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28일 수요일

김성호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장의 '작은도서관' 정책 브리핑(2013. 8. 27)

안녕하십니까?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장 김성호입니다. 

바쁘신 데도 이렇게 도서관에 관심을 갖고 오늘 참석해 주신 기자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도서관 운영 활성화 대책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기 전에, 먼저 도서관 현황에 대해 간단히 말씀을 드리고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도서관은 크게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범주에 특수전문도서관 성격으로 병영도서관, 그 다음에 전문도서관, 장애인도서관, 그 안의 범주에 작은도서관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작은도서관 정책은 2004년도에, 그 당시에 공공도서관이 한 471개 정도밖에 없다 보니까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들이 쉽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 정부가 작은도서관 조성정책을 추진해 왔었습니다. 

추진해 온 것이 금년에 한 10년째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런 과정에서 여러 가지 법 개정이나 제도개선 이런 것들이 진행되어왔고, 그러다보니까 작은도서관이 지방자치단체에 많이 조성되어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데, 그런 와중에서 최근에 작은도서관에 대한 운영에 관한 문제점 이런 것들이 제기되고 있고, 실질적으로 지방에서 일부 작은도서관에서 운영이 미흡한 사례가 발견되고 있어서, 정부가 어떻게 하면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해서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 고민을 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서 오늘 여러 기자님들께 설명하게 되었습니다. 

세부 내용을 자료를 통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자료 2쪽입니다. 

추진 배경은 아까 말씀드린 대로 그동안 정부가 도서관 조성정책을 추진하면서 도서관 수는 굉장히 양적으로 증가한 반면, 그 다음에 실질적인 운영에서는 굉장히 운영이 미흡한 지적이 되고 있고, 그래서 여기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운영 실태를 분석해서 운영 활성화 지원을 강화하고, 필요한 관련 제도개선을 통해서, 제대로 작은도서관이 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지역사회에서 독서사랑방으로써 발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여기에 대한 내용을, 세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우리가 한번 검토했습니다. 

먼저, 현황 및 문제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작은도서관이 그동안 쭉 정책 조성을 해 왔습니다만, 실질적으로 우리가 정부 차원에서 작은도서관이 운영하는 실태조사를 전문적으로 한 것이 2010년도 운영한 것을 기준으로 해서 2011년도에 한번 실태조사를 했었습니다. 그것이 한 3,349개가 나왔고, 그 다음에 2012년도말까지 운영된 것을 금년도에 실태조사 결과가 분석해 나온 것이 한 3,951개가 나왔는데, 현재 실태조사 결과 한 3,951개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실태조사 과정을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시․군․구 지방자치단체 담당공무원들이 실태조사표에 의해서 작성해 온 것을 우리가 전문기관에 의뢰해서 시․도 담당공무원을 찾아서 확인하고, 그 다음에 2단계로써 작은도서관 운영자 확인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3,951개를 정리했습니다. 

그런데 참고로 말씀드리면, 1단계 시․군․구 담당공무원이 작성한 것들 중심으로 해서 확인한 결과 개관하고 있지 않은 것이나, 일부 작은도서관이 중복되고 있는 것이나, 법정기준 미달 도서관들이 파악되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들을 제외하고 한 3,951개가 정리됐다는 것을 참고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체 작은도서관 중에 공립은 한 894개, 지자체가 운영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그 다음에 개인이나 단체, 그 다음에 아파트, 종교시설, 과거의 새마을문고 같은 것, 법인에서 운영하는 사립 작은도서관이 3,057개로 77.4%정도 됩니다. 

이런 역사적인 것을 간단히 밑에 참고로 표시했습니다만, 2004년부터 2008년도까지는 작은도서관과 문고를 별도로 관리했었습니다. 그런데 2009년도에 도서관법 개정에 따라서 그 당시에 도서관법에 있는 문고를 작은도서관으로 그대로 명칭만 변경해서 그대로 흡수했습니다. 

그러다보니까 종전에 문고로 했던 것도 작은도서관 수로 포함되다 보니까 현재까지 3,900여개로 대폭 증가한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참고로 말씀드립니다. 

이러한 작은도서관들의 운영 실태를 한번 점검해 보면, 2010년 말 기준으로 해서 우리가 3,349개로 파악됐는데, 그것을 가지고 작은도서관 운영진단 및 컨설팅 연구를 2012년도에 한번 해봤습니다. 전문기관에 의뢰해서, 거기에서 운영진단 결과, 적정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이 전체 작은도서관 중에서 35%는 적정하다고 판단되고, 65%는 부적정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참고로 7쪽을 한번 봐주시면, 그 당시에 운영진단 했던 진단표였습니다. 우리가 전문기관에 의뢰해서 개발한 운영진단표에서 운영 실태를 항목별로 점수화해서 해봤을 때 밑에 등급별로 A하고 B1 등급은 적정운영이 나오고, B2 이하는 부적정으로 판단해서 부적정 운영 도서관이 65%가 된다는 것을 참고로 말씀드리고, 그 중에 공립이 한 10% 되고, 211개 정도 되고, 사립이 1,952개 정도 되는 것이 파악되었습니다. 

2012년 말 기준으로 해서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해본 결과 전체적으로 도서관의 3대 요소면 시설과 그 다음에 운영 인력 사서와 그 다음에 장서가 도서관 3대 요소라고 합니다. 그런 것들을 감안해서 한번 1기관당 평균 실태를 보니까, 작은도서관 운영인력은 전체적으로 상근하고 있는 직원이 1.2명으로 파악되고, 상근직원을 배치하고 있지 않은 데가 한 1,420개로 파악되었습니다. 

그 다음에 직원과 같이 자원봉사자가 같이 배치되어있는 곳은 6.5명이 되어있고, 자원봉사자가 아예 배치되고 있지 않은 데가 1,196개로 파악되었고, 건물면적은 111㎡(34평)이 되고, 그 다음에 운영예산은 연간 평균 한 1,000만 원 정도 됩니다. 

참고로 100만 원 미만인 도서관도 1,100개 정도, 그중에 공립이 67개, 사립은 1,036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데가 평균적으로 한 1년에 5개 운영하고, 71회 정도 이런 식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다음 장입니다. 

전반적으로 보면 사립도서관에서 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음 장 세 번째 문제점으로, 작은도서관의 법정기준입니다. 현재 작은도서관의 법정기준이 일반 공유면적, 복도나 화장실 제한면적이 건물면적의 33㎡ 이상이고, 열람석은 6석 이상, 장서수는 1,000권 이상이면 작은도서관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가 2004년도에 작은도서관 정책 추진할 때는 건물면적이 99㎡에서 165㎡, 30평에서 50평이 되겠습니다. 이렇게 해서 우리가 조성정책을 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조성할 경우에 우리가 지원을 해왔었습니다. 

