7개월간 검거된 청소년 범죄자 42만4611명 중 학교 밖 청소년이 17만1127명으로 전체의 40.3%에 달했다. 전체의 4%에 불과한 학교밖 청소년이 전체 범죄의 40%를 차지하는 구조다.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미약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이같은 현상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올해 들어서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을 늘린다는 방침이지만 아직도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일원화된 관리 체계는 마련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배 팀장은 “밥만 먹인다고 애들이 무럭무럭 자라던 시대는 지났다”면서 “떠받들며 키우라는 게 아니라 적절한 대화를 통해 아이가 힘든 것은 무엇인지, 또 어떤 식으로 극복해 나가야 하는지 관심을 쏟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해당 가정에서는 자녀가 학교를 다니지 않는다는 사실을 ‘수치’로 생각하며 감추는 데 급급하다. 

제도권 내 청소년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학교 폭력 노출은 물론 학업 스트레스와 가족간의 대화 단절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겉보기엔 멀쩡하지만 속으론 시커멓게 멍들고 있다.



김태윤 열린의사회 팀장은 “위기를 겪고 있는 많은 청소년들을 들여다보면 부모님 등 주변 사람들과의 절대적 대화 시간이 적은 경우가 많다”면서 “심적 고독에서 학교 폭력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비롯되는 만큼 아이들과의 대화 시간을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r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