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3월 30일 금요일

도서관 도시 순천의 운영 현황과 나아갈 방향

'기적의 도서관' 도봉구에 상륙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도봉구(구청장 이동진)는 도봉동 652에 지하 1, 지상 2층 규모의 기적의도서관을 건립한다. 전국 12번째이자 서울 자치구 중에는 처음이다. 이를 위해 구는 29일 오후 2시 도봉구청 9층 기획상황실에서 책읽는사회문화재단과 도봉기적의도서관 공동 건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이동진 도봉구청장을 비롯 책읽는사회문화재단 도정일 이사장, 기용 건축사무소 김병옥 소장 등 관계자들이 다수 참가했다.(이하 생략)

2012년 3월 28일 수요일

울산아지매 김순자라는 분의 정치

경향신문 2012년 3월 27일자 김규항의 좌판13  청소노동자 김순자

20대 때 혁명에 빠지지 않으면 심장이 없는 사람이고 40대에도 혁명을 생각하면 뇌가 없는 사람이라 했던가. 지난 30여 년 우리 사회에서 386세대처럼 그 말에 잘 들어맞는 경우도 드물 것이다. 80년대를 불태우던 20대의 혁명가들은 이제 수구기득권 세력과 경쟁하는 신흥기득권 세력이 되었다. 그들은 여전히 자신들을 민주세력이자 진보세력이라 말한다. 올해 예순인 한 울산아지매가 그들에게 딴죽을 걸고 나섰다.

김규항 = 한나라당 당원이었다고 들었습니다.
김순자 = 한나라당 당원만 한 게 아니라 한나라당 지역 여성회장도 하고 관변단체인 바르게살기위원회, 경찰서에서 하는 반공멸공회 총무도 했습니다.
김규항 = 우리 사회에서 정치에 눈을 떴다는 말은 대개 한나라당, 새누리당 지지하다가 민주당 같은 자유주의 정치를 지지하게 되는 변화를 일컫는데, 훌쩍 건너뛰셨습니다.
김순자 = 나이 50이 되어 노동조합을 하면서 세상을 알게 되었습니다. 노동조합을 하고 노동운동을 하지 않았다면 지금도 정몽준을 존경하는 한나라당 당원이었을 겁니다.

김규항 = 울산과학대 이사장이 정몽준씨입니다. 울산엔 현대가 울산을 발전시키고 잘 살게 해준 고마운 회사라는 생각을 가진 분들이 많습니다. 주변에서 김 선생님의 변화를 불편하게 보는 분들도 있었겠습니다.
김순자 = 부적절하다고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었죠. “너무 빠지지 마라.” “너무 빠져 있는 것 같다.” 그런 이야기를 많이 들었죠. 저 역시도 전엔 노동운동 하는 사람들은 일도 열심히 안하고 비뚤어진 사람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노동운동 하는 사람들만큼 좋은 사람들도 없더군요. “피를 나눈 가족도 아닌데 어떻게 남에 대한 배려심이 이렇게 많은가” 말하곤 했습니다.

김규항 = 울산과학대 청소노동자로 일하기 시작했을 때 보통의 회사가 아니라 대학이니 다를 거라 생각하셨지요.
김순자 = 처음 출근해보니 엘리베이터에 “책을 읽고 지식을 얻는 것은 약한 자를 돕고 사랑하는 힘을 얻게 하기 위함이다”라고 적혀 있었어요. 지성인들이 있는 곳이 역시 다르구나 감탄했죠. 학장이나 교수들은 공부를 그렇게 많이 했으니 얼마나 훌륭할까 기대했고 내 자식 같은 학생들을 위해 청소하는 게 뿌듯했습니다. 그런데 실상은 너무도 달랐어요. 배운 사람들이 오히려 더 이기주의적이고 악랄했어요.

김규항 = 김 선생님은 직접 체험을 통해서 노동문제나 사회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사람이 혼자 세상의 모든 체험을 다 할 수는 없지요. 지식을 갖는다거나 배운다는 건 그런 체험을 일일이 다하지 않고도 사회를 분별하는 능력을 기르는 일이기도 한데요. 우리 사회에선 오히려 그 반대인 경우가 많습니다.
김순자 = 드물지만 우리 투쟁에 관심을 갖고 드러나지 않게 음료수도 갖다주고 하는 교수도 있습니다. 그런 분을 보면 배운 사람답구나 싶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그렇지 않습니다. 처음엔 교수들과 마주치면 존경스러워서 인사를 받든 안 받든 제가 먼저 인사했는데 이젠 안 합니다. 초등학교밖에 못나온 나보다 더 무식한 사람들, 더 이기주의적인 사람들에게 고개 숙일 이유가 없지요.

김규항 = 2007년 울산과학대 청소노동자들의 투쟁은 노무현 정권이 비정규보호법이라는 이름의 비정규악법을 만든 후 가장 대표적인 투쟁사례로 지목될 만큼 치열했습니다. 알몸으로 저항하는 여성노동자들을 남자들이 끌어내는 야만적인 상황도 있었지요. 학생들이 구사대로 나선 건 참 가슴 아픈 대목이었습니다.
김순자 = 학생회에 찾아가서 도와달라고 했더니 못하겠다고 해서 그럼 가만히만 있어달라고 부탁했죠. 그런데 어느 날 500~600명이 체육복을 똑같이 입고 일렬로 죽 서서 구사대 노릇을 하더군요. 서러워서 울기도 많이 울었습니다.

김규항 = 그간의 투쟁으로 울산과학대 청소노동자들은 전국의 청소노동자들 가운데 가장 상황이 낫다고 하지만 여전히 최저 임금을 받습니다. 앞으로의 투쟁은 어때야 할까요.
김순자 = 청소노동자들이 다 용역업체 소속이라 투쟁에 뚜렷한 한계가 있습니다. 더 나아가는 방법은 하나, 전국의 모든 청소노동자들이 함께 투쟁하는 것입니다. 그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김규항 = 사람은 투쟁할 때 더 훌륭해집니다. 노동운동을 하면서 내적 변화도 있으셨는지요.
김순자 = 맞습니다. 노조하고 노동운동 하기 전엔 저도 ‘한 이기주의’ 했습니다. 받는 만큼만 주고 주는 만큼 받으려고 했죠. 항상 세상이 너무 삭막하다고 불평하며 살았지만 저 역시도 그랬죠. 노조 만들고 노동운동하는 동지들과 지내다보니 내가 대한민국이 아니라 딴 세상에 사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저도 달라지더군요. 이기주의도 없어지고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제가 원래 좀 당찬 성격이라는 소릴 듣고는 살았지만 돈 많고 배운 사람들에겐 꿀리는 게 있었는데 그런 게 사라졌습니다.

김규항 = 열심히 전도하셔야겠군요.(웃음)
김순자 = 정말로 딴 세상에 사는 것 같고 새롭게 태어난 느낌입니다. 돈 많고 배운 사람들에게 꿀려 사는 분들에게 투쟁하라고, 그러면 삶이 바뀐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김규항 =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셨지만 대공장 정규직 노조들과 노동운동은 걱정스러운 면도 있습니다.
김순자 = 처음에 투쟁할 때는 노조나 노동운동하는 분들은 다 고맙고 눈물 나고 했습니다. 그런데 서울 노동자대회에 처음 참여했을 때 이상한 경험을 했습니다. 당시 금속노조 위원장이던 정갑득씨가 발언을 하는데 동지들이 그렇게 불신하고 욕을 하더라구요. 우리가 힘을 합쳐도 될까말까한데 왜 저러나 싶어서 마음이 안 좋았습니다. 그런데 노동운동에 대해 더 알게 되면서 왜 그랬는지 조금씩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김규항 = 만 명에겐 만 개의 생각이 있습니다. 그런 ‘다름’은 존중하되 운동을 망가트리는 경향에 대해선 단호해야 합니다. 그게 말처럼 쉽진 않습니다.
김순자 = 몇 안 되는 저희 노조원들도 다 개성이 다릅니다. 간부를 맡은 사람은 그 다름을 인정하고 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투쟁에는 잘못된 생각이나 주장도 늘 따라다닙니다. 저희 투쟁할 때도 용역업체에서 복직 연락이 왔는데 연대노조 위원장은 바로 받으면 도로 다 잘린다 하고 또 한쪽에선 연대노조 위원장이 너무 깐깐하니 민주노총에 교섭권을 넘겨라 하고 참 혼란스러운 상황이 많았습니다. 처음엔 참 힘들었지만 그런 경험을 통해 성장한 것 같습니다.

김규항 = 국회의원이 되려는 것도 투쟁의 연장선상에 있습니까.
김순자 = 노동자들 집회 같은 데 가면 왜 “정치는 현장으로부터”라는 말이 많이 나옵니다. 저게 무슨 말일까 늘 의문을 갖곤 했습니다. 보수든 진보든 정치는 돈 많고 배운 사람들이 하는 것으로만 알았죠. 솔직히 말씀드리면 비례대표가 되겠다고 결심하고도 마음 한편으론 그런 생각을 완전히 씻어내진 못했습니다. 각오는 했지만 이게 맞는 것일까 내가 잘할 수 있을까 고민도 많이 했는데 어제 제 생각이 확 바뀌어버렸습니다.

김규항 = 어제, 무슨 일이 있었나요.
김순자 = 어제 부산 지역 대학의 청소노동자들을 만났습니다. 고신대는 노조 만든 지 3년 정도 되었다는데 노조원이 18명이더군요. 휴게실이 한눈에 보기에도 너무 초라하고 또 학교 안에서 기가 죽어있달까 눈치를 본달까 그런 게 느껴졌습니다. 제가 “청소노동자도 정치할 수 있습니다. 돈 많고 배운 사람들은 우리를 대변해주지 않습니다. 제가 국회로 가서 우리 노동자들에게 잘못하는 사람들 다 빗자루로 쓸어서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분리할 건 분리하고 버릴 건 버리고 깨끗하게 청소하겠습니다”라고 발언했는데 이분들이 억수로 좋아하고 너무나 신명이 났습니다. 이분들이 이런 걸 기다리고 있었구나, ‘정치는 현장으로부터’라는 말이 바로 이거구나 깨달았습니다. 내가 하길 잘했구나 싶었습니다.

김규항 = 정치에 대한, 진보정치에 대한 쉽고 명료한 설명으로 인용할 만한 이야기입니다. 그나저나 사업장 동료들은 걱정도 하겠습니다.
김순자 = 언니가 없으면 우짜노 바로 탄압 당할지도 모르는데 우린 우짜노 말합니다. 그래서 정치를 하게 되면 제가 더 큰 방패막이가 된다며 걱정 말라고 했습니다.

김규항 = 용역업체 사장이나 학장이나 교직원들도 저 양반이 저러다 진짜 국회의원 되는가, 정몽준하고 국회에서 맞짱뜨는가 싶어 걱정이 많겠습니다.(웃음) 따님은 뭐라고 하던가요.
김순자 = 청소노동자로 일하면서 내가 사람이 아니라 노예구나 싶어서 불만과 분노가 쌓여갔지만 비정규직은 노조 못하는 줄 알았어요. 노조는 현대중공업 같은 큰 회사의 노동자들이나 하는 걸로 알았습니다. 그런데 연대노조가 있다는 걸 알고 노조를 하게 되고 투쟁하게 되었죠. 10여년 동안 그런 모든 이야기들을 매일 저녁에 딸에게 시시콜콜 이야기해왔습니다. 그래서 딸은 제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잘 압니다. 이번에도 ‘울엄마 참 멋있다’ 하대요.

김규항 = 10년 동안 매일이면 세뇌의 결과인가요?(웃음) 굳이 진보신당을 선택한 이유가 있습니까.
김순자 = 민주당은 우리 비정규노동자들을 힘들게 만든 장본인입니다. 고려할 이유가 없고 그동안 투쟁하면서 민노당, 진보신당, 사회당이 다 연대했지만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건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민노당이 유시민 쪽과 합치면서 노동자를 대변하기 어렵게 되었다는 걸 현장에서 피부로 느낄 수 있었고 진보신당과 사회당이 합당하면서 부담이 줄었습니다.