그런데 앞에서 간단히 말씀드렸지만, 2009년도에 도서관법 개정하면서 그 당시에 문고의 시설면적 법정기준을 그대로 작은도서관으로 명칭만 바꾸다 보니까 현재 작은도서관이 규모가 굉장히 작게 정해져있습니다. 

그 다음에 이 시설규모로서는 일반적으로 실태조사와 운영 활성화방안 연구결과가 나오면, 이 규모로서는 제대로 도서관 기능을 할 수 없다, 이런 지적도 있는 현상입니다. 

그 다음에 앞에서 말씀드렸지만, 실태조사 할 때 시․도 담당공무원이 1차 조사한 것을 실제로 확인해보고, 운영자 확인해봤을 때 미개관 도서관이나 법정기준 미달 도서관 이런 것들이 나오는 현상을 보면 그동안 지자체에서 작은도서관 담당 업무가 분산되어 있다 보니까 제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등록관리 체계가 안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다음에 지자체에서도 지방자치단체장마다 어떤 정책적인 관심과 열의가 있는 데는 잘 운영이 되고 있는 반면에, 운영하는데 일부 인력을 확보한다든지 장서를 확보해서 지원한다든지 이런 것이 지원되어야 되는데, 그런 부분들이 미흡해서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나름대로 진단하고, 이것을 토대로 해서 추진 대책을 한번 정리하였습니다. 

크게 현재 운영 활성화를 위해서 우리가 지원하고 있는 부분을 좀 강화해 나가고, 부분적으로 관련 제도가 미흡한 부분들은 강화시키고, 또 개선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먼저, 이 사업들은 기본적으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을 통해서 해야 되기 때문에 협력을 통해서 먼저 등록관리 등 행정체계를 제대로 갖추고, 인력, 장서 등 운영 활성화 하는 부분은 지원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작은도서관 운영관리 시스템과 관련제도 개선 등을 통해서 제대로 작은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고자 합니다. 

먼저, 세부내용 중에서 운영 활성화 지원 강화 방안입니다. 

앞에서 문제점으로 드러난 것 중에 작은도서관이 계속 조성은 되고 있지만, 운영인력이 굉장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특히, 아까 상근 직원 1.2명이라고 했는데, 그 중에서도 전문 사서는 0.2명으로 작은도서관에 배치되어서 운영되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습니다. 

그만큼 전문사서는 더 열악한 상태이기 때문에 우리가 이 점에 착안해서 2010년부터 순회사서를 우리가 확보해서 지원해서 현재 추진하고 있는데, 현재 금년에는 48명을 공공도서관에 배치해서 이 분들이 지역 관내에 4개 작은도서관을 담당해서 매일 한 군데씩 돌아가면서 독서지도나 도서관 운영하는 부분이라든지 전문적인 것들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들이 굉장히 현장에서는 반응도 좋고, 호응도 좋은 것으로 지금 현재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내년도에는 한 100명 정도 1차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점차 연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다음 두 번째, 작은도서관 육성 시범지구 지정 지원 확대입니다. 

이 부분은 현재 작은도서관진흥법이 있는데, 거기에도 작은도서관 육성 시범지구 지정 운영을 하도록 되어 있어서, 우리가 2012년도에 1개소 시범 운영했고, 금년도에는 2개 지역을 선정해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지역 관내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40여개를 한 단위로 묶어서 상호 대처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이 부분도 내년도에는 5개 지역으로 확대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장입니다. 

작은도서관 자료관리시스템도 개발․보급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일부 작은도서관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자료관리시스템들을 운영하고 있는데, 대부분 자료관리시스템을 확보하지 않고 재정적으로 열악하다 보니까 운영하지 못하고 거의 엑셀 수준 정도를 가지고 소장하고 있는 자료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감안해서 우리가 제대로 된 자료관리시스템을 개발해서 한 1,700여개 정도 조사를 통해서 보급을 해 나갈 계획입니다. 

그 다음에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해서 독서사랑방을 열 수 있도록 독서프로그램 운영하는 것도 계속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현재 지역 내의 작은도서관에서 아동이나 청소년 대상으로 독서전문가가 파견되어서 8회 정도 독서지도를 하고 있는 프로그램 사업입니다. 현재 50개관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도 단계적으로 확대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작은도서관의 장서 확충 문제입니다. 

참고로, 일부 공립 작은도서관에는 지방자치단체 재정 및 지원을 통해서 어느 정도 장서 확충이 되고 있는데, 사립 작은도서관 같은 경우는 장서가 굉장히 지원받는 것이 열악한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도 감안해서 지속적으로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해서 우리가 매년 우수 교양도서를 선정해서 보급하고 있고, 문학도서도 선정해서 보급하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작은도서관에 현재 금년에도 1,000여 개관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문학도서는 600개관에 지원하고 있고, 교양도서는 400개관 지원하고 있는데, 이 부분도 계속 지원해 나가되, 현재 계획상으로는 이 부분도 확대하는 계획으로 현재 예산을 요구해 놓고 있습니다. 

다음은, 작은도서관 운영자 역량 강화 교육입니다. 

작은도서관 운영자가 앞에서 말씀드렸지만, 전문사서가 아니다보니까 도서관이라는 것 자체를 운영하는데 단순히 자료를 열람하고 그런 것을 떠나서 제대로 도서관이 뭐하는지, 어떤 서비스하는 기법이라든지,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실무교육, 이런 것들을 우리가 한 군데 모아서 한 해에 200명 정도 해서 교육을 시키고 있습니다. 이 부분도 예산을 확보해서 확대해 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 

다음 두 번째, 추진 대책의 두 번째로써 제도개선 사항입니다.

실태조사 결과, 아까 지방자치단체 1차 실태조사 결과를 우리가 전문기관에서 확인해 보니까 법정기준이 미달된 도서관도 작은도서관에 현재 등록되어 있는 상황도 있고, 또 일부 지자체 의견을 들어 보면, 일부 작은도서관에서는 진로지도, 학습지도, 어떤 특정 과목 과외, 이런 학원식으로 운영하는 작은도서관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협조를 구해서 1차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해서 시정토록 1차 일정 기간 둬서 권고토록 하고, 그 다음에 시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등록취소라든지 운영 정지하는 것을 행정조치해서 관리를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겠다고 해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서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작은도서관 관리․운영 평가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아까 7쪽에서 보셨지만, 운영진단표를 우리가 금년 2월에 지방자치단체에 보내서 이것을 자체적으로 작은도서관 운영하는 실태를 진단해서 그 진단결과를 가지고 지방에 있는 작은도서관 운영․지원하는데 참고토록 해서 우리가 내려 보낸 적이 있습니다. 시행한 적이 있는데, 이것을 평가시스템으로 전환하고자 합니다. 

