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월 19일 화요일

레이 커즈와일의 서평(뉴욕타임스 2017년 3월 14일), 루쿠 도멜 <기계를 생각하기>, 리처드 용크 <기계의 마음>

Ray Kurzweil 

on How We’ll End Up Merging With Our Technology 

By Ray Kurzweil
THINKING MACHINES
The Ques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and Where It’s Taking Us Next
By Luke Dormehl
275 pp. TarcherPerigee. Paper, $16.
HEART OF THE MACHINE
Our Future in a World of Artificial Emotional Intelligence
By Richard Yonck
312 pp. Arcade Publishing. $25.99.
Books about science and especially computer science often suffer from one of two failure modes. Treatises by scientists sometimes fail to clearly communicate insights. Conversely, the work of journalists and other professional writers may exhibit a weak understanding of the science in the first place.
Luke Dormehl is the rare lay person — a journalist and filmmaker — who actually understands the science (and even the math) and is able to parse it in an edifying and exciting way. He is also a gifted storyteller who interweaves the personal stories with the broad histor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 found myself turning the pages of “Thinking Machines” to find out what happens, even though I was there for much of it, and often in the very room.
Dormehl starts with the 1964 World’s Fair — held only miles from where I lived as a high school student in Queens — evoking the anticipation of a nation working on sending a man to the moon. He identifies the early exam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ptured my own excitement at the time, like IBM’s demonstrations of automated handwriting recognition and language translation. He writes as if he had been there.
Dormehl describes the early bifurcation of the field into the Symbolic and Connectionist schools, and he captures key points that many historians miss, such as the uncanny confidence of Frank Rosenblatt, the Cornell professor who pioneered the first popular neural network (he called them “perceptrons”). I visited Rosenblatt in 1962 when I was 14, and he was indeed making fantastic claims for this technology, saying it would eventually perform a very wide range of tasks at human levels, including speech recognition, translation and even language comprehension. As Dormehl recounts, these claims were ridiculed at the time, and indeed the machine Rosenblatt showed me in 1962 couldn’t perform any of these things. In 1969, funding for the neural net field was obliterated for about two decades when Marvin Minsky and his M.I.T. colleague Seymour Papert published the book “Perceptrons,” which proved a theorem that perceptrons could not distinguish a connected figure (in which all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a disconnected figure, something a human can do easily.
What Rosenblatt told me in 1962 was that the key to the perceptron achieving human levels of intelligence in many areas of learning was to stack the perceptrons in layers, with the output of one layer forming the input to the next. As it turns out, the Minsky-Papert perceptron theorem applies only to single-layer perceptrons. As Dormehl recounts, Rosenblatt died in 1971 without having had the chance to respond to Minsky and Papert’s book. It would be decades before multi-layer neural nets proved Rosenblatt’s prescience. Minsky was my mentor for 54 years until his death a year ago, and in recent years he lamented the “success” of his book and had become respectful of the recent gains in neural net technology. As Rosenblatt had predicted, neural nets were indeed providing near human-level (and in some cases superhuman levels) of performance on a wide range of intelligent tasks, from translating languages to driving cars to playing Go.
Dormehl examines the pending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xample on employment. He recounts the positive history of automation. In 1900, about 40 percent of American workers were employed on farms and over 20 percent in factories. By 2015, these figures had fallen to 2 percent on farms and 8.7 percent in factories. Yet for every job that was eliminated, we invented several new ones, with the work force growing from 24 million people (31 percent of the population in 1900) to 142 million (44 percent of the population in 2015). The average job today pays 11 times as much per hour in constant dollars as it did a century ago. Many economists are saying that while this may all be true, the future will be different because of the unprecedented acceleration of progress. Although expressing some cautions, Dormehl shares my optimism that we will be able to deploy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role of brain extenders to keep ahead of this economic curve. As he writes, “Barring some catastrophic risk, A.I. will represent an overall net positive for humanity when it comes to employment.”
