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25일 화요일

"야만의 시대를 살아가는 법"

 

"야만의 시대를 살아가는 법". 한겨레신문이 자리를 만든 '한겨레 시민 포럼'의 제목이다. 도정일 교수의 강의. 2009년 8월 25일. 저녁시간. 프레스센터.

 

요약문 가운데 눈에 띄는 대목을 옮겨놓는다.

 

"인문학은 방기할 수 없는 네 개의 커다란 윤리적 책임 영역을 갖고 있다. 역사에 대한 책임, 사회에 대한 책임, 문명에 대한 책임, 인간에 대한 책임이 그것이다."

 

"우리는 어떤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가? 이 질문은 사회에 대한 인문학의 윤리적 책임을 요약한다. 이것은 한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추구해야 할 목표에 관한 질문이며 꿈과 이상, 정신과 가치에 관한 질문이다. 어떤 사회를 만들 것인가라는 질문이 없는 사회는 비전도, 목표도, 방향도 갖지 못한 위험한 '막장사회'이다.

 

"민주주의라고 해서 언제나, 반드시, 현명한 결정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도 인문학이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이유는 그 체제가 인권을 존중하고 시민의 기본권리를 보장함으로써 인간의 품위와 창조성에 가해질 수 있는 훼손의 범위를 최대한 축소시키고 자율성과 자발성의 발휘 기회를 신장해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민주주의는 정치체제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사회체제이고 문화체제이며 교육체제이다. 이 점에서 보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민주주의는 여전히 먼 길이다."

 

"한국 교육의 인간 파괴적 비자율적 성격은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인간이 가진 최선의 능력들이 야만의 체제에 더 잘, 더 많이 봉사하도록 훈련시키는 교육은 이미 그 자체로 야만이다."

 

"시민에게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시민사회를 지탱할 민주적 자질과 함께 공동체를 유지할 선의, 연대, 협력, 신뢰, 자립의 덕목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