이것을 평가시스템으로 전환하려면,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해야 되는데, 그것을 금년도에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5쪽입니다. 

평가를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하도록 하고, 지금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들어 보면, 작은도서관이 많이 생기다보니까 공립 작은도서관이야 지자체에서 직영하든, 위탁 운영하든 하면 되는데, 사립에서 개인이나 법인, 단체에서 설립한 작은도서관 설립을 하고, 그 운영비를 지원해달라고 하는 건의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것들은 지방재정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 지원을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래서 그런 부분들은 지원할 때 평가를 해서 운영이 제대로 되고 있는 데는 지원하고, 그 다음에 개선의 여지가 있는 작은도서관에는 차등해서 지원할 수 있도록 해서, 전체적으로 작은도서관이 정상적으로 잘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그리고 시·군·구를 통해서 시·도에서 추천하는 우수 작은도서관은 우리 정부 차원에서도 거기에 상응하는 포상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지방자치단체 작은도서관 행정체계 효율적으로 운영이 되도록 개선하는 것을 지방자치단체의 협조를 구해서 권장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지방자치단체, 광역자치단체뿐만 아니라 기초자치단체들도 그렇고, 도서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일부 부서들이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도서관 정책이 현재는 고령화 사회가 되어서... 지금 공공도서관이나 작은도서관을 보면, 노인 분들도 많이 이용하고 있고, 앞으로는 또 전체 문화시설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도 국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시설이 도서관으로 파악이, 실태조사 결과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도서관 업무가 중요시 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서 지방자치단체들도 그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를 단일화 되도록 해서 지방자치단체에 권장해 보고, 같이 행정지도 해 나가겠습니다. 

참고로, 경기도 모 도서관정책팀 같은 경우나 김해 도서관정책과 같은 경우는 아주 모델케이스로 잘 운영되고 있습니다. 

끝으로, 작은도서관 법정기준을 현실화 하는 쪽으로 상향조정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법정기준은 아까 말씀드린 대로 굉장히 규모가 작은 것이 되어있었다 보니까 당초의 설립목적인 지식정보를 제공하고, 독서문화서비스를 하는 기능 역할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또 연구결과에서도 좀 확대를 해야 된다는 지적도 있고 해서, 이 부분을 현실화되도록 상향조정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추진 일정은 금년도에 추진할 계획과 내년도에 추진할 계획들을 분리해서 정리해 놨습니다.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http://ebrief.korea.kr/open.brf.EBSB0021.selectBriefPopup.laf?brpId=38114

2013년 8월 25일 일요일

"가서, 너도 그렇게 하여라"

국정원 관련, 천주교 서울대교구 사제 262인의 선언


“가서 너도 그렇게 하여라”(루카 10,37)

교회는 민주주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민주주의가 “시민들에게 정치적 결정에 참여할 중요한 권한을 부여하며, 피지배자들에게는 지배자들을 선택하거나 통제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평화적으로 대치할 가능성을 보장”해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진정한 민주주의는 법치 국가에서만 존재할 수 있으며, 올바른 인간관의 기초 위해 성립한다고 교회는 가르친다.(요한 바오로 2세, 회칙 백주년 46항 참조)

“진정한 민주주의는... 모든 인간의 존엄, 인권존중, 정치생활의 목적이며 통치 기준인 공동선에 대한 투신과 같은 .... 가치들을 확신 있게 수용한 열매이다.” 국가권력(공권력)의 존재이유도 여기에 있다. 인류역사는 ‘개인들의 독단적 의사’로 권력을 행사하는 것을 ‘법치주의’로 극복하고, 국가권력의 집중과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권력분립’(입법, 사법, 행정의 공권력)으로 균형과 견제를 발전시켜왔다.(「간추린 사회교리」, 407항, 408항 참조) 마침내 우리는 이를 ‘민주공화(民主共和)’라고 이름 한다.

그러나 교회는 현실에서 어떤 정치체제도 완전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바로 ‘죄의 구조들’ 의 존재 때문이다.

하느님의 뜻과 이웃의 선익에 반하는 태도와 행동들, 그리고 그것들로 구축된 “죄의 구조들”, 그 안에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모든 이익을 집어삼키려는 욕망과 “무슨 수를 써서라도” 쟁취하려는 권력에의 욕망이 강렬하게 꿈틀거리고 있다.(요한 바오로 2세, 회칙 「사회적 관심」 37항 참조) 가히 경제독재와 정치독재라 할만하다.(요한 바오로 2세, 회칙 「사회적 관심」 37항 참조)

사실 우리의 근현대사는 이를 극복하고 진정한 ‘민주공화’를 실현하려는 힘겨운 과정이었다. 인간의 존엄을 확인하고, 인권을 발전시키며, 공동선을 실현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분들이 십자가를 짊어졌는지 우리는 그 분들의 희생에 빚을 졌다.

그러나 우리는 쉽게 망각한다. “사적 이익이나 이념적 목적을 위해 국가권력을 독점한 폐쇄적 지배집단”(「백주년」, 46항)이 ‘민주공화’를 얼마나 심각하게, 얼마나 끈질기게 왜곡했으며, 깊은 상흔을 남겼는지를... 일제강점부터 시작해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 “폐쇄적 지배집단”은 우리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은밀하게, 때로는 노골적으로 ‘민주공화’를 부정한다.

부끄럽게도 우리는 ‘죄의 구조들’에 대해 때로는 강압에 의해 침묵하거나, 때로는 무감각과 무관심으로, 때로는 적극적으로 그 확장을 돕는다.

‘정보’도 그 한 몫을 한다. 교회는 '정보‘가 민주적 참여를 위한 주요한 도구 가운데 하나라고 본다. 그러면서 “정보의 객관성에 대한 (시민의) 권리를 온전히 행사하지 못하게 하는 장애물 가운데 특별히 주목해야 하는 것은 소수의 사람이나 집단들이 조종하고 있는 뉴스 미디어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에, 정치 활동, 금융기관, 정보기관들의 유착까지 더해지면, 이는 전체 민주주의 제도에 위험한 결과를 미친다.”(「간추린 사회교리」 414항) 고 경계한다.

이른바 ‘국가정보원’과 관련된 일련의 ‘새로운 사태’는 “죄의 구조들”이 ‘민주공화’를 노골적으로 부정하고, 이에 우리의 무감각과 “정보의 비윤리성”(「간추린 사회교리」 416항 참조)이 가세한 것이다.