김규항 = 민주당 이야기를 하셨는데 그들이 집권했을 때 어떠셨나요.
김순자 = 김대중 대통령이 되었을 때 사상을 떠나서 저렇게 경륜이 있는 분이 정치를 하면 얼마나 잘할까 기대가 참 컸습니다. 그런데 우리 노동자들 힘들게 하는 법 만들고 또 노무현 대통령은 전에 현대중공업과 싸울 때 와서 응원하고 했던 분인데 또 비정규 악법을 만들고 하니까 이해가 안 가더라구요. 무슨 사정이 있겠지 아무리 생각해봐도 솔직히 잘 모르겠습디다. 그러나 무슨 사정이 있다고 해도 그러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김규항 = 제 또래들이 이른바 386세대의 핵심입니다. 80년대에 20대였고 다들 노동자 민중의 편에 서겠다고 노동현장에도 들어가고 감옥살이도 하고 죽기도 많이 죽었습니다. 그런데 김대중 정권, 노무현 정권 거치면서 다들 교수도 되고 작가도 되고 언론인도 되고 사장도 되고 하면서 이젠 또 하나의 기득권 세력이 되었습니다. 그들은 이명박 정권 교체를 위해 일단 합치는 게 노동자 민중을 위한 길이라고 말합니다.
김순자 = 제가 지금 우리 나이로 예순입니다. 저만 생각하면 그런 분들의 주장에 적당히 동의하면서 무난하게 살다 가면 됩니다. 그런데 지금 젊은 사람들이나 아이들을 생각하면 절대 그럴 수가 없습니다. 유럽 사람들은 민주화를 100년쯤 해왔다고 들었습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 민주화로 가는 과정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걸 자꾸 이명박 핑계대고 되돌리면 어떻게 합니까. 어렵더라도 민주화로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규항 = 그분들은 이명박 정권 교체가 민주화라고 합니다. 심지어 ‘진보집권’이라고도 합니다.
김순자 = 민주화는 노동자 서민들이 사람 대접받고 행복하게 잘사는 사회를 만드는 거고 그런 사회로 가는 투쟁이 진보 아닙니까. 그런데 노동자 서민들을 힘들게 만든 김대중 노무현 정권으로 돌아가는 게 어떻게 민주화고 진보인가요. 그 두 정권이 민주화를 안 하고 진보를 안 해서 국민들이 너무 살기 힘들어지니까 이명박을 대통령으로 세웠던 거 아닙니까.

김규항 = 김 선생님과 그분들은 민주화에 대한 생각이 다릅니다. 그들이 생각하는 민주화는 새누리당이나 조·중·동이 아니라 자신들이 집권하는 것입니다. 물론 민주화의 본디 의미로 보면 김 선생님 생각이 맞습니다. 초등학교만 다닌 분이 많이 배운 사람들보다 훨씬 유식하시니 세상이 바뀌긴 바뀔 건가 봅니다.(웃음)
김순자 = 브라질 룰라 전 대통령이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존경받습니까. 저보다 학벌이 못하다고 초등학교 중퇴했다고 하대요.(웃음) 세상이 다양한 만큼 정치도 다양한 사람들이 하는 거라 생각합니다. 돈 많고 배운 사람들은 돈 많고 배운 사람들을 대변하고 저 같은 사람들은 서민과 노동자를 대변하는 정치를 하면 됩니다.
김규항 = 우리 정치의 문제는 보수 정치인들이 부자와 권력자를 확실하게 대변하는데 진보를 말하는 정치인들은 서민들과 노동자를 대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말씀대로 돈 많고 배운 사람들끼리 보수 진보로 편 갈라서 권력 싸움만 하죠. 얼마 전 한국에 온 스웨덴의 한 정치인이 자기네 나라 사람들은 총리나 총리실 청소노동자나 똑같이 대한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그 정치인이 스웨덴에서 보수쪽 정치인이었습니다. 물론 그 사회도 옛날엔 그렇지 않았습니다.
김순자 = 노동자들이 돈 많고 배운 사람에게 정치를 내맡기지 않고 정치의 주인이 되기 시작하면서 그렇게 변한 걸로 압니다. 우리 아이들은 꼭 그런 세상에서 살면 좋겠습니다.

김규항 = 정치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의회정치만 정치가 아니라 운동도 중요한 정치입니다. 선거 결과가 무엇이든 좋은 정치 하시길 빕니다.

2012년 3월 27일 화요일

지평선중고등학교 학교도서관

전북 김제에 있는 지평선중고등학교 학교도서관이 문을 열 준비를 착실히 하고 있다. 이 학교도서관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사진 한 장.

2012년 3월 23일 금요일

'책읽는전남'을 만들기 위하여

2012년 3월 8일 오후2시, 전라남도의 대표도서관인 전남도립도서관에서 '책읽는전남'을 만들기 위한 관계기관 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최동호 전라남도립도서관장의 초대로 1시간 가까이 '특강'이라는 형태로 저의 이야기를 풀어놓았습니다. 이 자리에는 정인화 전라남도 관광문화국장, 정영덕 전라남도의회 의원, 전라남도 문화예술과 장경희를 비롯해 전라남도 주요 기관 126개 기관의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저의 '특강'은 현재 전라남도가 내놓은 '책읽는전남을 위한 10대 시책'에 대한 '쓴소리'였는데, 마침 그 자리에 참석한 <남도진>의 에디터 박혜미 씨가 원고 형태로 정리하여 잡지에 싣겠다고 해서 "그렇게 하시라"고 했습니다. 그 글-- '전남이 걸어갈 행복의 비단길, '책읽는문화'로부터' --이 인터넷에 올라와서 여기에 옮겨놓습니다. 저의 발언은 2012년 3월 13일 광진정보도서관에서 열렸던 서울특별시장 초청 좌담회에서의 것과 그 맥락이 이어지는 것입니다.
DSC07371.500.png



최근 전남도립도서관은 ‘책 읽는 전남’을 만들기 위해 지역 대표도서관(도서관법 제 22조에 의해 설치)으로서 범 도민 운동 10대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10대 시책은 아직까지 캠페인의 성격을 띠며 지역의 민관 단체 직원 및 임직원 등을 중심으로 솔선수범 책 읽기를 시작한 단계다. 현재 전남도립도서관은 도서관 운영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인 ‘도서관 친구들’(208명)을 조직해 자료대출, 반납, 도서관 안내, 환경정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도민들의 참여를 활발히 이끌어내 지역을 대표하는 도서관으로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다. 하지만 지역 대표 도서관으로서의 위상을 갖추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도서관에 비치할 양서들을 확보하고. 사서 등의 전문 인력을 추가 배치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예산 확보가 가장 시급한 문제다. 한편, 독서율이나 도서관 이용 등에 대한 기초 조사도 병행되어야 한다. 도서관과 독서 생활에 익숙지 않은 도민들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주목할 부분은 문화적으로 척박한 전남에서 독서운동을 벌이려는 현재의 노력이 매우 의미심장하다는 점이다. 책을 통해 문화토양을 일구려는 전남의 새로운 비전.  이제 막 그 첫걸음을 뗀 상황인 만큼 도민들의 관심과 지지, 참여가 필요하다.
  

본지에서는 2012년 한 해 동안 다양하게 추진될 ‘책 읽는 도민, 행복한 전남’ 만들기 10대 시책과 관련해 지난 8일 전남도립도서관에서 열린 안찬수 사무처장(책읽는사회문화재단 소속)의 강연 내용을 자세히 수록했다. 강연자에게서 쏟아져 나온 책 이야기를 통해 앞으로 남도에서 전개될 독서운동에 대한 유익한 고민들이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책 읽는 도민, 행복한 전남’을 위한 10대 시책>


  1. 「미니책방」 -마을회관, 경로당, 부녀회관, 아파트 등 지역 공동체와 공공시설 등에 책장과 도서를 비치해 독서 환경을 조성
  2. 「거실을 서재로」- 가정의 거실에 책장을 놓고 각종 도서를 비치해 거실을 독서와 대화공간으로 변경하도록 유도. 사회단체나 유관기관 직원 가정이 가장 먼저 동참하도록 유도.
  3. 「한 권의 책」 - 투표를 통해 한 권의 책을 행복한 전남 대표도서로 선정해 올해의 책 선포식, 작가와의 만남, 북 콘서트, 독서릴레이 등을 전개
  4. 「부모와 함께 서점가기」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특별한 기념일에 부모와 함께 서점가기 운동 추진. 서점가는 날을 지정해 홍보 
  5. 「이동도서관」- 문화적 혜택을 받기 어려운 섬, 오지 등의 주민들을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 도서관이 없는 학교와 마을을 방문해 도서대출,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병원선 등을 이용한 섬 지역 방문. 
  6. 「사랑의 책 나누기」- 각 기관 및 단체, 개인으로부터 도서 기증을 받아 도서기부 문화 육성. 
  7. 「생애주기별 독서프로그램」- 모든 연령층이 참여하는 다양한 독서프로그램 운영. 북스타트(영유아들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통한 책읽기 습관 길러주기), 어린이*청소년*성인 독서교육, 찾아가는 어르신 독서프로그램 운영, 연령별 독서동아리 활성화
  8. 「독서왕 선발대회」- ‘올해의 책’ 선정해 감상문 공모. 학생과 일반부 2개 분야 선정.
  9. 「도 역점 사업 추천도서」-도민의 실생활(농업, 해양수산, 관광문화, 신재생에너지, 전략산업) 분야의 도서 선정. 해당 도서 선정의 전문성을 위해 분야별 전문가 구성 및 도서선정위원회 운영
  10. 「기관단체 임직원 책 읽기- 책 읽는 전남 만들기 범 도민운동이 조기에 정착할 수 있도록 공무원뿐만 아니라, 126개 기관* 단체의 임직원 모두가 독서를 생활화 할 수 있도록 홍보.  업무 시간 전 20분 독서하기, 독서 동아리 조직, 읽고 난 책을 부서 직원 간 돌려보기 , 직장 내 책 읽는 공간 갖기 등
------------------------------------------------------------------------------------

<전남도립도서관, 리더십 강한 함장이 되라!>



-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안찬수 사무처장 강연회-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은 정보 지식의 기반시설과 내용 확충을 통해 시민들의 정보격차 및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지난 2001년 6월 출발한 시민을 위한 시민연대 운동이다. 우리 사회를 책 읽는 문화 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9개 시민단체(대한출판문화협회ㆍ문화연대ㆍ한국작가회의민주화를 위한 교육협의회ㆍ어린이도서연구회ㆍ전국교직원노동조합ㆍ학교도서관살리기 국민연대ㆍ한국도서관협회ㆍ한국출판인협회)가 연합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오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전국적인 증설과 도서 콘텐츠 예산 확충을 정부에 요구하는 한편, 독서 및 도서관 관련 각종 정책 포럼을 개최해 오고 있다. 또한 각급 학교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 지방자치단체들과 협력해 소규모 어린이 도서관 건립 및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있다.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www.bookreader.or.kr) 홈페이지 참조)


DSC07189.JPG 


“5천년 역사 이래 책 읽는 문화를 만드는 첫자리”


   오늘 이 자리는 뜻 깊고 역사적인 자리입니다. 전남도립도서관 서비스 담당 팀장님과 식사를 하다가 우연히 일제 때 이야기를 하게 됐습니다. 일제가 한반도를 통치하던 당시에는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우리나라에 도서관을 지어주지 않았습니다. 일본인들은 비지배계급인 조선인들이 책을 읽는 것에 대해 상당히 두려워했습니다. 일본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대만에 대해서도 식민 통치를 하고 있었습니다. 최근 일본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본인들은 대만을 식민통치하면서도 한반도와는 달리 그곳엔 도서관을 지어줬다고 합니다. 당시 제국주의 일본은 한국인들의 두뇌가 명석하기 때문에 도서관을 지어줘서 읽고, 배우고 탐구하게 하면 한반도를 통치하기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고 합니다.  그로 인해 근대 도서관, 즉 공공도서관의 역사는 1850년부터 시작됐다고는 하나, 우리나라의 도서관 역사는 해방 이후에 겨우 첫 발을 내딛을 수 있었습니다.  도서관 설립 등에 대한 부분은 1990년까지 문교부 소관이었습니다. 이후 1991년부터는 문화부와 자치단체 책무사항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자치정부 1기, 2기, 3기를 각각 축약해보자면 1기 때는 도로 닦느라고 시간을 다 보냈습니다. 2기 때는 축제 기획하느라, 3기 때는 대부분 청사를 짓는 데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사업인 문화, 교육, 복지 분야의 계획들은 사실상 그 때를 놓쳤습니다. 현재 민주통합당 총선기획단장을 맡고 있는 이미경 의원께서 17대 국회가 열렸을 당시 문화관광통신위원회에 유일하게 입법 의안을 낸 것이 바로 ‘도서관법’입니다. 2004년과 2005년 도서관법이 논의될 때, 나중에 초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위원장을 하신 한상완 연세대 부총장님께서 사회를 보는데 이미경 의원이 이렇게 물었습니다. “우리나라 도서관 현실이 어떻습니까?” 그러자 한상완 부총장께서 “아프리카보다 못합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아프리카보다 못하다.. 우리가 잘 아는 주요 선진국은 말할 것도 없고 아프리카 주요국과 비교해서도 매우 낙후되어 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비단 도서관 문화의 낙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민주주의 기틀이 그만큼 튼튼하지 못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DSC06586.JPGDSC06687.JPG

“대표도서관에 관한 법률, 지난 2007년 출발”   


  시도차원의 도서관 정책을 담당할 수 있는 대표도서관에 관한 법률은 지난 2007년 4월 5일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도서관법을 통해 시행되었습니다. 제주도의 경우 한라도서관을 대표도서관으로 삼아 도서관을 지었습니다. 규모는 중급 공공도서관 정도밖에 안되지만, 법률상 대표도서관을 지정하거나 건립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개관 과정에서 제가 그곳을 직접 방문했었는데, 당시 사서 한 분이 개관을 준비하고 계셨습니다. 대표도서관이라고 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런 가운데 전라남도가 상당한 규모의 대표도서관을 건립하고, 도서관뿐만 아니라 전라남도의 유관기관 관계자 분들을 이렇게 전부 모셔놓고 ‘책 읽는 전남’을 만드는 데 머리를 맞댔습니다. 오늘 이 자리는 매우 뜻 깊은 자리입니다. 100년 뒤를 생각해보십시오. 대한민국, 그리고 전라남도에 처음으로 대표도서관을 개관하고, 그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일입니까. 전라남도가 정말 발전하려면 책 읽는 문화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대한민국 5천년 역사 이래에 첫 모임입니다.   
 