Many observers of A.I. and the other 21st-century exponential technologies like biotechnology and nanotechnology attempt to peer into the continuing accelerating gains and fall off the horse. Dormehl ends his book still in the saddle, discussing the prospect of conscious A.I.s that will demand and/or deserve rights, and the possibility of “uploading” our brains to the cloud. I recommend this book to anyone with a lay scientific background who wants to understand what I would argue is today’s most important revolution, where it came from, how it works and what is on the horizon.
“Heart of the Machine,” the futurist Richard Yonck’s new book, contains its important insight in the title. People often think of feelings as secondary or as a sideshow to intellect, as if the essence of human intelligence is the ability to think logically. If that were true, then machines are already ahead of us. The superiority of human thinking lies in our ability to express a loving sentiment, to create and appreciate music, to get a joke. These are all examp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 is at both the bottom and top of our thinking. We still have that old reptilian brain that provides our basic motivations for meeting our physical needs and to which we can trace feelings like anger and jealousy. The neocortex, a layer covering the brain, emerged in mammals two hundred million years ago and is organized as a hierarchy of modules. Two million years ago, we got these big foreheads that house the frontal cortex and enabled us to process language and music.
미래의 리차드 욘크 (Richard Yonck)의 신간 "하트 오브 더 머신 (The Heart of the Machine)"에는 제목에 대한 중요한 통찰이 담겨있다. 사람들은 종종 인간의 지능의 본질이 논리적으로 사고 할 수있는 능력 인 것처럼 감정을 이차적 인 것으로 생각하거나 지성에 대한 측면으로 생각합니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기계는 이미 우리보다 앞서 있습니다. 인간 사고의 우수성은 사랑의 정서를 표현하고 음악을 창조하고 감상하며 농담을하는 능력에 있습니다. 이것들은 모두 감성 지능의 예이며, 감정은 우리 생각의 바닥과 맨 위에 있습니다. 우리는 육체적 인 필요를 충족시키고 분노와 시기심 같은 감정을 추적 할 수있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는 오래된 파충류의 두뇌를 여전히 가지고 있습니다. 뇌를 덮는 대뇌 피질 (neocortex)은 2 억년 전에 포유류에서 출현했으며 모듈의 계층 구조로 조직되었습니다.
Yonck provides a compelling and thorough history of the interaction between our emotional lives and our technology. He starts with the ability of the early hominids to fashion stone tools, perhaps the earliest example of technology. Remarkably the complex skills required were passed down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for over three million years, despite the fact that for most of this period, language had not yet been invented. Yonck makes a strong case that it was our early ability to communicate through pre-language emotional expressions that enabled the remarkable survival of this skill, and enabled technology to take root.
Yonck describes today’s emerging technologies for understanding our emotions using images of facial expressions, intonation patterns, respiration, galvanic skin response and other signals — and how these instruments might be adopted by the military and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And he recounts how all communication technologies from the first books to today’s virtual reality have had significant sexual applications and will enhance sensual experiences in the future.
Yonck is a sure-footed guide and is not without a sense of humor. He imagines, for example, a scenario a few decades from now with a spirited exchange at the dinner table. “No daughter of mine is marrying a robot and that’s final!” a father exclaims.
His daughter angrily replies: “Michael is a cybernetic person with the same rights you and I have! We’re getting married and there’s nothing you can do to change that!” She storms out of the room.
Yonck concludes that we will merge with our technology — a position I agree with — and that we have been doing so for a long time. He argues, as have I, that merging with future superintelligent A.I.s is our best strategy for ensuring a beneficial outcome. Achieving this requires creating technology that can understand and master human emotion. To those who would argue that such a quest is arrogantly playing God, he says simply: “This is what we do.”