첫째, 국민이 “국가안보수호와 국익증진의 사명”을 부여한 ‘국가최고의 정보기관’이 ‘자유와 진리를 향한 무명의 헌신’을 포기하면서까지, 국가안보와 국익의 토대인 ‘민주’의 가치를 허물어뜨렸다.

둘째, 대통령 직속의 국가기관의 이 권력남용 행위에 대해 아무도 책임을 지려하지 않으며, 오히려 침묵으로써 방치하거나, 왜곡으로써 혼란을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이를 정쟁으로 희석함으로써 공동선을 무너뜨렸다.

셋째, 국민을 위한 봉사의 목적에서 일탈한 행정부를 바로잡아야 할 입법부의 무능함과 사법부의 수수방관은 ‘법치’를 적극적으로 포기한 것이다. 그렇게 ‘삼권’이 협력함으로써 “폐쇄적 지배집단”은 강화되어 절대 권력화를 도모했다. 모든 인간의 존엄과 인권은 위기에 내몰린다.

넷째, 대중매체가 ‘상황과 사실들과 제시된 문제 해결책’을 객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민주시민의 책임 있는 공공생활 참여에 기여하는지 강한 의구심이 든다. “이데올로기, 이익추구, 정치적 통제 욕심, 집단 간의 경쟁과 알력, 기타 사회악” 때문일 수도 있겠고, “특정 이익 집단을 위해 잘못 이용되는 돈벌이 사업”(「간추린 사회교리」 416항) 때문일 수 있을 것이다. 대중매체가 “공동선을 위해 진실과 자유와 정의와 연대에 근거한 정보를 제공”(「간추린 사회교리」 415항)하지 않는다면, 대중매체 역시 “폐쇄적 지배집단”에 부역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

다섯째, 오늘날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이익을 추구하는 욕망과  “무슨 수를 써서라도” 지배 권력을 쟁취하려는 욕망이 그렇게 강력하게 결탁한 ‘죄의 구조들’은 버젓이 시민의 “옷을 빼앗고 때려 초주검으로 만들어 놓고”도 태연하다.

“길 반대쪽으로 지나가 버리는” 사제가 될 수는 없다.(루카 10,29-37)
모든 인간의 존엄’, ‘인권존중’, ‘공동선에 대한 투신’을 내놓고 길을 떠날 착한 사마리아 사람이 되자. 
2013년 8월 21일

2013년 8월 24일 토요일

김별아 칼럼, 포악한 글쓰기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8232145205&code=990335

인터넷을 떠돌다가 우연히 역사학자 전우용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렸다는 글을 읽고 ‘울컥’ 했다.

“국정원 댓글 알바가 되면 Ctrl+X, Ctrl+V만 해도 잘 먹고 잘 사는 시대에, 모진 가난 속에서도 좋은 문장 하나 만들기 위해 하루하루 고뇌하는 이 땅의 모든 작가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글쓰기는 애초에 ‘필패(必敗)’의 작업인지라, 고통은 필수요 그 고통에 대한 외로움도 필수다. 다만 오롯이 자기가 좋아서 하는 일에 엄살을 떨 수 없기에 비명이나 신음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어금니를 악물고 버틸 뿐이다. 그러다 일면식도 없는 이에게 때아닌 위로를 건네받으니 고맙고도 씁쓸한 마음을 가누기 어렵다.

하긴 꽤 오랫동안 궁금했다. 인터넷 기사나 게시판에 댓글로 달리는 끔찍하고 저급한 문장들은 대체 어느 누가 쓰는 것일까? 음습한 골방에 틀어박혀 피아(彼我)를 분간하지 못하는 독화살을 마구 쏘아대는 이단자, 손닿지 않는 세상에 대한 열패감과 적대감으로 똘똘 뭉친 패배자를 상상하면 어쩐지 분노보다 연민이 들기도 했다. 정말 그들이 댓글 작성자라면 ‘처벌’보다 ‘치유’가 더 시급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순진한 상상력에 기대어 감내하기에는 그 문장들이 뿜어내는 독기가 극악했다. 표현의 충동보다는 파괴의 의지에 넘쳐 단어 하나하나가 말 그대로 “부숴버리겠다!”며 덤벼드는 것만 같았다. 무엇을 부수겠다는 것일까? 무엇이 부서진 것일까?

그 댓글들을 보노라면 일반적인 견문과 보통의 이해력, 판단력, 사리 분별을 아우르는 ‘상식’이 부서진다. 독재자를 찬양하고, 학살자를 옹호하고, 반대자를 거침없이 낙인찍으며 당당하게 몰상식을 과시한다. 인권은커녕 이성조차 발붙이기 어려울 정도로 견강부회(牽强附會)를 일삼는다. 또한 댓글들은 용케 골라낸 흉악하고 비열한 단어들을 이어 붙여 ‘모국어’를 부서뜨린다. 오직 읽는 사람의 뇌수를 쪼고 상처에 소금을 뿌리기 위해 배열된 모진 문장들은 내가 아는 아름답고 풍부한 ‘어머니 말’이 아니다. 그리하여 댓글들은 끝내 건강하고 아름답고 합리적이며 상식적인 삶을 꿈꾸는 ‘마음’을 부순다. 그 마음을 조각조각 깨뜨려 그것에 의지하는 사람들을 분열시킨다.

드디어 그 포악한 글쓰기의 주인이 밝혀졌다. 현실은 상상보다 훨씬 추했다. 비루한 개인의 자발적인 게시를 넘어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가기관에 의해 고용된 이른바 ‘알바’들이 조직적으로 문장을 만들어 유포했다는 것이다. 

글을 쓴다는 것은 그 글이 어떻게 쓰일지를 생각하는 일이다. 신분을 감춘 채 그림자라도 팔아버린 것처럼 양지에는 못 나오고 음지에서만 일하며, 조직적으로 민심을 동요시키고 구성원들의 분열을 획책하여 사회를 교란했던 이들이 ‘간첩’이나 ‘불순분자’가 아니라 그들을 잡겠노라는 국가정보원의 ‘요원’이거나 ‘알바’들이었다는 사실은 충격이다. 

자신의 호흡이나 마찬가지인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정교한 훈련이 필요하다. 영혼을 초토화하는 날 선 문장의 기지를 구축하기 위해 무술 연마와 체력 단련을 하고,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언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기 위해 공수와 해양 훈련을 받았다는 사실은 충격을 넘어선 공포다. 