“독서문화정책은 문화, 교육, 복지 정책이자 경제정책, 국제화 정책이다”


   직설적으로 말씀드리면 현재 제시된 10대 시책만으로는 독서문화의 토대를 만들 수 없습니다. 부족한 예산 때문에 여러 모로 궁리한 것이 현재의 10대 시책일 것입니다. 하지만 책 읽는 전남을 실제로 만들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정책을 내놓아야 합니다. 10대 시책 중에서 그나마 도의 정책이라고 할 만 한 것은 세 가지 정도로 간추릴 수 있습니다. 도서관 부분, 생애주기별 독서프로그램, 기관 단체 임직원의 솔선수범 등입니다. 2007년도에 저희 단체(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와 책 읽는 도시 김해가 협약을 맺었습니다. ‘기초자치단체를 통해 책 읽는 도시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정책영역 부분을 논의하는 단계가 있었습니다. 현재 책 읽는 전남에서 내놓은 정책은 도서관과 독서문화와 관련된 정책입니다. 하지만 ‘독서’는 단순히 도서관이나 독서문화로만 한정할 수 없는 교육 정책이기도 합니다. 교육정책이기에 학교 도서관의 역할, 독서교육도 매우 중요합니다. 물론 현재 우리의 교육자치가 지방자치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지원에도 불구하고 한계를 지닙니다.  (대표도서관 건립과 효과적인 운영은)  이러한 한계를 새롭게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의 고리입니다.
 
  다음으로 독서는 복지정책이기도 합니다. 최근 생애주기별 독서프로그램인 ‘북스타트’ 등의 활동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독서가 중요한 복지 정책임을 말해줍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여러 가지 서비스 중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는 부분이 경제 정책으로서의 독서문화 정책입니다. 또한 도서관 및 독서 문화의 국제화 정책입니다. 전라남도에 있는 다양한 자치체를 국제사회와 연계해 독서문화를 확산시키려는 노력도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DSC06607.JPGDSC06673.JPGDSC06685.JPGDSC06671.JPG


“매년 국내에서 출판되는 책 5만종..

전남도립도서관, 도민들이 믿고 찾아볼 수 있도록 신뢰 줘야”


  현재 전 사회적으로 큰 착각에 빠져있습니다. ‘스마트 폰 때문에 책을 안 읽게 된다’, ‘새로운 정보는 인터넷 검색창에 다 있다’라는 인식들입니다. 이것은 엄청난 착각입니다. 오늘 이 자리에 오신, 특히 각 부문의 중요한 정책을 담당하시고 결정을 내리시는 분들은 이에 대해 뚜렷한 인식을 갖고 계셔야 합니다. 하버드 대학 도서관장인 로버트 단턴이 고등교육 잡지에 게재한 글을 요약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하버드 대학교 도서관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서관입니다. 가장 큰 도서관은 미국의 LC라는 곳입니다. 그곳엔 1억 3천만 점의 자료가 소장되어 있습니다. 그곳 다음에 방대한 자료를 소장한 곳이 바로 하버드대학 도서관입니다. 단턴은 하버드대 도서관의 도서관장이자 입니다. 그는 먼저 ‘책은 이제 끝났다’라는 인식에 대해 잘못된 생각이라고 일침을 가합니다. ‘이제 모든 것이 디지털화되는 데 종이책이 어떻게 살아남겠느냐’라는 착각에 빠진 사람들을 향해 잘못된 생각이라고 꼬집습니다. 매년 세계적으로 쏟아지고 있는 책의 양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책은 죽지 않았습니다. 그는 또 '스마트 폰 등을 활용하는 오늘날에 이르러서야 겨우 정보화시대에 진입한 것 아니냐'는 착각에 대해 언급합니다. 역사적으로 중요했던 시기들은 저마다 정보화시대였다고 말합니다. 단지 정보의 수단이 달랐을 뿐이라고 강조합니다. 


   1999년과 2000년에 국내 출판업계에 디지털 바람이 크게 불었습니다. ‘이제 종이책은 끝났다’, ‘출판도 끝났다’라고 모두들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쏟아져 나오는 책들은 5만여 종입니다. 한국은 세계 7대 출판 강국입니다. 앞으로 전남도립도서관에서는 2016년까지 8만권~ 25만권의 장서를 구비할 계획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그걸로는 부족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1년에 쏟아져 나오는 국내 자료가 5만 여 종입니다. 전라도민이라면 대한민국에서 나오는 기본 도서들을 전남도립도서관에 가면 적어도 살펴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한 든든한 믿음을 심어줘야 합니다. 따라서 더 큰 투자가 필요합니다.

“온라인상에서 수집 가능한 정보는 전체의 11%에 불과” 


  최근 청소년들은 정보에 대한 몰이해에 빠져 있습니다. 중요한 정보들이 전부 온라인상에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아닙니다. 물론 디지털라이징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여러 가지 자료들이 디지털화 되고는 있습니다. 예를 들면 구글에서 ‘구글 북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책을 디지털로 한번 만들어보자는 게 구글의 생각입니다. 그런데 현재까지 전 세계 자료 중에 디지털라이징 된 것은 약 11% 에 불과합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자료를 찾아서 특정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할 때 온라인상에서는 전체의  1/10 정도로 밖에는 찾아낼 수 없는 겁니다. 또 다른 착각은 ‘모든 자료들이 이제 디지털화되고 있는데 도서관이라는 공간이 무슨 쓸모가 있겠느냐’ 라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도서관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시대의 흐름입니다. 대한민국 유사 이래 전라남도에 도립도서관이 만들어졌다는 사실. 100년 뒤 역사를 생각하면 이는 실로 엄청난 일입니다. 현재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를 합쳐  ‘디지로그(Digilog)’라는 신조어로 부르고 있습니다. 이는 미디어가 병존한다는 사실을 의미합니다. 텔레비전이 세상에 등장했을 때 라디오는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라디오는 지금도 그 쓰임새가 다양합니다. 새로운 미디어가 나와서 기존 미디어를 완전히 대체한 경우는 인류 역사상 아직까지 없습니다. 다시 말해 미디어들은 항상 병존합니다. 


    
DSC06580.JPG DSC06609.JPG 

“보존 가치를 지닌 양서 확보하는 일이 급선무”


   도서관에 대한 큰 착각은 도서관이 건물이라고 생각하는 인식입니다. 도립도서관에 와서 보니 사찰을 지을 때 쓰이는 건축양식인 맞배지붕으로 지붕을 삼고, 건물 외벽에 훈민정음과 관련된 글자를 새겨 넣은 걸 볼 수 있었습니다. 인도 도서관의 근대 역사를 언급한 글을 살펴보면, 타고르 시인이 보리수나무 밑에서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장면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은 도서관이 건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다시 말해, 시인과 청중들이 만나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맺는 그 장면이 바로 ‘도서관’을 상징합니다. 곧 도서관은 느티나무 밑이고, 소나무 밑이며, 보리수나무 밑입니다. 도서관 건물을 잘 짓는 것보다 그 안에 어떤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현재 10대 시책 중 하나로 도민들의 도서기증운동을 추진 중이신 걸로 압니다. 일본의 사례를 들겠습니다. 고이즈미 총리가 현직에 있을 때 지역 자치단체의 통폐합 사업을 추진했답니다. 그런데 한 자치단체가 의회 논의 후 통폐합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래서 그저 작은 지자체로 남았습니다. 주민들은 자신들에게 필요한 것은 책과 도서관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통폐합에 참여하지 않아 광역 단위의 예산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결국 전국에 ‘책을 보내 달라’는 요청을 했습니다. 그리고 관련 사진이 신문지상에 보도됐습니다. 덕분에 전국에서 40만권의 책들이 모여들었습니다. 그러면 40만권이나 되는 도서들을 그들이 전부 자신들의 도서관에 그냥 넣었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주민들은 모여서 밤새 기증받은 도서들을 일일이 선별해냈습니다. 40만권 중의 몇 만권만을 모아 도서관에 비치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여러분께 말씀드리는 이유는, 기증받은 도서의 90% 이상은 도립도서관에서 영구적으로 보존할 책들이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리기 위해서입니다. 도서관하면 건물을 생각하고, 자료 모으는 일만 생각해서 궁핍한 예산을 대신하기 위한 궁여지책으로 기증 운동을 벌이는데 이것은 정도(正道)가 아닙니다. 이렇게 해서 모인 자료들이 양질의 것일 수 없습니다. 
 

“도서관, 사람과 아이디어, 사람과 자료를 결합시키는 네트워크”


  도서관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곳입니다. 사람과 아이디어, 사람과 자료를 서로 결합시켜가는 것이 도서관의 본질입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책(자료)이 채워 줄 수 있도록, 사람을 조직하는 것. 이것이 바로 도서관의 중요한 책임입니다. 지난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미국에서는 예산 확보의 어려움 때문에 여러 곳에서 ‘브랜치(branch, 분관)’를 닫자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경제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이용률을 조사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는 지역의 분관을 닫자’고 의견이 모였습니다. 결국 A라는 지역의 분관을 닫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자 A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도서관 이용률뿐만 아니라, 지역의 공공기관들의 이용률을 전부 조사해보고 나서 다시 결정하십시오”라고 외쳤습니다. 주민들은 또 “보통 기업은 변호사를 고용해 연말정산을 합니다. 변호사를 고용한다는 것은 결국 그들이 갖고 있는 고급 정보를 사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 자료는 바로 도서관에 있습니다. 그러한 정보서비스를  받으러 시민들은 도서관에 갑니다. 아이들은 또 학교에서 내준 글쓰기 숙제를 해야 하는데, 관련 자료가 도서관에 있습니다. 공공도서관과 학교가 협력해서 글쓰기 숙제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그러니 도서관을 닫으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렵게 됩니다. 이런 상황인데 어떻게 도서관을 닫습니까?”라고 주장했습니다.


   DSC06648.JPGDSC07414.JPG



“도서관을 독서실로 여기는 낡은 인식 버려야”


   우리 도서관 문화는 일제의 유산으로, 도서관이 공공서비스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독서실로만 이용해온 역사가 있습니다. 언론사 기자들이 제게 독서문화 운동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 물어옵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과거에서 비롯된 낡은 인식을 혁파해 나가는 일이 가장 어렵다고 대답합니다. 도서관을 고시공부를 하는 독서실로만 생각하는 인식들을 변화시키는 일이라고 말합니다. 지금 우리가 만들어가고 있는 도서관 문화는 지금으로부터 100년 이후의 도서관과 독서문화를 형성하는 기초입니다. 이전의 100년이 아닙니다. 그런데 정책 등의 의사 결정을 하는 분들은 머릿속에, 과거에 자신이 독서실로 삼았던 100년 전의 도서관을 담아두고 결정을 내립니다. 어느 시장님, 군수님이 자신이 고시공부를 할 때 도서관을 이용한 경험을 떠올립니다. 그리고 자신이 머릿속에 남아있는 모습을 도서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도서관은 책 한 권 없이도 가능하다고 여깁니다. 그는 고시를 통과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자신이 들고 온 육법전서만 하루 종일 보았기 때문입니다. 공공기관을 개인이 점유하는 형태로 이용해온 탓입니다. 그래서 도서관 민원에는 흔히 ‘아이들이 소란을 피워서 공부를 할 수가 없다’라는 항의들이 들어옵니다. 그러고 나면 도서관 이곳저곳에는 ‘정숙’씨를 찾는 표어가 나붙습니다. 도서관을 생활과 괴리된 공간으로 이용해오고, 독서실로 여겨온 낡은 인식들을 바꿔야 합니다. 


