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해방 이후 지난 70년간의 ‘한국 현대 독서문화사’다. 즉, 책 읽기 문화를 통해 돌아본 우리의 ‘知의 현대사’이자, 상식과 교양의 역사다. 지난 70년간 방방곡곡의 학교와 도서관과 서점들, 대학과 교회와 노동조합 사무실에서 열렸던 독서회들, 때로는 버스와 지하철 그리고 저마다의 내밀한 방과 마음속에 펼쳐진 독서의 풍경을 되돌아본다.
또한 그동안 우리가 사랑한 책들, 이를테면 《청춘극장》(김내성, 1954)에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 1978)을 거쳐 《칼의 노래》(김훈, 2001)에 이르렀던 한국문학, 《조선역사》(김성칠, 1946)에서 출발하여 함석헌.리영희.강만길.김현.김윤식.백낙청 등을 거쳐 오늘에 이른 인문/사회과학 서적, 그리고 《자본론》 《코스모스》 《데미안》 《어린 왕자》처럼 외국에서 들여온 아름다운 책들과 그 수용의 역사를 다시 들춰본다.
특히 이 책은, 지난 2003년 출간돼 근대사의 외연을 확장하고 문학/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며 극찬을 받은 《근대의 책 읽기》의 저자 천정환 성균관대 교수와, 동아시아 비교문학과 지성사, 냉전문화사에 깊이 천착해온 정종현 인하대 교수의 긴밀한 협업으로 탄생한 책이라 그 의의가 더욱 크다. 2000년대 이래 역동적으로 발전해온 문학/문화 연구의 새로운 기운을 담아, 독서사뿐 아니라 지성사, 대중문화사, 냉전문화, 젠더사, 문화제도사까지 아우르는 최초의 인문교양서라 할 만하다.
독서와 정치, 독서와 경제, 그리고 베스트셀러 문화부터 ‘책 안 읽기’까지
책의 역사와 독서의 역사는 다르다. 책의 역사가 ‘저자-출판사-인쇄업자-서적상-독자’까지 연결되는 ‘커뮤니케이션 회로’의 각 단계가 어떻게 변화 발전했는지를 기술하는 것이라면, 독서의 역사는 그 마지막 실현 단계인 ‘읽는 행위’를 탐구한다. 즉 독서사란, ‘누가, 무엇(어떤 책)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읽(었)는가를 정확하고 꼼꼼하게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한 개인의 독서행위를 넘어 사회적이고 집단적인 거시적 변화를 포함하며, ‘깊은 해석’을 거쳐야만 그 실체가 오롯이 드러나는 것이다.
독서와 우리 현대사를 함께 들여다보는 이 책은 무엇보다 독서와 정치, 독서와 경제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깊은 해석’을 통해) 우리에게 새롭게 드러내 보여준다. 이를테면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면면히 이어져온 관변 독서운동(또는 ‘독서의 계절’ 등과 같은 독서 대중화 운동), 국가의 검열체계, ‘저항운동’으로서의 독서, 엘리트와 민중 간의 ‘지적 격차’를 둘러싼 투쟁 등은 ‘독서의 문화정치학’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즉 독서문화는 일종의 정치요, 문화정치였던 것이다.
또한 경제발전에 따른 소비자-독자의 성장, 출판자본주의의 발달, 쇼비즈니스-베스트셀러 현상과 대중의 욕망구조 등은 경제 현상의 하나로서 독서문화를 바라보게 한다. 그리하여 이 책은 경제발전과 민주주의가 지식문화와 어떤 관계를 맺는지를 보여줌으로써, 거대한 ‘인간 개발’과 지식 발달사의 면모를 드러낸다. 즉 독서의 현대사는 전문지식과 상식, 그리고 교양의 역사인 것이다.