Ctrl+X와 Ctrl+V의 호흡을 체화하기 위해 지리산 종주까지 했다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백두대간을 완주한 이십 년차 작가도 무릎을 꿇고 “졌다!”고 외칠 지경이다. 천왕봉에서, 노고단에서, 반야봉에서, 피아골에서, 벽소령에서, 세석평전에서…. 그 신비롭고 경이로운 풍광 앞에서 그들은 어떤 악심(惡心)을 다진 것인가? 

글을 쓴다는 것은 문장에 대한 자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나의 관계를 톺아보는 일이다. 글쓰기 안내서의 고전인 <문장 강화>에서 이태준은 “문체란 사회적인 언어를 개인적이게 쓰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중국의 사상가이자 문장가인 후스는 “언어만 있고 사물이 없는 글을 짓지 말 것, 아프지도 않은데 신음하는 글을 짓지 말 것!”을 주장한다. 시인 이성복은 <네 고통은 나뭇잎 하나 푸르게 하지 못한다>에서 문학은 “절망도(道) 절망군(郡) 절망읍(邑) 절망리(里) 희망에게” 쓰는, 혹은 죽는 날까지 결코 쓸 수 없는 편지임을 밝힌다.

살기로 번뜩이는 언어, 무언가를 부서뜨리겠다고 달려드는 문장들은 정확히 진정한 글쓰기의 대척점에 서 있다. 개인적인 언어는 사회적 언어의 폭력에 말살당하고, 가학적인 글은 타인의 신음과 비명소리를 즐긴다. 그것은 글쓰기라기보다 배설이다. 쓰고 읽는 사람 모두가 똥구덩이에서 뒹굴며 절망도, 절망군, 절망읍, 절망리에 사는 더럽고 황폐한 절망에게 구터분한 손을 뻗친다. 

글쓰기는 끊임없이 부끄러움을 확인하는 일이기도 하다. 쓰는 사람은 부끄러워하지 않고 읽는 사람만이 수치스러운 시대에 작가라는 초라한 이름이 슬프다. 아프다.

조희연 교수의 인터뷰--

출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98589&CMPT_CD=SNS0

6월 5일부터 시작된 시국선언이 시민단체만이 아니라 대학생과 교수, 농민회, 로스쿨 학회, 언론인, 종교인, 고등학생까지 줄을 잇고 있다. (관련기사 : 확산되는 국정원 사태 '시국선언'

특히 교수단체는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다. 시국선언만이 아니라 각종 퍼포먼스를 진행하는 것은 물론, 이제 국정원 앞 진출까지 계획하고 있다. 

교수들의 시국선언을 주도하고 있는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공동의장 중의 한 사람인 조희연 교수(성공회대 사회학)를 지난 21일, 그의 연구실에서 만났다. 조희연 교수는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을 비롯해 한국사회 체제논쟁, 운동·정당논쟁 등 진보학계의 굵직굵직한 논쟁을 주도해 왔다. 엄청난 양의 집필활동만이 아니라 집회 현장이나 거리시위에도 자주 얼굴을 보이는 대표적인 비판적·실천적 지식인으로 꼽힌다. 

조희연 교수는 기자가 "교수단체 시국선언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라는 첫 질문을 던지자마자 국정원 사건,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에 대한 비판, 민주당과 진보정치에 대한 아쉬움, 향후 전망 등의 이야기를 줄줄이 쏟아냈다. 

"30일 국정원 앞에서 교수전국대회와 시국토론 난장 열 것" 

- 국정원 대선 개입 문제에 대한 시국선언이 줄을 잇고 있다. 특히 교수단체가 선언에 앞장서고 있는 것 같다. 
"지난 5일과 12일에도 시국선언을 진행한 대학의 대표자들이 모여 기자회견과 집회를 진행했다. 학생들이 먼저 자발적으로 시국선언을 진행한 것에 교수들이 자극을 많이 받았다. 흥미로운 점은 이번 시국선언이 민교협이나 교수노조 같이 기존의 교수단체의 네트워크만으로 조직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동안 관계가 적었던 많은 교수들이 자발적으로 동참했다. 교수단체는 선언을 촉진하고 매개하는 역할 정도만 했을 뿐이다."

- 이전보다 자발적인 참여가 늘고 있는 이유는 뭔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시는 분들 중에는 지난 대선을 무효라고 생각하는 분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것보다 더 심각한 위기의식에서 참여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가 국정원 대선개입 문제를 덮기 위해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공개했고, 또 국정원이 자숙하기보다는 여전히 왕성하게 설치고 있다. 만일 이 사건이 박근혜 정부나 새누리당이 원하는 대로 끝난다면 한국 민주주의가 어떻게 될까? 위기의식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국정조사 청문회를 보면서 이런 위기의식이 더 높아졌다."

- 국정조사 청문회를 보면 시국선언만으로 뭔가 해결책이 나오기를 기대하기에는 무리라는 지적들이 많다.  시국선언 이후 계획은 없나?
"20일에도 교수·학술 4단체(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전국교수노조, 학술단체협의회, 비정규교수노조)가 모여 회의를 했다. 22일에는 지리산에서 시국선언에 동참한 남부지역 대학 교수들이 워크숍을 갖는다. 이번 시국선언에는 전북, 전남, 대구경북, 부산, 경남 등 남부지역 교수들이 굉장히 열정적이었다. 서울에서 더 적극적인 의사표현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올 정도다. 그래서 좀 더 적극적인 의견이 모아지면 오는 30일, 국정원 앞에서 교수전국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국정원 앞에서 시국토론 난장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 해외 지식인들의 의견 표명이나 성명서를 조직하는 운동도 준비 중이다. 한국 민주주의가 아시아에서는 매우 선진적인 민주주의로 평가 받았다. 한류의 근저에는 경제발전에 대한 부러움만이 아니라 민주주의 발전과 시민사회의 역동성에 대한 부러움도 배어 있다. 아시아의 모범인 한국 민주주의의 퇴행을 막기 위해 해외 지식인들의 동참을 호소하는 메일을 보낼 것이다." 

- 새누리당에서는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이 '민주당이 대선개입을 위해 꾸며낸 매관매직 시나리오'라고 주장하고 있다.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국정원 사건을 어떻게 봐야 하나?
"얼마 전 <한겨레>에 인터뷰 연재를 하고 있는 이진순 교수가 사석에서 흥미로운 지적을 했다. 국정원의 불법댓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댓글의 내용과 기능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정원 직원들이 단 댓글 내용을 보면 국민을 정치적으로 양극화시키고 있다. 이것은 선진적 정치문화로 가지 못하게 만드는 대단한 퇴행이다.