“도시발전 계획과 독서문화 정책 밀접하게 결합시켜야”


  ‘책 읽는 전남’의 정책과 관련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각 지자체마다 자치체 발전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발전2030, 발전 2040’ 계획 등이 있습니다. 제가 도서관과 관련된 일을 하면서 알게 된 사실입니다, 건축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전국 229개 자치체의 발전계획을 수집해 인구 통계를 산출한 적이 있습니다. 그 결과 우리나라가 2020년 무렵 자치체의 발전 계획상 인구를 합치면 총 2억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이렇듯 어떤 지자체나 단체나 발전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서란 것은 이러한 도시발전 계획과 괴리되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도시 발전계획에 독서 계획과 독서문화를 결합시켜야 합니다. 이제껏 한국의 도시발전은 토목과 직결되어 왔습니다. 건물을 짓고 도로를 내는 일을 도시발전으로 이해해 왔습니다. 이러한 생각이 도시발전을 위한 정형화된 하나의 모형으로 머릿속에 깊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주민의 요구사항에 주목하는 것입니다. 교육, 문화, 복지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를 도서관의 역할 없이는 수용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도서관이 중요한 것입니다.

  
 DSC06646.JPGDSC06694.JPG
 

“도서관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 필요 조사해야”


  제가 가본 지자체 가운데 가장 낙후된 도서관 문화의 도시를 꼽으라면 그곳은 광주와 대구입니다. 이들 지역의 특징은 선거에 출마한 정치인들이 어느 특정당의 깃발만 내걸면 다 당선된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니 정치인들은 주민들의 요구와 필요를 조사하지도 않고 듣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이들 지역의 도서관들은 낙후될 수밖에 없습니다. 전남도립도서관에서 내놓은 10대 시책은 예산 수반사업이 아닙니다. 주민들을 봉사자들로 조직하고 책 기증을 받는 것만으로는 안 됩니다. 지금 우리나라는 독서문화와 도서관 문화의 인프라를 만들어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일반 회계 예산의 2% 정도는 이 분야에 투자하겠다는 실제적인 계획이 필요합니다. 오늘 이 자리에는 도서관 관계자들뿐만 아니라 소방서에서도 참석하셨습니다. 일 년 예산을 짤 때 소방서 조직원들을 위해 전체 예산의 일부를 분배하겠다는 모색 없이는 독서 운동과 도서관 문화를 발전시킬 수 없습니다. 현재 전남도에서 내놓은 10대 시책을 살펴보면, 여러 방책은 있지만 종합적인 계획은 부재합니다. 또 기초  조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현재 전라남도 도민이 ‘얼마나 책을 읽고 있고, 도서관을 얼마나 자주 이용하며, 어떤 요구를 하고 있는지, 단체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등의 기본조사를 해야 합니다. 10년 뒤에 이러한 자료를 통해 누군가가 추가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그 토대를 만들어 놔야 합니다.


“종이 교과서 폐기, 4대 강 문제보다 더 심각”


   ‘팝콘 브레인(현실에 무감각한 뇌)’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현대인들이 오프라인상의  변화에 점점 둔감해진다는 겁니다. 온라인상의 변화에는 빨리 대응하면서도 실물에 대해서는 그들의 행동이 점점 느려지더라는 겁니다. 최근 서울 강남의 엄마들은 유치원에도 안 들어간 아이 손에 아이패드를 쥐어주고 한글을 가르칩니다. 그렇게 글자를 다 익히고 나서 아이들에게 종이책을 쥐어주면 “엄마, 왜 글자가 안 움직여?”라고 묻는다고 합니다. 지난해 대한민국 교육정책 중에 큰 변화는 ‘7.4지침’과 ‘6.29지침’입니다. ‘6.29지침’은 모든 교과서를 디지털화 하겠다는 교육부의 계획입니다. 이러한 계획은 앞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될 것입니다. 생각해보십시오. 아이들이 디지털로 아이패드로, 스마트 폰으로 공부한다는 겁니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백만이나 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종이책을 모두 없애고 디지털교과서를 제공하겠다고 선포했습니다. 저는 4대 강 문제보다 이 정책이 더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현재 디지털교과서를 개발 중이며 2015년까지 모든 학교 교과서를 종이책에서 디지털로 전환할 예정이다.
DSC07371.JPGDSC07409.JPG



“공직자들, 먼저 책 읽는 솔선수범으로 도민의 참여 이끌어내라”


   공직자들이 독서운동을 위해 먼저 보일 수 있는 솔선수범은 시민에게 ‘책을 읽어라’라고 하기 전에 내가 먼저 책을 읽는 것입니다. 독서운동은 집에서 아빠로서, 엄마로서 내가 먼저 책을 읽는 겁니다. 아이들에게 독서를 하라고 강요하지 마십시오. 먼저 읽으십시오. 주민들을 향해 독서운동하자고 외치기 전에 도지사님께서 먼저 책을 읽으셔야 합니다.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란 참 어려운 일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이끌어 내실 겁니까. 전남도립도서관 2층에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공간도 마련해 놓으신 걸로 압니다. 도립도서관 각 팀에 직원이 7명씩, 관장님까지 포함해 현재 정직원이 15명 정도 되겠군요. 이 인원만으로 어떻게 도서관을 운영하실 겁니까. 시민의 참여, 관심, 지지, 협력, 연대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지역민들의 도움을 어떻게 이끌어내고 조직할 것인가는 앞으로 도립도서관이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입니다. 언론을 이용하거나 활용하는 방식을 통해 ‘하고자 한다’가 아니라 ‘함께 하자’는 의지를 지속적으로 피력하십시오.


“시민 권력 키우는 요람, ‘도서관’”


   대한민국의 국가 인정 통계 중에 독서 관련 통계처럼 비참한 것이 없습니다. 국가통계에서 출생률은 2.0%에서 1.0%떨어지는 데 10년, 20년이 걸렸습니다. 그런데 독서관련 통계는 지난 1년 사이에 1.0%가 떨어졌습니다. 독서 문화, 도서관 문화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민주주의’이기 때문입니다.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은 지식이 권력이라는 의미입니다. 내가 많은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권력을 지니는 것이 아닙니다. 시민들이 알아야만 시민 권력이 나온다는 뜻입니다. 

  ‘리터러쉬(literacy)’라는 단어는 문헌정보학에서는 문해력(글을 읽고 쓸 줄 알며 이해하는 능력)이라는 말로 번역합니다. 저는 이 단어를 ‘시민적 소양’이라고 정의합니다. 이것은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련을 맺습니다. 단순히 문자만 알고 해독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으로서 (사회 전반에 대해) 생각하고 판단하며 의사 결정할 수 있는 시민으로서의 능력. 그 능력을 바로 도서관에서 키우는 것입니다. 

 DSC07166.JPG


“전남도립도서관, 돛단배 정책 아닌 함대 정책이 필요하다”


   전라남도에 있는 도서관과 다양한 자료들은 전라남도 도민의 것입니다. 만일 도민이 자료 검색을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관련 도서가 없다는 것을 알았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특정 도서가 목포에는 없고 전남의 다른 지역에 있다면, 도민은 도서관에 해당 도서를 신청합니다. 만일 도서 신청작 신청도서를 찾아가면 대출이 되고, 찾아가지 않으면 책이 보관되어 있는 원래의 도서관으로 자료를 돌려보냅니다. 현재 ‘책 읽는 김해’에서 활용하고 있는 방식입니다. 한 자지체 안에 존재하는 책들이 서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특정 도서관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한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책에는 여수현암도서관 관인이 찍히는 게 아니라 그냥 ‘여수도서관’이라는 관인이 찍힙니다. 한 시스템에서 한 덩어리로 책들이 움직이는 구조입니다. 전남도립도서관을 법상으로 광역시도의 도서관으로 지정해 놓은 까닭은 도 단위의 함대로서 지역의 도서관들을 어떻게 총체적으로 운영해나갈 것인가를 고민하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독서 관련 정책을 위해서 도비 예산의 몇 %를 실제적으로 편성해야 한다는 겁니다. 오늘 이 자리에는 거대한 함대가 모였습니다. 어떻게 하면 ‘책 읽는 전남’을 위해 막강한 함대가 돼서 움직일 것인가, 고민하는 자리입니다. 그런데 지금 제시해 놓은 정책은 돛단배 정책입니다. 전남도립도서관이 함장으로서 어떤 방식으로 전남이라는 거대한 함대를 이끌어 갈 것인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에디터: 박혜미

2012년 3월 20일 화요일

서삼독

한겨레 2012년 3월 16일 '신영복의 그림 사색'



‘서삼독’(書三讀)은 책을 읽을 때는 반드시 세 가지를 읽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첫째 텍스트를 읽고, 다음으로 그 필자를 읽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독자 자신을 읽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일단은 텍스트를 충실하게 읽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모든 필자는 당대의 사회역사적 토대에 발 딛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텍스트의 필자를 읽어야 합니다. 최종적으로 독자 자신을 읽어야 하는 까닭도 독자 역시 당대 사회의 문맥(文脈)에 갇혀 있기 때문입니다. 독서는 책상 위에 올라서서 더 먼 곳을 바라보는 조망입니다. 그리고 ‘저자의 죽음과 독자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끊임없는 탈주(脫走)입니다.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

북스타트 20년

March 2012














You can find out who's pledged for Bookstart 20 on our website




















Join us and celebrate 20 years of Bookstart in the UK

In 2012 we are celebrating everything that Bookstart has achieved, including the 30 million free books that we have been able to gift since the programme began in 1992.

Bookstart 20 is our year-long campaign involving VIPs, authors, celebrities and thousands of people up and down the UK who are showing their support for us by making the Bookstart 20 pledge.

The pledge is simple: to share 20 books in 2012.  You can do this personally by sharing picture books with your own children or other members of your family at bedtime; you might share books by reading to children in a school or a library, or in a crche. It’s entirely up to you.

2012 is a vital year for Bookstart as it is the last year of the current funding. The more pledges we get, the more we can demonstrate to the UK government the importance of Bookstart and the need for them to continue to fund the programme.

Make your Bookstart 20 pledge

> Find out more from Booktrust CEO Viv Bird
A new way to order Bookstart
support materials

One of the benefits of being a Bookstart affiliate is that you can order support materials, such as rhymesheets, guidance booklets, recommended booklists and more. To make this easier, we’ve produced a new order form and catalogue of available materials.

> Find out how to order support materials

To view the catalogue, you’ll need use the following details to login:
Username: International
Password: b00kstart

International affiliates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about all our international partners, from Japan to Canada, from New Zealand to Korea , on our recently-updated affiliates page on our website.

If you would like to submit any recent updates about your programme, contact our web editor at http://sea25.chol.com/webmail.html?C=write&to=andrew.harsant@booktrust.org.uk?subject=International%20update%20for%20website.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include pictures or quotes you may have from parents, partners or funders that endorse your programme.

With best wishes
The Bookstart Team

2012년 3월 17일 토요일

EB(Encyclopaedia Britannica)의 역사

1771-
The first edition of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is printed in Edinburgh, Scotland.

1826-
Britannica is bought by A & C Black, a London firm.

1899-
A version of the encyclopedia is produced in both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1932-
The new publisher, Elkan Harrison Powell, starts door-to-door sales and begins reprinting the Britannica annually.

1981-
The first digital version is created for the LexisNexis service.

Early 1990s
Britannica releases a CD-ROM version. Photos are added in 1995, and multimedia in 1997.

1993-
Encarta is introduced by Microsoft on CD-ROM

1994-
Britannica debuts the first Internet-based encyclopedia, accessible for a fee.

1995-
Following dwindling sales, the company is purchased by Jacob E. Safra, a Switzerland-based financier.

1999-
Britannica announces that access to its online encyclopedia will be offered free.

January 2001-
Wikipedia is founded, inviting anyone who visits the site to edit entries.

July 2001-
Britannica begins charging $50 a year for access to its online version at Britannica.com.