또 이 책은, 책 읽기뿐 아니라 ‘책 안 읽기’에 대하여도 조명한다. 오늘날 ‘피로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은 점점 더 책을 펴들 겨를이 없어지고, 영상문화와 인터넷/스마트폰 문화의 급격한 발달로 독서시장은 더욱 위축되고 있다. 또한 ‘민주화 이후’에도 한국 사회는 퇴행을 거듭하면서 인문학과 대학의 상황이 많이 나빠졌다. 한국 독서문화의 퇴행도 이와 관련이 깊은 것 아닐까? 지난 70년간의 독서문화사를 되짚는 이 책은, 독자층의 분화를 포함한 한국에서의 ‘현대의 책 읽기’가 점진적인 쇠퇴의 길로 가며 다른 어떤 문화로 대체되고 있는지를 생각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해방 이후 70년 : 우리는 무슨 책을, 어떻게 읽어왔나
한국 현대 독서문화는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된다. 1) 194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의 재구성기, 2)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성장기, 3) 198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의 성숙기, 4) 2000년대 이후의 전환기. 앞의 두 단계를 거시적 인구 변동과 경제성장, 근대화/자유화 같은 요인이 규정한다면, 뒤의 두 단계는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세계화/민주화 같은 요인이 규정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총 17개의 주요 흐름으로 ‘대한민국 독서사’를 조망하고 있다. 그리고 각 주요 흐름마다 그 시대의 의미 깊은 한 권의 책, 또는 흥미롭고 인상적인 독서문화의 한 단면을 별도의 팁으로 소개하고 있다.
1945-1950년 해방 공간에서는 식민지 청산 및 좌/우 대립 과정에서 일본의 지식이 어떻게 민족의 지식 혹은 미국의 지식으로 분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한국전쟁기에는 전선 남/북의 혼돈스런 책 읽기 풍경, 그리고 폐허 속에서도 뜨거웠던 교육열에 주목해보고, 친일 엘리트들이 어떻게 반공으로 무장하여 갱생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1950년대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인 《자유부인》을 둘러싼 문화정치적 함의를 성찰해보면서, 《사상계》와 《광장》 등으로 이어지는 4.19의 시대정신을 되짚어본다.
1960년대의 개발독재 시대에는 개발주의 영웅서사나 역사소설의 열풍 등 ‘민족주의’의 흐름을 살펴보는 한편으로, 서구의 책과 지식이 어떻게 수용되어 읽혔는지, 그리고 여성 독자층의 성장과 재구성의 과정에 주목해본다. 그리고 1970년대는 《별들의 고향》과 ‘통.블.생’(통기타, 블루진, 생맥주)으로 상징되는 새로운 청년문화의 분화 과정, 또 다른 한편으로 산업화 시대의 저류에 도도하게 흐르고 있던 저항의 독서문화를 살펴본다. 최인호부터 황석영까지, 전태일부터 《난.쏘.공》까지.
1980년대는 ‘운동으로서의 출판, 저항으로서의 독서’가 꽃 핀 강력한 한 시절이었다. ‘의식화’와 ‘세미나’의 시대를 맞아 이 땅의 청년/학생과 노동자들은 어떤 책을 읽었을까.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속류화된 ‘협’의 서사(예: 《인간시장》)로 충만했던 무협지와 만화 등 ‘하위문화’에도 주목해본다. 그리고 이 두 흐름 외에 ‘중간층 대중독자’의 독서는 어떠했는지, 집단(공동체)과 개인 사이에서 방황했던 ‘회색인’들의 내면적 갈등과 좌절(예: 《숲속의 방》), 가히 ‘이문열의 시대’라 할 정도로 그의 소설이 왜 그토록 오랫동안 열광적으로 많이 읽혔는지, 그리고 《홀로서기》 등 서정시 시집 열풍 현상을 들여다본다.
1990년대는 문화의 지각변동을 맞아 과도기의 독서문화를 살펴본다. 신경숙과 공지영 등 여성 작가/독자의 폭발적인 성장, 그리고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물결과 함께 세상의 중심이 ‘나’로 재편되면서 불어닥친 자기계발과 성공서사의 열풍, ‘상실의 시대’의 후일담 문학 등을 살펴본다. 아울러 ‘똘레랑스’ 이후 홍세화, 진중권, 박노자, 강준만 등 새로운 진보 담론의 등장과 지성의 재편 과정, 세기말 서점가의 풍경을 돌아본다.
2000년대는 ‘성공’ 담론과 영어 학습서 열풍, ‘88만 원 세대’와 청춘 멘토 현상, 새로운 가족주의와 ‘엄마 신드롬’ 등 신자유주의 위기/불안 시대의 책 읽기 풍경을 돌아보고, ‘책 안 읽는 국민’ 혹은 ‘책 없는 시대’의 책 읽기 등 사라져가는 것들과 이어가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를 성찰해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