민주주의라는 것이 극단적인 정치의견도 존중하면서 이런 저런 중간적인 입장도 공존해야 한다. 그런데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중간 입장을 없애 버리고 정치를 극단적으로 몰고 가는 역할을 수행한 것이 바로 국정원이다. 자신들은 단순히 야당을 반대하는 여론을 조성하고 싶었겠지만, 결과적으로 우리가 선진 민주주의로 가는 정치문화를 만드는 데 결정적인 퇴행을 만들어 버렸다."


- 정치의 극단적 양극화에 활용된 것이 '종북 프레임'이라고 봐야 한다는 건가? 
"그렇다. 국정원 여론조작 활동의 핵심은 종북 프레임이다. 그런 점에서 2008년 민주노동당이 분당되기 전에 진보 일각에서 만들었던 종북프레임은 진보운동 입장에서 볼 때 범죄에 가깝다. 보수언론이 종북 프레임을 국민 프레임으로 만들고, 국정원은 그걸 디딤돌로 삼아서 마치 대북작전 펼치듯이 국내정치에 개입하도록 허용했다. 
보수 진영이 만들어 낸 프레임이더라도 수용자가 없을 때는 국민 프레임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보수 프레임을 진보 일부에서 화답할 경우 바로 국민 프레임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진보 진영 내에서도 종북행위로 비판받는 행동을 한 것에 대해서 스스로 깊은 성찰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걸 비판하면서 박홍 전 서강대 총장이 남한에 주사파가 5만 명 있다고 말한 식으로 과잉 극단 프레임으로 만든 실책이 있었다. 성찰해야 한다. 

프레임이 한번 만들어지면 넘어서기 어렵다. 지역주의 프레임과 유사하다. 과거 김대중 전 대통령도 지역감정이라는 프레임이 국민적 프레임이 되면서 그것을 극복하는 데 상당히 어려움을 겪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보수정당에 강경한 정책을 취하면 본성을 드러내는 것이고, 온건 정책을 펴면 실체를 감춘다는 식으로 악마화 했다."

"박근혜 모르쇠 전략, 국민 우롱"

- 국정조사가 23일 끝나지만, 21일 새누리당이 청문회 참석을 거부하면서 사실상 끝났다고 볼 수 있다. 핵심 증인들과 새누리당은 검찰이 밝힌 기소 사실조차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어떻게 지켜봤나?
"국정조사가 이렇게 허무하게 끝난 것은 여당의 후안무치함과 야당의 무능함이 결합된 것이다. 관련 범죄자들의 뻔뻔스러움을 보면서 국민들은 우롱당했다는 느낌을 가질 것 같다. 그들에게 국민은 안중에도 없다는 분노가 치민다. 교수단체에서 청문회 전에 신문광고에 쓸 캐치프레이즈를 '국정원의 불법선거개입, 호도하는 국회, 국민을 우롱하지 마라' 이렇게 뽑았다. 청문회가 끝나니까 이 캐치프레이즈가 더 완벽하게 들어맞게 되어 버렸다."  

- 국민을 분노하게 만든 청문회, 과연 정부와 여당에 득일까?
"이 사건이 처음 터졌을 때, 내가 만일 박근혜 대통령이라면 어떻게 할까 고민해본 적이 있다. 나라면 모르쇠로 일관하는 게 아니라 주도적으로 남재준 국정원장을 해임하고 국정원 개혁의 계기로 삼았을 것이다. 예를 들면 국정원 개혁을 명분으로 친이계를 넘어서서 친박계 중심으로 인적개편을 추진하는 전략을 고민했을 것이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모르쇠, 부인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다. 아마 정부에서는 이 사건으로 대선 정당성이 흔들릴 수 있다고 느낀 것 같다. 물론 많은 정치행위에서 부인 전략이 채택되는 건 사실이지만, 이것이 국민을 우롱하는 것으로 보일 때는 마이너스 효과일 수밖에 없다. 정부와 여당의 부인전략이 딱 그렇다." 

- 그렇다면 향후 정국이 어떻게 진행될 것으로 예측하나?
"보고서도 채택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향후 정치일정도 안갯속이다. 정기국회, 추석, 검찰수사가 있다. 검찰은 특검 이야기가 나올까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정부와 여당이 남재준 국정원장의 자진사퇴 정도로 사건을 마무리할 생각이라고 보지만, 국정원의 진정한 개혁은 기대하기 어렵다. 만일 남재준 국정원장이 사퇴하더라도 이건 철저히 정권의 의도일 뿐이다. 

민주당은 원외, 원내 병행전략을 계속 추진할 것 같은데, 결국 촛불의 열기가 얼마나 유지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추석은 정치적 사건이 단절되는 계기이기도 하지만, 이번 청문회에서 드러난 새누리당과 박근혜 정부의 후안무치함을 대중적으로 설득해 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 결국 향후 정국은 촛불에 달려 있다는 말인가? 
"촛불시위 참여하는 사람 중에는 '박근혜 하야' 같은 강경한 생각을 가진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1987년 이후 자랑스럽게 진행되어온 민주주의 골격들이 흔들린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한국 민주주의가 이루어 놓은 금기는 군의 정치개입과 정보기관의 정치개입은 절대 안 된다는 것이었다. 군은 차치하고서라도 정보기관의 정치개입이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의식이 있고, 그것이 지금 촛불시위를 촉발하고 있다. 

민주당이 설령 원내타협을 하고 싶어 하더라도 진퇴양난에 빠지게 만드는 국민적 저항이 촛불이다. 박근혜 정부가 계속 모르쇠로 일관하는 상황 자체가 대중적 분노를 수렴하고 사태를 완화할 수 있는 계기를 없애버리고 있다. 물론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은 9월 정기국회가 시작되면 민주당이 참여할 수밖에 없고, 결국 촛불시위가 고립된다는 시나리오를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반대로 생각하면 이 문제는 민주주의 기본 틀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명확한 해결 방향이 나오지 않는 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촛불은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다." 

"촛불 한계 있지만, 가능성 여전하다" 

- 촛불시위가 점차 확산되고 있긴 하지만, 2008년에 비하면 파급속도가 느린 것도 사실이다. 사안의 중대성은 2008년 이상 중요한 것 같은데, 원인이 뭐라고 생각하나. 