2009-
Microsoft abandons Encarta, saying it can no longer compete with Wikipedia.

2012-
After 244 years, Britannica announces it will discontinue its print version.

2012년 3월 14일 수요일

책읽는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한 5가지 제언

2012년 3월 13일(화요일) 오후3시부터 서울 광진정보도서관에서 열렸던, 박원순 시장 초청 좌담회에서의 발제문입니다. 이 발제문은 모두 33장의 프레젠테이션 파일과 연계된 것입니다만, 이 블로그에서는 원고만 올려놓습니다.
                              *사진출처: 뉴시스 임영주 기자

책읽는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한 5가지 제언

안 찬 수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사무처장)

#1. ‘책읽는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서울은 책의 수도(首都)가 될 수 있을 것인가. 오늘 우리는 이런 질문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제35대 서울특별시장인 박원순 시장이 취임하였을 때, 서울시민들은 서울시가 앞으로 크게 바뀔 것이라는 기대를 가졌습니다. 그것은 누구보다도 박원순 시장께서 ‘책의 힘(the power of books)'을 잘 알고 있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3. 시장 취임 이후, 크게 화제가 되었던 것은 온라인으로 생중계된 취임식이었습니다. 그때 전혀 달라진 시장실의 모습을 시민들은 두 눈으로 생생하게 지켜보았습니다. 집무실이 마치 책방처럼, 혹은 도서관처럼 바뀐 모습도 보았습니다.

#4. 또한 평소의 약속대로 수십 년 동안 전 세계 곳곳에서 수집한 방대한 자료 2만5천여 점을 수원시에 기증하였습니다. 그 자료 속에는 우리나라 민주화운동의 중요한 자료도 있고, 각종 변론자료, 시민사회단체 자료뿐만 아니라 미국 국립문서보관서에서 복사해온 자료도 있었습니다. 수원시 염태영 시장은 팔달구 연무동의 폐교된 연무중학교 건물을 새롭게 리모델링한 건물에 들어설 평생학습관을 통해 이 자료가 널리 이용되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5. 박원순 시장님이 선거 과정에 내건 ‘모토’는 “시민이 시장입니다”이었습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시민이 시장입니다.” 그 모토는 시민주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지난 몇 년 동안 이명박 정부 하에서 시민주권은 크게 위기에 처했습니다. 수십 년 동안 숱한 사람들이 피로써 쟁취했던 민주주의는 위기에 처했습니다.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앎에 뿌리박은 민주주의가 아니라면, 시민들이 민주시민으로서 역량을 쌓지 않는다면 언제든지 민주주의는 위기에 처해질 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우리 시민들이 촛불은 든 이유는 그런 깨달음의 표현입니다.

#6. “아는 게 힘”(Knowledge is Power)이라고 말합니다. 시민들이 알아야 시민 권력이 생깁니다.(Citizen’s Knowledge is Citizen’s Power.) 시민들이 알아야 박원순 시장님처럼 시장이 될 수 있습니다.
#7. 그런데 시민들은 여전히 무지의 상태, 맹목의 현실에 처해 있습니다. 서울시의 도서관 문화나 독서문화의 현실을 살펴보면, 이런 현실을 바꾸려고 하는 획기적인 변화의 조짐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왜 그런가?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어떤 것에서부터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가?

#8. 물론 하루아침에 서울시와 같은 ‘메트로폴리탄’을 바꾼다는 일은 쉬운 일일 수 없습니다. 지난 60여 년 동안, 서울시장으로 재임했던 분들의 이른바 ‘치적’이라는 것이 주로 토건사업, 개발사업의 것들이었습니다. 제14대 김현옥 시장(1966-1970)은 마치 1850년대 파리를 유럽 최고의 도시로 만들라는 황제의 명을 받은 조르쥬 오스만 시장처럼 박정희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온갖 재개발사업을 펼쳤습니다. 산업화된 건축물과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상징물인 아케이드를 지어대던 오스만 시장처럼 김현옥 시장도 세운상가, 낙원상가, 파고다아케이드를 지었습니다. 그런 서울시정의 뿌리가 너무나도 깊고 넓습니다. 아마도 이 ‘마몬의 시대’에 ‘뉴타운’이라는 ‘괴물’은 그런 서울시정의 정점일 것입니다. 토건과 개발이라는, 서울시정의 지금까지의 거대한 패러다임을 바꾸어내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9. 아마도 모르긴 몰라도, 서울시에는 약 3만 가지 정도의 정책의제가 있을 듯싶습니다. (주택, 일자리, 토지, 교통, 쓰레기, 경제진흥, 일자리, 복지, 기후, 환경, 공원, 녹지, 소방, 방재, 교육, 재정, 투자유치, 국제협력, 유통, 동물, 도시영농, 여성, 고령자, 창업,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직업훈련, 노사협력, 장례, 보건, 의료, 자활, 위생, 식품, 음식점 관리, 재래시장, 자전거, 지하철, 택시, 버스, 자원회수, 재활용, 청소, 재생에너지, 관광, 부동산, 도심재생, 물관리, 교량관리, 터널관리, 치수, 한옥, 조경, 광고물, 도시경관, 생활체육 등등, 등등, 굵직한 것들만 거론해도 아마 한 페이지 넘어가게 될 만큼 중요한 일들이 참 많습니다.) 서울시에 산적한 정책의제 때문인지 도서관문화 및 독서문화와 관련된 정책은 마치 그 다음, 또 그 다음 순위의 정책으로 밀리고 있는 듯합니다.
#10. 그래서 지금은 책의 힘을 잘 알고 있는 시장님의 취임에 대한 ‘희망과 기대’가 ‘우려와 실망’과 함께 교차하고 있습니다.

#11. 저는 정책 우선순위를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지금까지 서울시에는 도서관 정책다운 정책, 독서문화 정책다운 정책이 펼쳐진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서울시에는 현재 공공도서관이 시립(교육청) 22개관, 구립 91개관, 사립 7개관, 장애인 10개관 등 130개관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를 시계열적으로 늘어놓아보면, 서울시에는 ‘이제 겨우’ 도서관 인프라 확충기의 초입단계를 지나고 있을 뿐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도서관이 자치정부의 책무사항에 된 1991년 이후 거의 10년 동안 서울시의 각 자치정부는 도서관 건립에 대해서, 한마디로 지지부진, “나 몰라라” 했습니다. 그래서 2천 년대 이후 이래서야 나라꼴이 되겠느냐고 뜻있는 시민들이 결집하였던 것입니다.

“도서관도 없는 나라가 나라냐!”
“도서관도 없는 수도가 무슨 한 나라의 수도냐!”

그리고 이제 <도서관법>(2006년 전면개정, 2007년 4월 5일부터 시행)에 따라 서울시 대표도서관이 건립되고 있으며, 곧 개관할 예정입니다. 대표도서관의 개관과 운영, 이런 일은 지금까지 제34대나 거친 서울시장, 그 누구도 맡은 적이 없었던 업무입니다.

▶서울시의 도서관현실 요약
-서울의 공공도서관은 시립(교육청) 22개관, 구립 91개관, 사립 7개관, 장애인 10개관 등 130개관. (그 외에 국립 3개관, 학교복합 9개관, 학교도서관 개방 45개관을 합치면 총 187개관)
-OECD 국가권장 기준(인구 5만명 당 1개관)인 211개관 대비 63%에 불과.
-도서관 규모가 5000㎡(약 1500평) 이상은 8개관에 불과, 대부분 1000㎡(약 300평) 미만(55%)


#12. 서울시가 현재 안고 있는 도서관 문제는 한마디로 말해서 ‘총체적인 문제’ 그 자체입니다. 광역시도 가운데 거의 꼴찌에 가까운 인프라 수준, 구립도서관의 70% 이상이 민간위탁(주로 시설관리공단)되면서 드러내고 있는 난맥상, 또한 대표도서관 건립 추진 프로세스의 혼선 등, 세밀하고 꼼꼼하게 살핀다면, 서울시와 서울시의 각 자치정부는 시민들에게 야단을 맞지 않을 도리가 없을 지경입니다. 민선5기에 들어서야 조금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문제점
①서울의 공공도서관 인프라 수준은 전체 16개 광역 중 14위. 최하위 수준
②도서관 행정 이원화(시립 교육청과 구립 도서관을 통괄할 정책 기능 부재)
③구립 도서관의 약 70%가 민간위탁,
-국가 전체 740개관 중 위탁 117개관(16%) 수준
(문화부 2012년 업무보고 자료)
-서울은 구립 도서관의 70%, 인천 35%, 대구 19%, 경기 11% 순
-위탁도 주로 수익성 추구하는 시설관리공단이 대부분, 공공성 침해 우려
④대표도서관 건립 추진 프로세스의 혼선


#13. 여기에 박원순 시장께서 취임한 이후, ‘졸속’(이런 표현을 용서하시기 바랍니다)으로 만들어진 공약을 근거로 해서 생겨난 혼선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비유하자면, 이순신 장군이 한산대첩을 벌여야 하는데 함대는 내버려두고 돛단배로 왜놈들의 적선을 맞는 형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4. 함대와 돛단배? 무슨 말인가 하면, 대표도서관의 개관과 운영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확충과 운영 활성화에 무게를 실어도 될까 말까 한 현실에서 ‘우리동네 북카페 조성 및 운영지원’이 마치 박원순 시장의 도서관 정책의 알파 오메가인 것처럼 운위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공공정책의 중요한 수단일 수밖에 없는 공공도서관보다, 개관 이후 그 운영주체도 불분명한 ‘우리동네 북카페’가 정책의 우선순위에 놓일 수는 없는 것입니다. 공공도서관이 말 그대로 공공성을 강화하게 될 때, 그 공공도서관은 커뮤니티(마을공동체)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공공도서관에 대한 정책이 도서관 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2012년 예산 계획
①공공도서관 운영지원(구립 공공도서관 91개관 운영경비 및 자료구입비) 36억원,
②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구립 28개관 개관연장, 인건비, 운영비 지원) 16.5억
③구립 도서관 건립 지원
-동대문구 청소년 문화정보화 도서관 건립 지원(동대문구 답십리) 10억원
-성동문화예술회관 내 도서관 건립 10억원
-강서 등촌동 구립도서관 건립 7억4천
-서초구립반포도서관 건립 5억3천7백
-화곡동 문화복지센터 내 구립도서관 건립 8억원
-장지택지개발지구 공공도서관 건립 13억원
-금천구립시흥정보도서관 건립 13억원
④서울대표도서관 개관 준비 18.5억원
⑤서울대표도서관 건립 237.3억원
⑥우리동네 북카페 조성 및 운영 지원 25억원
-현재 서울시의 2012년 도서관 및 독서 관련 예산 계획을 검토해보면, 서울대표도서관 건립 추진, 구립도서관 건립 지원(국비+도시+구비 매칭사업), 구립도서관 운영 지원 등 다른 시․도도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예산 계획 외 ‘우리동네 북카페 조성 및 운영 지원’ 사업이 박원순 시장의 공약(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되는 것으로 되어 있음.
-이에 대해 비판은 공공도서관을 거점으로 공공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줄기를 잡아야 하는데, ‘우리동네 북카페’가 주요 정책의 중심이 되고 있음에 우려를 표명. 정책의 선후 관계의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는 판단. (2011년 11월 30일 오전7시30분 주택본부에서 열린 ‘마을공통체 T/F’ 회의 자료 참조, 총 20개 과제 가운데 9번째 과제 ‘우리동네 북카페 조성 등 독서문화진흥’ 참고)


#15. 공공도서관이 바로 마을공동체의 중심입니다. 도서관이 바로 민주주의의 훈련장이며, 시민교육, 평생교육의 장입니다. 또한 도서관은 문화와 복지의 중심입니다. 도서관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시민들의 경제생활, 경제활동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 인프라입니다.

#16.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책읽는서울’을 위해 딱 5가지만 제안하고자 합니다.

#17.(제안1) 첫 번째로, 서울시를 책의 도시, 도서관의 도시가 될 것임을 선언하고 도서관 및 독서문화 정책에 대한 강한 ‘드라이브’를 걸 것을 제안합니다.