"운동을 연구하는 사람 입장에서 보면, 운동이 활발하게 확산되기 위해서는 '의외의 새로움'이 필요한 것 같다. 지금의 쟁점은 2008년에 비해 훨씬 더 중대하지만, 일반 국민의 눈에서 보면 대선 이전에 이미 제기되어 온 쟁점이고, 대선 이후 제기될 쟁점이라는 점이 충분히 예상된 측면이 있다. 닉슨 사건 역시 기자의 특종이라는 의외의 새로움이 있었다. 모든 운동은 기존의 상상력을 뛰어넘을 때 폭발적으로 확산된다. 기존의 상상력 내에 있을 때는 폭발성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는 한계 위에서 전개될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이런 저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촛불시위가 상당히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 2008년에는 지금보다 더 많은 국민들이 더 지속적이고 격렬한 시위를 이어 나갔다. 그렇지만 결국 문제를 드러내는 데 머물 뿐, 해결은 못했다. 이번 촛불시위도 그렇게 귀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최장집 선생은 (2008년에) 촛불시위 같은 비정당적 역동성을 과소평가했지만, '좋은 정당'이라는 문제의식을 던졌다. 좋은 정당은 대중이 가지는 거리의 역동성을 자신의 정치적 자산으로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대중의 분노를 수렴해서 스스로 대안정치세력으로서의 자기 기반을 확장시켜 내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 좋은 정당이다. 

초기 박근혜 정부보다 민주당, 진보정당이 더 잘했다고 평가할 수 있나? 그동안 야당이 거리의 역동성을 충분히 수렴해 내지 못했기 때문에 대중의 분노는 거리의 분노로 머물 수밖에 없었고 대안정치 자원으로 전환되지 못했다. 우리에겐 전투만 있고 전쟁 수행 전략이 없었다. 촛불은 박근혜 정부의 정당성이 균열되는 여러 투쟁의 하나다. 다만 이것은 박근혜 정부를 넘어서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다. 촛불이 2008년처럼 거리에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대안정치전략이 있어야 한다. 진보정치 재건과 민주당의 혁신이 그것이다."

-  대안정치전략의 핵심으로 진보정치의 재건과 민주당 혁신을 지적했다. 그렇지만 이런 과제를 해결할 돌파구를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지금 이 상황이 훨씬 폭발적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있는 데에는 제도정치와 운동정치 간의 선순환 구조가 해체된 것이 중요한 원인이다.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선순환 구조란 역동적인 대중운동과 이것을 기반으로 하는 진보정치의 성장, 또 여기에 압박받는 중도개혁 정치의 혁신, 이들의 위협 속에서 보수정당이 더 건강해지는 구조를 말한다. 그러나 지금은 이 선순환 구조가 해체됐다. 
박근혜 정부가 진보적 어젠더를 일정 정도 수용하면서 일종의 수동혁명적 개혁 같은 걸 하고 있는데, 이 수동혁명적 개혁을 뛰어넘는 대중의 요구를 끌어안는 진보정치가 위기에 빠졌있다. 진보정치가 주변화, 게토화 되는 현상은 한국 민주주의의 진정한 위기다."

- 진보정치의 위기가 진보정치만의 위기로 끝나지 않는다는 의미인가?
"국가와 자본이 행사하는 전략의 핵심에는 노동과 민중의 분할전략이 있다. 정치적, 사회적, 구조적, 전략적 분할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비정규직, 특수고용 노동자를 만들어 내는 것은 노동자를 분할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진보정치는 이런 분할을 뛰어 넘어 더 큰 노동연대성, 대동적 주체를 구성할 능력이 필요하다. 진보정치 내부의 분할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연대적 정치주체로 구성해 낼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게 거의 파탄난 상황이다. 

사실 진보정치는 일종의 '좌파 안철수'를 원했다. 안철수 현상은 현실정치에서 충족되지 못하는 대중의 열망이 안철수라는 개인에게 투사된 현상이다. 그러나 진보정치가 붕괴되니까 안철수 현상으로 너무 많이 쏠렸다. 대안 정치에 대한 대중의 열망이 모두 안철수에게 과잉 투사되는 것은 또 다른 의미에서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진보정치가 담을 수 있고, 또 담아야할 내용이 있는데도 모두 놓쳐 버리고 있다."

"진보정치, 연합정당이라도 시도해야"

- 진보정치의 위기는 모두 인정하지만, 어떻게 해결할 지에 대해서는 갈피를 못 잡고 있다. 묘안이 있나?
"과거 비판적 지지의 가장 큰 맹점은 노동정치나 진보좌파정치의 정치적 대표성을 억압했다는 것이다. 이것을 성찰하면서 진보좌파 정치운동, 노동정치의 정치적 대표성을 억압하지 않으면서도 더 큰 연대적 정치주체로 나갈 수 있는 길이 있는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 모든 진보정치 집단이 자기 깃발을 온전히 내걸고, 연대적 주체로 함께 활동할 수 있는지를 한번 고민해 보자는 것이다. 
과거 대동단결론으로 돌아가자는 것이 아니다. 지금 진보정치의 게토화, 분열이 분열을 낳는 악순환을 넘어서기 위해 어떤 방법이 있는지를 머리 맞대 보자는 것이다. 연합에는 선거연합처럼 전술적인 것과 당적 통일성을 추구하는 전략적인 것이 있는데, 그 중간을 사고해 보자는 것이다. 거의 선거연합에 준하는, 각 정치세력이 자기 대표성을 갖는 연합 정당도 있을 수 있지 않을까? 일종의 '블록정당', '진보연합정당'이라도 적극적으로 시도해서 지금의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 

보수정당의 패권이 확고한 일본형 정당질서와 보수정당과 자유주의 정당만 존재하는 미국형 정당질서로 가지 않도록 창의적인 한국적 경로를 찾아야 한다. 물론 이건 내가 현실 진보정치에 이해관계가 없기 때문에 쉽게 하는 말일 수도 있다. 그러나 애정을 가지고 하는 조언이다."

-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지금 한국사회 곳곳에서 전투가 진행되고 있다. 촛불과 쌍용자동차, 현대자동차, 재능학습지에서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 촛불전투와 노동전투가 더 많은 접점을 찾아야 한다. 다만 이 모든 전투들이 전쟁의 승리를 담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는 게 중요하다. 우리가 큰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대안적 비전, 이 비전을 이룰 정책패키지, 이것을 실현할 정치주체 등 많은 것을 만들어 내야 한다. 전투에서의 승리는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다. 전투를 치열하게 전개하면서도 개별 전투만으로 전쟁을 환원하지 말아야 한다." 

2013년 8월 14일 수요일

68 essential resources for eBooks in libraries by Ellyssa Kroski

68 essential resources for eBooks in libraries by Ellyssa Kroski


August 12th, 2013 · by spolanka · No Comments

Ellyssa Kroski, Director of Information Technology at the New York Law Institute and the blogger for OEDb’s iLibrarian, as well as a writer, educator,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speaker, developed this list of 68 essential resources about eBooks in libraries.  Ellyssa has organized the list into several broad categories including:  general, devices, blogs, purchasing, creating, and more.
68 Essential Resources for eBooks in Libraries
eBooks are a constant topic in library news today.  If you’re just getting caught up or striving to keep current, here are 68 resources that will put you in-the-know and help you make an informed decision about implementing eBooks in your library.
eBooks and Libraries

eBook Devices

eBook Purchasing

E-Book Collections

Creating eBooks

E-Book Publishers & Libraries

Misc.

Blogs that Cover eBooks News

63. Teleread



2013년 8월 13일 화요일

20 library cartoons to make you smile

20 library cartoons to make you smile

Libraries are boring places where you fall asleep after five minutes… Really? Cartoons and comic strips selected for this list will prove this is just the opposite.
Neil Gaiman once said “Rule number one: Don’t fuck with librarians.” Some of the cartoons below are exactly about that. The others just show that except interesting books you’ll find in the library some interesting, really interesting, people.
On a list, there are comic strips from recognized cartoonists, like Tom Gauld (You’re All Just Jealous of My Jetpack), Grant Snider (Incidental Comics), Mark Anderson (Andertoons) or Scott Adams (Dilbert). I’ve also managed to discover really nice comic strips from young artists on deviantART.
If you are very much into libraries, you should follow two cartoonists that devote majority of their comic strips to these wonderful places, and people who work and come here.
One of the recommended artists is Alex Krentzin. The place to check out is Alex… The Librarian Facebook fan page where you’ll be regularly updated with funny library-related comic strips. A few of them are listed below.
The other artist is Emily Lloyd. She started a library web comic Shelf Check: librar* and (comic or blog) in 2007 and so far published over 500 clever comic strips and various kinds of images, including animated gifs. Just imagine – most of them happen in the library (and all of them are funny)!
No matter which cartoon you like, if you are going to share it, please go to cartoonist’s page (under Credits and more info) and share from there.

20 library cartoons to make you smile

1

Libraries of the future - a cartoon by Tom Gauld
Libraries of the future. A cartoon by Tom Gauld, an extremely popular Scottish cartoonist and illustrator. ⇢ Credits and more info.

2

Library comic strip by Marksville
Why are we going to the library again? A comic strip by Marksville / deviantART. ⇢ Credits and more info.

3

Shelf Check 490 - library cartoon by Emily Lloyd
Morning, Jan. Hey, have you played with Kobo’s social Reading Life app yet? A cartoon by Emily Lloyd, sharing fantastic library-related comics at her popular web comic Shelf Check. ⇢ Credits and info.

4

Shelf Check 344 - library cartoon by Emily Lloyd
I’m doing a report on, like, manatees!?! Do you have any books on, like, manatees?!? A cartoon by Emily Lloyd / Shelf Check. ⇢ Credits and more info.

5

Shelf Check 521 - library cartoon by Emily Lloyd
Brain-to-brain interface in libraries. A cartoon by Emily Lloyd / Shelf Check. ⇢ Credits and more info.

6

Library hours
Astor Library opening hours. Cartoon satirizing the short hours and difficult staff of the Astor Library,… created in 1854. ⇢ Credits and more info.

7

The library - a cartoon by Grant Snider
The library. A cartoon by Grant Snider, creator of Incidental Comics, one of the most popular comic Tumblr blogs. His drawings appear in many newspapers, magazines, and across the web. ⇢ Credits and more info.
I spend an inordinate amount of time browsing the shelves of Kansas City’s downtown public library. To the staff there, I’m probably known as the weird guy in scrubs who lurks about the children’s section and always leaves with more novels and compact discs than any one person could hope to consume. I’ve accepted the fact that I have a book problem.

8

Andertoons - library cartoon by Mark Anderson
I’m too old for picture books. Do you have any graphic novels? A cartoon by Mark Anderson, creator of Andertoons, an outstanding collection of clever and funny cartoons for every occasion. ⇢ Credits and more info.

9

Andertoons - Library reference question - cartoon by Mark Anderson
Oh I could tell you where self-help is, but that’d sort of defeat the purpose, wouldn’t it. A cartoon by Mark Anderson / Andertoons. ⇢ Credits and more info.

10

Andertoons by Mark Anderson - library cartoon scary books
I like scary books. Do you have any by ghostwriters? A cartoon by Mark Anderson / Andertoons. ⇢ Credits and more info.

11

Book retort - a library cartoon by Andrew Kaye
Book Retort. A comic strip by Andrew Kaye, the creator of Ben & Winslowcomic strip series and co-founder of Defenestration literary humor magazine. ⇢ Credits and more info.
If this doesn’t make you believe in the power of reading, I don’t know what will.

12

Library question
How come this book has only characters without stories? A cartoon found on FunnyVooz. ⇢ More info.

13

Med students - library discussions
Med student: Library discussions #1. A Comic strip by Cyjanek Potasu / deviantART. ⇢ Credits and more info.

14

Alex the Librarian - library comic strip - invention
After hours and hours in the library I’ve finally finished my invention. A comic strip by Alex Krentzin, sharing his great comics, almost entirely devoted to libraries, on his Facebook page. ⇢ Credits and more info.

15

Alex the Librarian - library comic strip - twinkies
Why is the library filled with twinkies? A comic strip by Alex Krentzin / Facebook. ⇢ Credits and more info.

16

Alex the Librarian - library comic strip - filthy floors
The library floors are filthy. I’m going to call in the floor cleaner crew. A comic strip by Alex Krentzin / Facebook. ⇢ Credits and more info.

17

Dilbert comic strip - library reference desk
How do you like working at the library reference desk? Dilbert comic strip by Scott Adams. ⇢ Credits and more info.

18

Dilbert comic strip - at the library reference desk
Is this the library reference desk? Dilbert comic strip by Scott Adams. ⇢Credits a more info.

19

Dilbert comic strip - Librarians would love to have you believe that
Librarians would love to have you believe that. Dilbert comic strip by Scott Adams. ⇢ Credits and more info.

20

Bike - a cartoon by Spleens for Dinner
Bike. A cartoon by Spleens For Dinner / deviantART. ⇢ Credits and more info.

Bonus

Kindle Nook Sony Reader - I say Hardwick this sure is an impressive library - a cartoon by Jeffery Koterba
Kindle, Nook, Sony reader… I say, Hardwick, this sure is an impressive library. A cartoon by Jeffery Koterba, cartoonist, writer, and musician. ⇢Credits and more info.
* * *
To get more posts like this, please subscribe by RSS or email. Check also other popular l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