#18. 외국 사례, 그것도 미국 사례를 들어 송구한 마음이 듭니다만,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디씨의 예는 살펴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디씨의 경우, 2006년 ‘블루 리본 T/F'가 결성되어, 모두 13개의 도서관을 새롭게 개관함으로써 디씨의 도서관을 전면적으로 변화 발전시키고자 하는 계획안이 제출된 바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다음과 같은 발언입니다. “워싱턴 디씨가 진정 자유세계의 수도라면 적어도 그에 맞는, 아니 이상적으로 이 지구상의 그 어떤 공공도서관보다 뛰어난 도서관이 필요하다” 13개관의 도서관들이 개관(일부는 역사적인 개보수 및 증축)하는 시기에 2008년 금융위기가 겹쳤음에도 이것은 계획대로 추진되었습니다. 왜 서울시의 도서관정책에서는 이런 식의 ‘원대함’ 같은 것을 눈곱만큼도 찾아볼 수 없는 것입니까?

워싱턴 디씨에서 새롭게 개관한 공공도서관들(13개관)
•Anacostia -- Opened April 2010
•Benning -- Opened April 2010
•Deanwood -- Opened June 2010
•Georgetown -- Opened October 2010 (historic renovation)
•Northwest One -- Opened December 2009
•Parklands-Turner -- Opened October 2009
•Petworth - Opened February 2011 (historic renovation)
•Takoma Park -- Opened March 2009 (historic renovation)
•Tenley-Friendship - Opened January 2011
•Watha T. Daniel/Shaw -- Opened August 2010
•Francis Gregory -- Opening Winter 2011
•Mt. Pleasant -- Opening Fall 2011 (historic renovation and addition)
Washington-Highlands -- Opening Winter 2011


#19.(제안2)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대대적인 공공도서관 확충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20. 누군가는 이렇게 말하는 이도 있습니다. 아니 지금도 공공도서관이 많은데 얼마나 더 지어야 한다는 말이냐? 앞서 워싱턴 디씨의 예를 들었기에 계속해서 인용한다면, 디씨의 인구는 불과 약 60만밖에 안됩니다. 그들은 애틀란타, 볼티모어, 보스턴, 시애틀과 인구가 비슷하다고 하면서 서로 경쟁적으로 도서관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서울의 1개 자치구 평균 인구는 약 42만 명, 현재 1차지구 평균 공공도서관은 5개관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단순 비교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이 없겠지만, 그래도 무식하게 산술적으로 비교한다면 1/5 수준인 것입니다.

#21. 디씨의 13개 신규 도서관 가운데 2010년 8월 2일 개관한 쇼 도서관(Watha-T-Daniel-Shaw library, 아드리안 펜티 시장이 개관식이 참석해서 아이들과 지역주민들과 함께 기뻐하는 모습)의 열람실 벽면에는 지역주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얼굴을 큰 사진으로 만들어 전시해 놓고 있었는데, 바로 이것은 도서관의 주인이 지역주민이고, 지역주민들의 평범하지만 위대한 인간성이 도시 발전의 밑거름임을 분명하게 드러내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22.(제안3) 서울 대표도서관의 건립과 운영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대표도서관은 도서관법 제23조에 의거하여 ①시도 단위의 종합적인 도서관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및 제공 ②지역의 각종 도서관 지원 및 협력사업 수행 ③도서관 업무에 관한 조사·연구 ④지역의 도서관자료수집 지원 및 다른 도서관으로부터 이관받은 도서관자료의 보존 ⑤국립중앙도서관의 도서관자료 수집활동 및 도서관 협력사업 등 지원 ⑥ 그 밖에 지역대표도서관으로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음.
-2012년 1월 4일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2호’인 <대표도서관 개관준비 기본계획>에 따르면, 오세훈 시장 체제 하의 건립 및 운영 계획보다는 ‘향상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예를 들어 인력 구성을 60명까지 고려, 공공도서관 기본 장서 외에 서울학 자료와 희귀본 장서를 구성하려는 계획(시 자료관 이관 12만8천여권+신규구입 2만여권+자치구 발간자료/ 지상 서비스 공간에는 약 5만여권 배가할 계획), 또한 장서를 기반으로 하여 독서 및 민주시민 교육, 인문학 집중 탐구 등의 사업을 전개하려는 것을 권장할 만한 일임.
-다만, 옛 서울시청사의 위치와 그 랜드마크의 성격 등을 고려할 때 ‘좀더 적극적으로’ 대표도서관 건립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23. 앞으로 지어지게 될 서울시 대표도서관의 모습입니다.

-<도서관법> 제22조 ‘대표도서관의 설립’ 의무 규정에 의거하여 옛 서울시청사 건물에 ①규모 지상1-4층, 지하 3-4층 연면적 13,366㎡(약 4050평)의 서울 대표도서관을 건립 추진 중임. ②사업기간 2008년 3월부터 2012년 5월, ③개관은 2012년 8월 예정. ④건축비는 구청사 전체 641억원, 이 가운데 대표도서관은 465억원. ⑤2012년 집행 예산은 237.3억원 ⑥지난해 시민 공모를 통해 이름을 ‘서울도서관’으로 정함.


#24. 서울시 대표도서관의 개관 이후를 생각해볼 때, 다른 무엇보다도 ‘사람’의 문제가 가장 중요합니다. 이 표는 서울시정개발연구원(책임연구원 조권중 박사)이 2008년도에 <서울 대표도서관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에서 제안한 조직표입니다. 저는 박원순 시장께서 서울시 대표도서관에 ‘제대로’ 된 사람을 ‘제대로’ 뽑아서, ‘제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주실 것을 요구합니다.

■지방이사관 급의 관장과 대표도서관 T/O를 확보해야
-대표도서관 개관을 계기로 “박원순 시장은 책과 독서와 도서관의 시장이다”를 표방하고 그 정책을 시민들에게 공개할 필요가 있음.
-대표도서관 인력 확보 문제가 관건: 인력은 현재 대표도서관건립추진반을 확대 운영하여 개관단계에 서울도서관사업소를 조직할 계획임.(대표도서관건립추진반 12명+서울시종합자료관 통합 7명 +신규충원 41명 등 60명) 이 가운데 관장(개방형3호, 3급상당 계약직, 국장급) T/O 확보가 변수
cf. 광역자치제 소속의 도서관이 대표도서관이 된 대전, 인천, 광주, 제주의 경우 지방서기관(4급)이 관장, 전북의 경우에는 지방부이사관(4급). 현재 교육청 소속 도서관인 정독도서관의 관장은 지방이사관(3급)임.
-인력 확보를 위해서는 ①행정안전부 승인 절차를 밟아야 하며, 서울시의 정원 조례를 개정해야 함. ②<서울특별시 도서관 및 독서문화진흥조례>를 개정하여, 대표도서관 운영에 관한 조문을 정비해야 함--관장 및 직원의 사무, 대표도서관 운영위 구성 및 기능, 대표도서관 운영 문제
-서울시의 도서관문제를 걱정하는 시민들의 우려 섞인 의견은 “아마도 행정안전부에 T/O 확보를 타진하다가 여의치 않으면 행정안전부를 탓하며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음.


#25. 이것은 워싱턴 디씨의 대표도서관인 마틴 루터 킹 도서관(Martin Luther King Library)의 모습입니다.

#26. 이 도서관의 혁신안을 초기 제안안 ULI은 제안서의 끝부분에서 이렇게 묻고 있습니다. “이 도서관은 여러분의 세계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박원순 시장님이나 오늘 이 자리에 모인 모든 서울시민들은 꿈이 있지 않습니까? 위 해브 어 드림!(We have a dream!). 그래서 저는 이렇게 묻고 싶습니다. 서울시의 새로운 도서관 및 독서문화는 서울시민의 삶을 어떻게 바꾸게 될 것인가? 서울시 대표도서관은 서울시민의 삶을 어떻게 바꾸어놓을 것인가?

#27.(제안4) 북스타트 등 시민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독서문화 진흥 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해야 합니다.

#28. 공공도서관 운영 지원 예산처럼, 서울시가 북스타트 지원 예산을 확보하여 25개 자치구와 협력하여 서울시의 약 9만3천여 신생아를 대상으로 전면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신생아 1인당 예산 1만5천원으로 계산할 때 10만명을 대상으로 하면 15억원이면 됨. 서울시 예산 총계 규모 20조2304억원의 약 0.007%에 불과합니다.

-도서관 및 보건소 등을 거점으로 시행되는 ‘북스타트’는 사회적인 육아 지원운동으로서 해당 기관의 공공성 강화에 기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문화 생산에 참여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고 있음.
-현재 서울은 강서구(강서도서관) 관악구(관악문화관도서관) 금천구(금천구립정보도서관, 금나래아트홀도서관) 노원구(공릉청소년문화정보센터) 마포구(성메작은도서관) 서대문구(천연동자치회관, 홍은2동 주민자치센터) 서초구(서초구보건소) 성북구(아리랑정보도서관), 송파구(송파어린이도서관) 종로구(종로구청) 중구(중구보건소) 중랑구(중랑구북스타트위원회) 등 25개 자치구 중 12개 자치구, 14개 시행시관에서만 북스타트를 시행하고 있을 뿐임.
-2011년 11월 현재 북스타트 꾸러미 배포 현황은 6,755명(3~18개월 북스타트 단계 3,692명+ 19~35개월 플러스 1,494명+ 36개월~취학전 보물상자 1,569명)으로 2010년 출생인구 93,268명의 약 4%(꾸러미 전체는 7%)에 불과
-전국적으로는 229개 지자체 중 126개 지자체가 북스타트 시행(55%), 10만5천명에게 꾸러미 전달, 전체 신생아 숫자의 약 23%.
cf: 2011. 9월말 기준 전체 인구 5068만 1829명(서울시 1027만 1880명) 신생아 2005년 43만8062명 출생(합계출산율 1.08명)의 약 23%


#29.(제안5) 시민적 소양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각종 시민인문학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실천해야 합니다.

-서울시는 각종 국가적 문화인프라가 집중되어 있는 곳이나 시민들의 참여와 봉사 수준, 시민 상호 간의 신뢰 수준은 낮음, 즉 사회자본(social capital)은 빈곤
-‘낮은 곳으로 임하는 인문학’ ‘희망의 인문학’을 통하여 시민적 자질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각종 시민인문학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실천하여야 할 것임.
서울북페스티벌(2008년부터)을 새롭게 검토하여 ‘시민인문학 잔치’로, 작가와의 만남을 상시화하는 방안 고려, 시민이 주인 되는 축제로
-서울북페스티벌에 대해서는 매년 문화부의 책축제/마포의 와우북페스티벌 등과의 중복성 문제와 보여주기 식 행사에 대한 문제제기가 문화단체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음.
■서울문화재단의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사업’의 업그레이드: 시민인문학적 내용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과 연계 협력하여, 각급 학교 신입생에게 책꾸러미를 선물하고 교사 독서동아리, 학부모 교육, 학부모 독서동아리 지원, 워크숍과 연수를 시행하는 ‘책날개 사업’을 추진하도록--학교 연계 독서운동의 전개
■‘사회적 독서토론’(책읽는사회문화재단의 시민인문학)과 ‘독서대학 르네21’(한국출판인회의+성공회사회교육원(준)이 공동추진하는 희망의 인문학, 청소년독서학교, 인문강좌 등) ‘경희대 실천인문학센터’(노숙자 및 재소자 등 독서 소외계층을 위한 클레멘트 코스) 등의 사업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책 확대 강구


#30. 끝으로 한 말씀만 더 덧붙이고자 합니다. 서울이 ‘한양’이었을 때, 이 도시를 처음 구상했던 이들은 매우 ‘이념적’이었습니다. 서울은 그냥 서울이 아니었습니다. 서울은 정교한 유교적 이념과 함께 우리 고유의 국토와 지리에 대한 생태적 관점인 풍수가 어우러진 도시였습니다. 단적으로 우리나라 대부분의 하천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흘러가는 데 비해 서울의 청계천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갑니다. 홍수조절이 ‘자연적으로’ 가능하도록 고려된 것입니다. 이것이 과학이고 생태가 아니면 무엇이겠습니까?

#31. 그러한 고도의 인문과학과 자연과학, 사회과학이 어우러진 도시가 오로지 땅값과 집값으로만 따져왔던 시대를 견뎌왔습니다. 이제는 달라져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박원순 시장의 당선과 취임은 서울시정의 커다란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요구, 그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32. 도시계획학자인 김진애 의원은 서울을 W모양의 한강과 내사산(內四山), 외사산(外四山), 그리고 동그란 모양의 구도심과 격자형 구조의 강남, 그리고 달동네들, 주요 간선도로와 외곽순환도로를 그려 넣음으로써 서울을 한눈에 조감하는 통찰력을 보여준 바 있습니다.

#33. 제35대 박원순 시장 체제 하의 서울시정. 복잡다단한 일의 핵심을 간추리는 일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핵심에 도서관이 있고, 독서문화가 있습니다. 서울은 책의 수도가 되어야 하며, 서울은 서울에 걸맞는 도서관의 도시가 되어야 합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12년 3월 7일 수요일

정재은 감독이 직접 밝히는 <말하는 건축가> 제작 풀스토리

스투닷컴 2012년 3월 5일자 인터넷판, 정재은 감독이 직접 밝히는 <말하는 건축가> 제작 풀스토리를 여기에 옮겨놓는다. 

정재은 감독이 직접 밝히는 <말하는 건축가> 제작 풀스토리 ①
정재은 감독이 직접 밝히는 <말하는 건축가> 제작 풀스토리 ②

[맥스무비=<말하는 건축가> 연출 정재은 감독] <말하는 건축가>는 건축과 건축가를 다룬 한국 최초의 극장용 건축 다큐멘터리인 동시에 죽음을 앞둔 한 인간을 다룬 휴먼 다큐멘터리이다. 영화는 대장암 판정을 받은 정기용의 마지막 1년 여의 시간을 함께 하면서, 죽음을 현실적으로 대면하며 살아가는 한 인간의 의연한 태도를 담는다. <고양이를 부탁해> <태풍태양>의 정재은 감독이 오랫동안 국내 건축문화의 중심부에서 활동해온 정기용과의 첫 만남부터 다큐멘터리를 만들면서 일어났던 일들을 글로 옮겼다. (정재은 감독의 의도를 훼손하지 않기 위해 원문 그대로 올린다.)
첫 만남_ 나는 오랫동안 건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간 내 영화에도 건축이나 도시 공간은 하나의 중요한 모티프였다. 2009년 서울에서 열린 건축영화제에서 영화를 보면서 건축 다큐멘터리를 만들어보고 싶다고 생각하던 가운데, 주인공이 있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어떤 사람을 접촉할까 알아보던 중 정기용 선생님을 추천 받고 그의 책인 <감응의 건축>을 읽은 뒤 무주 프로젝트를 둘러보러 갔다. 무주의 공공건축은 그간 내가 생각했던 건축과 매우 달랐다. 대개 멋있고 화려한 빌딩을 짓거나 유니크한 공간을 만드는 것을 건축이라 생각하기 마련이지만, 그의 작업은 좀 평범하고 보잘것없었다. 대체 이 건축가는 왜 이런 일을 그토록 열심히 했는가. 그를 만나보고 싶었다.

2009년 12월 말 처음 정기용 선생님을 만났다. 안국동의 선생님 단골집에 밥을 먹으러 가서 “이런저런 이유로 당신을 주인공으로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내가 건축에 관심이 많고 건축가에 대한 다큐를 찍어보고 싶고 무주도 다녀왔는데 영화로 찍으면 재미있을 것 같다고 얘기했다. 선생님은 한참 듣더니 이렇게 말했다. “그러면 네가 계속 그림자처럼 나를 따라다니는 것이냐, 그것 참 재미있겠다.” 그러면서 쉽게 오케이를 하셨다. 정기용 선생님은 어떤 기회든 건축가의 삶과 생각을 대중들과 일반인에게 전할 기회가 되면 마다 않고 실천하던 사람이었다. 덕분에 어렵지 않게 취재가 시작되었다. 두세 달 정도 매주 수요일에 선생님의 회사인 ‘기용건축’에 놀러 갔다. 선생님을 만나면 인터뷰를 시작했다. 한번에 한두 시간 정도 살아온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건축 경험도 이야기하고 했다.

어떤 소재와 주제로 영화의 이야기를 풀어나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건축 프로젝트를 택하고 싶었다. 한 사람의 건축가는 어떻게 하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건축을 완성해 나가는가? 처음 접한 것은 소격동 한옥 프로젝트였다. 오래된 소격동의 한옥을 리모델링하고 새로 재건축하는 작업에 정기용 선생님이 참여하게 되었다. 영화의 초반부에 나오는 조성룡 건축가와 정기용 선생님의 산책 장면이 바로 그 시기에 촬영한 것이다. 한데 두 번 정도 촬영했을 때 선생님이 말했다. “여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분관이 들어오는 자리 옆인데, 그러면 땅의 조건과 상황이 많이 바뀔 것이다. 그 이후에 이 한옥을 어떤 집으로 만들 것인가를 결정해도 될 거다.” 그러면서 이 프로젝트가 연기되었다. 애초의 내 의도대로 작품을 찍어나갈 수 없는 상황이 되었지만, 나와 선생님의 만남은 계속되었다.

기용건축_ 서울 삼청동의 한 건물에 ‘조성룡도시건축’과 ‘기용건축’이 나란히 세 들어 있다. 기용건축은 우리나라에서도 보기 드문 설계사무소다. 적게는 10년, 많게는 30년씩 선생님과 오랫동안 함께 일해온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기용건축을 유지하고 있다. 기용건축은 일반적인 커다란 설계사무소가 아니라 아뜰리에 스튜디오인 만큼 정기용 선생님을 중심으로 그의 건축세계를 흠모하는 젊은 친구들이 작업을 하고 있었다. 직원은 10여 명 정도였다. 정기용 선생님의 제자이면서 30년 가까이 함께 일해온 김병옥 소장(영화 속 대전청사 설계경기 작업 영상 자료에도 김병옥 소장이 등장한다), 무주 프로젝트만 십여 년 했던 한동훈 실장 등이 선생님의 팔다리가 되어 움직이고 있었다. 내가 그곳을 방문했을 때 서울 구로구 항동 아파트 프로젝트, 김해 기적의 도서관, 그리고 김해 故 노무현 대통령 추모관 등의 작업이 진행되는 중이었다.

기용건축에서 인상적인 것은 방대한 자료들이었다. 기용건축 지하 창고에 선생님이 1970년대부터 수십 년 동안 모아왔던 자료, 건축 도면, 사회 활동에 대한 보고서, 스케치 등이 가득 쌓여 있었다. 그 가운데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을 선별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아직까지도 정리가 안 되어 있다. 일민미술관의 정기용 건축전 이후, 지금은 국립현대미술관이 이 자료들을 아카이빙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최초로 건축 아카이빙 대상으로 선정한 건축가가 바로 정기용이다.

사실 나는 극영화만 만들다가 다큐멘터리 작업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시작 단계에서는 무엇을 찍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이 없었다. 처음에는 정말 중요한 것이 아니면 찍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너무 촬영을 많이 못했다. 독립 다큐멘터리로 시작한 만큼 제작비가 없고 카메라를 아무리 싸게 빌려도 진행비에 부담이 있었기 때문에 최대한 촬영을 많이 안 하면서 중요한 이벤트 중심으로 영화를 찍어나갔다. 2010년 초여름까지만 해도 영화의 메인 플롯이 잡히지 않았다. 그렇게 시간이 흘렀다.

무주_ 2010년 봄, 선생님이 부산시 공무원과 함께 무주 공공 프로젝트를 답사하는 프로그램에 가신다고 해서 함께 촬영을 갔다. 무주에 온 부산 공무원들을 선생님이 안내하는 과정을 찍었다. 그때 선생님은 건축가에게 아무런 상의도 없이 설치된 안성면 사무소 태양열 집열판을 처음 발견하고 웃고 말았다. 하지만 등나무 운동장에도 태양열 집열판이 설치된 것을 보고는 격렬하게 화를 냈다. 그리고는 이후 답사 스케줄을 모두 접었다. 당시 나와 선생님의 관계가 많이 진전되었기 때문에 선생님한테 “화를 필요 이상으로 내시는 거 아니냐. 사람들도 많은데 그렇게 화를 내면 같이 간 사람들이 민망해 하지 않느냐”고 물어봤다. 선생님께서 한참 생각하시더니 “그렇지. 아직은 이런 걸로 화를 내면 안 되지”라고 답했다. 몇 군데를 더 돌아다니셨지만 기분이 안 좋아 보이셨다.

이 일은 인간이 자기의 화를 사람들 앞에 격렬하게 표현한다는 것에 대한 나의 시각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내가 생각하는 사회적 맥락에서는 누군가 화가 나더라도 이를 감추어야 하는 것이 마땅했는데, 돌이켜보면 그런 반응은 선생님의 멋있는 점이 아닌가 한다. 인간이 화를 내고 분노한다는 것, 정확히 자기의 감정을 표현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우리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래도 그만 저래도 그만인데, 그렇게 화를 낸다는 것은 참을 수 없을 만큼 화가 나있다는 뜻이기도 하고, 그만큼 자기가 한 것들에 대한 사랑과 애정이 깊다는 뜻이기도 하다. 격렬하게 자신의 감정과 분노를 표현하는 것이야말로 선생님이 가진 가장 중요한 면모였다는 생각이 든다. 화를 내는 게 멋있을 수도 있다.

당시 부산시 공무원들의 답사에서는 무주 추모의 집, 부남면 천문대, 향토박물관 등을 함께 돌아보았다. 화가 많이 나신 선생님을 보내고 나서 따로 찍은 것이 있다. 개인적으로 무주 프로젝트에서 제일 좋았던 것은 ‘추모의 집’이었다. 이곳은 산꼭대기에 있는 납골당인데, 좀더 높이 올라가서 보면 한국의 산하와 자연을 전혀 거스르지 않고 있는 듯 없는 듯 존재한다는 느낌이었다. 선생님이 그 지역의 인삼밭을 모티브로 해서 마감한 지붕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선택이었다. 나는 어디든 좋아하는 공간에 가면 시나리오를 쓰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데, 추모의 집에서 바로 그런 느낌이었다. 누군가를 추모하기 위해 온 사람들에게 따뜻한 휴식과 마음의 안정을 주는 공간. ‘추모의 집’이야말로 선생님을 많이 표현해줄 수 있는 공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실상사_ 2010년 초여름 어느 날 선생님이 촬영을 그만하면 어떻겠느냐고 얘기했다. 왜 그러시냐고 했더니 “너무 건강이 안 좋다, 대장암 수술을 한 지 5년이 되었는데, 보통 환자들은 5년째에 완쾌하거나 병이 더 깊어지는데 내 상태가 더 안 좋아질 수도 있다. 영화를 같이 하다가 상태가 더 나빠지면 어떻게 하냐, 그만하면 어떠냐”고 했다. 그때 난 “그것까지도 염두에 두고 있어요”라고 얘기했다. “선생님의 건강이 더 나빠질 수도 있지만 그것도 영화의 과정이고 만일 영화가 완성된다면 그것도 포용해서 영화를 찍고 싶다”고 말씀 드렸다.

그러자 선생님은 지리산 실상사를 리모델링하기로 했는데 그걸 찍어보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그래서 실상사를 취재하고 불교 건축에 대해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왜 사찰 건축은 현대화가 되지 않았는가. 절이라는 게 결국 일반 대중들에게 어떤 공간이 되어야 하는가를 공부하면서 실상사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실상사에서는 ‘100년 내다보는 불사(불교건축을 불사라고 한다)를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늘 세미나가 열렸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김봉렬 교수, 조성룡 건축가, 불교건축의 거두들이 세미나를 계속하면서 몇 개월을 세미나만 계속 찍었다. 이래서야 언제 건축 다큐멘터리를 만드나 회의에 빠져 있었는데, 잊을 수 없는 일이었다.

 기적의 도서관_ 그 즈음 일민미술관에서 선생님에게 건축전을 제안했다. 선생님은 나에게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실상사 세미나 촬영에 다소 지쳐 있었던 나는 “좀 찍을 게 생기네요”라고 답했다. 그리고 나서 전시회 준비 과정을 찍기 시작했다. 선생님은 “그간의 건축전이 다소 딱딱하고 일반인이 알지 못하는 개념들만 나열했던 게 안타깝다. 전시 공간이 어떻게 쓰이는지, 좀더 대중적으로 다가가기를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나에게 건축전에 사용할 영상을 만들어달라고 제안을 하셨다. 그래서 기적의 도서관을 찍겠다고 했다.

전국의 기적의 도서관 6개를 2주에 걸쳐서 촬영을 하러 다녔다.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시점이었다. 먼저 정읍, 순천, 진해, 김해에 갔고, 맨 마지막에 제주와 서귀포에 갔다. 촬영을 다니면서 기적의 도서관이 참 찍기 어려운 곳이라는 생각을 했다. 도서관 건물 하나에 공간들이 너무 다채롭게 구성되어 있었다. 밖에서 볼 때는 뭔지 상상하기 어렵지만, 내부를 들여다보면 매우 아기자기 했다. 아이들이 곳곳에 숨어서 책을 볼 수 있도록 여러 가지를 배려한 흔적이 있었다. 기적의 도서관 촬영을 다니면서 아이들이 조용히 책을 읽는 모습에 감동을 받았다. 고작 대여섯 살 되는 아이들이 혼자 와서 책을 빌려서 편하게 양말을 벗고 눕거나 의자에 앉아 책을 읽는 게 아닌가. 도서관이라는 게 이런 공간일 수 있구나. 칸막이를 사이에 둔 책상의 나열이 아니라, 아이들이 마음껏 책을 꺼내볼 수 있도록 하고, 또 아이들과 엄마들을 위한 배려가 반영된 이 공간이 무척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기용이 시민단체인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책사회)’과 함께 만든 전국의 기적의 도서관들은 나에게 건축이 어떻게 사람들의 모습과 일상을 바꿀 수 있는지 보여 주었다.

건축가의 집_ 선생님이 쓴 글 중에 ‘나의 집은 백만 평’이라는 제목의 글이 있다. <건축가는 어떤 집에서 살까>(2005)라는 단행본에 수록된 글이다. 현재 활발히 활동하는 십여 명의 건축가들이 자기가 살고 있는 집에 대해서 설명한 글을 모은 책이다. 다른 건축가들은 자기가 사는 집, 지은 집에 대해 꽤 멋있게 설명을 해놓았다. 그 글들을 읽으며 ‘건축가들은 다 이런 집에 사는구나’ 했다. 한데 정기용 선생님은 전혀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나의 집은 백만 평’이라는 제목 그대로, 집은 단지 물리적인 집이 아니라 내가 살아가는 생활 반경 모두가 내 집이라는 관점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내가 산책하는 곳, 내가 집에 들어올 때 걸어가는 골목, 이 모든 것이 나의 집이다, 집을 이렇게 확장해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작은 연립 빌라에 단촐한 방 한 칸의 사진이 실려 있었다. 그 글을 통해 선생님이 어떤 집에 사는지를 이미 알고 있었다.

일민미술관 건축전_ 일민미술관 건축전 준비 과정에서는 정기용 선생님과 전시 준비팀이 회의하는 모습을 많이 찍었다. 일민미술관과의 첫 회의 자리, 전시를 기획한 강성원 큐레이터가 등장했을 때 제작진은 쾌재를 불렀다. 드디어 영화에 갈등이 시작되고 악역이 나타난 것 같았다. 다른 사람들이 대부분 정기용 선생님을 경청했던 반면, 강성원 큐레이터는 선생님의 말을 잘랐다. 강 큐레이터는 정기용 선생님에 대한 애정이 깊은 만큼 전시회를 제안했지만, 선생님의 이야기를 과감히 자르거나 안 되는 건 안 된다고 말했기 때문에 선생님을 통제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었다. 정기용 선생님과 강성원 큐레이터의 갈등, 전시를 준비하는 작가와 큐레이터라면 어디서나 생길 수 있는 보편적인 갈등의 축이 형성되었다.

첫 번째 갈등은 전시 규모와 관련된 것이었다. 애초 일민에서는 선생님의 스케치만 가지고 2층 공간 한 층 정도로만 전시를 하는 것을 제안했었다. 결국 전시 내용을 정리하면서 미술관의 1-3층 전시 공간 모두를 망라하는, 일민 측에서도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로 내용이 확장되었다. 이어 각 층에 선생님의 작업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무주 프로젝트와 기적의 도서관을 각각 한 파트로 다루고, 관련 영상과 흙담도 설치하며, 나무와 돌 등 선생님의 수집품도 전시할 수 있게 되었다. 어느덧 이 전시는 건축가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정기용 선생님의 회고전 형식으로 변화되었다. 전시 과정에서 정기용 선생님은 모든 것을 다 넣기를 원했고 꼭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과 사무실에서 온 어마어마한 자료 가운데 큐레이터가 선별하는 게 어려웠던 전시였다.

두 번째 갈등은 전시 구역 중 서울관을 폐쇄하는 문제였다. 정기용 선생님은 오랫동안 도시 문제에 대해 많은 글을 쓰고, 사대문 안의 ‘문화도시 서울’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서울의 새로운 모습을 구상했다. 이러한 선생님의 작업은 하나의 파트를 이뤄 애초 전시 내용에 포함되어 있었다. 전시 공간에 서울관을 따로 만들어 사대문을 실제로 구현하고, 그 안에 문화도시에 대한 선생님의 구상을 설치하는 작업을 하기로 결정이 되어 있었다. 하지만 예산도 많이 들고 선생님이 구체적인 아트웍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그사이 선생님의 건강은 몹시 안 좋아지셨고 계속 입원과 퇴원을 오가며 치료를 받는 중이었기에 쉽지 않았다. 결국 일민 측은 서울관 폐쇄를 주장했고, 선생님은 무척 아쉬워했다.

전시 오프닝 행사에서 가장 감동적인 순간은 정기용 선생님의 강연이었다. 오프닝 마지막 순서로 약 30분 정도 선생님의 마지막 대중 강연이 있었다. 사람들은 정기용 선생님의 수척하고 야윈 모습에 너무 충격을 받았다. 때문에 강연의 분위기는 숙연했고 많은 이들이 울면서 강연을 들었다. “문제도 이 땅에 있고 해법도 이 땅과 이 땅의 사람들에게 있다.” 선생님은 자신이 평생 이야기해왔던 것을 다시 한번 요약해 청중들에게 들려주었다. 한국에서 왜 건축가들이 이렇게 무시 당하는가, 왜 한국에서는 건축이 문화가 아니고 건설 토목인가, 우리가 이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을 온 힘을 다해 역설했다.

자두나무집_ 일민미술관 전시회 오프닝이 있기 얼마 전, 선생님과 함께 춘천 자두나무집에 다녀왔다. 나는 선생님이 설계한 건물 가운데 꼭 다시 한번 가보고 싶어하시는 곳을 촬영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자 얼마 후 선생님이 자두나무집에 갈 일이 생겼다고 했다. 완공된 지 10년이 지난 집을 고칠 일이 생겨서 건축주가 선생님한테 연락을 해왔다. 그 집의 주인은 정상명 화가다. 평범한 가정주부이자 화가였던 그는 딸을 잃은 뒤 생명 평화 운동을 하게 되었다. 정기용 선생님은 자신의 건축 중 자두나무집을 가장 좋아하고, 꼭 다시 가보고 싶다고 했다. 집을 멋있게 지었기 때문에 좋아했던 건 아니고, 주인이 좋은 사람이고 소통이 잘 되는 사람이어서 좋아했던 것 같다.

그날 날씨가 정말 좋았다. 완연한 늦가을이었다. 출발할 때 선생님은 다소 지친 상태였다. 그러나 자두나무집에 도착하자 기분이 좋아지셨다. 날씨도 좋고 주인도 집을 예쁘게 관리했고 자연도 햇빛도 너무 좋았다. 선생님은 거실에서 보면 논이 사계절 바뀌는 풍경이 되기를 원해 만든 집이라고 했다. 대부분의 건축가들이 그렇듯 선생님도 누군가의 집을 설계할 때 자신이 살고 싶은 집을 꿈꾸며 설계했을 거다. 선생님은 황금빛 들판을 상상하긴 했지만 막상 그걸 직접 본 것은 처음이라며 굉장히 행복해하셨다. “내가 이 집에서 몇 달 만 쉴 수 있다면 병이 다 나을 텐데.” ‘나의 집은 백만 평’이라며 의식적으로는 자유로웠지만, 정작 선생님은 자신의 몸을 누일 편안한 곳이 필요했는지도 모른다. 자두나무집을 보며 그런 생각이 들었다. 타인들을 위해 집을 지었지만 정작 자신을 위한 집을 짓는 건축가는 얼마나 될까? 소박하지만 아름다운 자두나무집을 보며 사실은 정기용이 굉장히 숨어있고 싶어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 봄나들이_ 2011년 초, 일민미술관 전시를 마치고 선생님 건강이 더 안 좋아졌다. 나는 선생님이 돌아가실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고, 빨리 편집을 해서 선생님께 보여드리고 싶었다. 매일 8-10시간씩 편집에 매달렸다. 타계 1주일 전인 2011년 3월 5일. 선생님이 갑자기 기용건축 직원들을 불러 모으셨다. “내가 오늘 기용건축 직원들과 함께 갈 데가 있다.” 선생님이 갑자기 봄나들이를 가고 싶어했고, 기용건축 직원들에게 할 말이 있다고 했다. 병원에서는 더 이상 치료를 할 수 없다고 했고, 명륜동 집에서 죽음의 날을 기다리고 있던 중이었다. 앰뷸런스를 대절해서 경기도 광주 아천동으로 갔다. 나는 그때 촬영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고 촬영자를 섭외할 시간도 없었다. 결국 가지고 있었던 아이폰으로 촬영한 것이 영화에 쓰이게 되었다. 유독 봄을 좋아하셨던 정기용 선생님다운 나들이였다. 이 장면을 촬영하며 나는 세상에 과연 이런 장면을 창조할 수 있는 캐릭터가 또 있을까 하는 생각했다. 이 장면이야말로 진정 내가 쓸 수 없는 이 다큐멘터리의 주인공 정기용만이 창조할 수 있는 장면이구나 라고.

누가 수십 년간 함께 일한 직원들을 이끌고 침상에 누워 하늘과 바람과 나무에 고마움을 표할 수 있을까? 아마도 이건 건축가 정기용이 우리모두에게 남기는 메시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즈음 나는 영화에 내레이션을 쓸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질문을 하고 있었다. 내가 직접 화자가 되는 건 안 좋겠다고 생각해서 최대한 해설 없이, 감독의 주관을 너무 드러내지 않고 그의 삶을 지켜보는 영화를 만들자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건축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이 사람에 대한 해설을 해줘야겠다고 생각해서 인터뷰 촬영을 하고 있었다. 3월 11일 건축비평가를 인터뷰 하던 도중에 선생님께서 돌아가셨다는 연락을 받았다. 왠지 선생님의 마지막 모습을 보고 싶어서 선생님 댁으로 달려가서 선생님의 죽음을 눈으로 보았다. 정말 많이 슬펐다. 다큐멘터리 작업을 하다 보니 굉장히 밀도 있고 특별한 관계가 되어버렸다. 스타일리시한 건축다큐멘터리를 촬영하려고 했는데 어쩌다 보니 한 건축가의 마지막 여정을 기록하는 다큐멘터리가 되어버렸다. 다큐멘터리의 시작과 끝이 전혀 다른 곳에 와있었다.

승효상 건축가가 장례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소박하고 조촐하게 장례식을 하자고 했다. 너무 크게 하지 말고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소박하고 작게 하자. 혜화동 서울대병원 영안실에서 영결식을 한 뒤 선생님은 모란공원에 안치되었다.

선생님은 자신의 병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신 적이 없었다. 나는 병원에 가서 영양주사를 맞고 쉬었었다는 이야기를 몇 번 들었다. 나중에 사모님에게 정기용 선생님이 어떻게 투병 중이었는지를 자세하게 듣게 되었고 많이 괴로웠다. 과연 육체적인 극심한 고통 속에서 그는 어떻게 그렇게 계속 일할 수 있었는가? 원래 선생님이 당뇨가 오랫동안 있었다. 2005년 8월 대장암이 발견되어 3개월 시한부 인생 선고를 받았다. 수술을 받고 대장을 잘라내고 항암치료를 1년 6개월 동안 했다. 2007년 2월에 암이 간으로 전이 되었고 이어 폐로 전이 되어 수술하고, 그 다음 다시 간 수술을 했다. 영화를 찍기 전인 2010년에는 복수에 물이 차기 시작했고, 허리에 복수를 빼는 장치를 차고 다녔다. 2008년 겨울에는 항암치료의 부작용으로 성대결절이 와서 마이크를 해야만 말소리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선생님은 지난한 투병 과정에서 죽음을 피해 요양을 간 적이 없었다. 수술을 하고 나서 또 일을 하는 등 죽음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였다. 첫 항암치료를 받은 2006년부터 총 여섯 권의 책을 정리해 냈고, 다큐멘터리를 위해 일하고, 일민 전시회도 치르고, 본인의 작품집도 정리했다. 정기용 선생님은 자기가 사회에 남길 수 있는 모든 말과 생각과 스스로가 생각하는 한국사회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남기고 돌아가신 거다. 투병 과정에서 이렇게 많은 작업을 하고 생산성을 발휘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정기용 선생님은 너무너무 강한 사람이었다. 한번도 죽는다고 생각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곧 죽는다고 생각했다. 그는 사람들에게 해주고 싶고 전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많은 만큼 다차원적인 흔적을 남기고 간 인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