Ray Kurzweil, an inventor and futurist, is the author of “The Singularity Is Near” and “How to Create a Mind.”

출처 https://www.nytimes.com/2017/03/14/books/review/thinking-machines-luke-dormehl.html

청주, 기록문화·책의 도시로 가려면?/ 충청리뷰 홍강희 기자 2019년 2월 13일

청주시가 삼수 끝에 대한민국 독서대전을 유치했다. 청주시는 지난 2017년부터 이 행사를 유치하기 위해 도전했다. 독서대전은 오는 8월 30일~9월 1일 3일간 청주예술의전당 및 고인쇄박물관 일원에서 열린다. 날짜는 주최측인 문체부에서 정한 것. 행사 주제는 ‘기록의 시작 청주! 책으로 꽃피우다’이고 사업비는 국비 3억원, 도비 1억원, 시비 3억원 등 총 7억원이다.
독서대전은 문체부가 독서 붐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4년 처음 시작했다. 그 해 경기 군포시가 막을 열었고, 2015년은 인천광역시, 2016년 강릉시, 2017년 전주시에 이어 2018년에는 김해시가 행사를 주최했다. 올해 독서대전 지정행사는 책읽는도시 선포식, 전국독서동아리한마당, 독서 컨퍼런스, 시대의 맥락을 짚는 인문학강연, 북마켓 등이다.
자체행사는 공연·전시·체험·학술행사 등으로 꾸밀 예정이다. 청주시는 고전낭송 페스티벌, 북콘서트, 휴먼라이브러리 브런치 데이트, 충북클래식 문학로드, 폭포에서 추리소설 읽기, 지역작가의 방, 북스테이, 작가의 손글씨 체험, 작은도서관 책잔치 등을 계획했고 문체부와 협의를 거친 뒤 최종 확정한다고 밝혔다.
김천식 청주시 도서관평생학습본부장은 “올해 청주시는 천안·아산·당진·평택·제주시와 겨뤄 최종 선정됐다. 김홍장 당진시장은 종합심사 때 PPT 발표까지 직접하는 등 상당한 열의를 보였다”고 말했다. 심사는 1차 서류, 2차 현장실사, 3차 종합을 거쳐 이뤄졌다. 청주시는 직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센터, 책읽는 청주 등의 소프트웨어와 책 관련 행사를 민관이 함께 해온 것이 좋은 평가를 받아 선정됐다는 후문이다.

청주시의 책·도서관 관련 인프라 무엇이 있나
시립도서관 12개+2개 건립 중, 공공도서관 3개, 작은도서관 130개
 
독서대전은 한마디로 책의 축제다.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 직지를 간행한 청주시는 기록문화의 도시이며 책의 도시다. 그래서 독서대전도 직지문화특구에서 열린다.
시는 지난해 11월 독서대전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행사 유치를 추진해왔다. 도서관평생학습본부 측은 “청주는 인쇄문화의 발상지이며 세계기록문화의 산실이다. 고려시대 때 직지를 간행했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센터가 건립된다. 그리고 옛부터 청주를 교육문화도시라 불렀고 공공도서관 신축, 작은도서관 조성, 책읽는 청주 시민독서운동, 1인1책 펴내기 운동, 상생충BOOK 등 독서문화 역량을 키우는 활동을 많이 해왔다”며 이런 점을 강조해 선정됐다고 말했다.
청주시에는 현재 12개의 시립도서관, 중앙도서관 등 3개의 공공도서관이 있다. 또 금천동에 금빛도서관, 가경동에 가로수도서관 등 2개의 시립도서관이 건립 중이다. 금빛도서관은 오는 7월 개관하고 가로수도서관은 올해 착공한다. 여기에 작은도서관 130개, 스마트도서관 3개, 북카페 40개가 있다. 공공도서관은 권역별로 들어섰고, 작은도서관은 그 사이에서 실핏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청주시립도서관 관계자는 “도서관이 많이 늘어났다. 양적인 확충과 더불어 도서관련 축제도 지속적으로 해왔다. 지난해에 책읽는 청주, 맑은고을 북누리축제, 작은도서관 책잔치, 인문학 페스티벌을 열었고 직지코리아 국제페스티벌 때는 도서관 체험부스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책읽는 청주는 지난 2006년 이미륵 작가의 ‘압록강은 흐른다’를 함께 읽는 것으로 시작됐다.
이어 “지역서점이 24개 있고, 충북지역 출판·동네서점 살리기협의회인 상생충BOOK이 결성돼 있다. 도서관 운영에 참여하는 시민모임 ‘도서관친구들’도 조직할 계획이다. 여기에 독서동아리는 68개가 활동 중이다”고 덧붙였다.
 
청주시는 ‘2019 대한민국 독서대전 청주유치추진위’를 구성하고 노력한 결과 독서대전을 유치했다. / 사진제공 청주시립도서관
독서대전 이후 어떻게 할 것인가
책 읽고 싶은 도서관, 시민들이 원하는 대책 내놔야
 
독서대전은 전국 행사다. 청주시를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고 오는 10월 8일~11월 17일 열리는 청주공예비엔날레를 동시에 알릴 수 있다. 그 만큼 청주시는 이 행사를 제대로 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안고 있다.
청주시민들은 행사도 행사지만 차제에 청주시 도서관과 독서환경을 둘러보고 문제점을 개선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시민들은 시내에 15개의 공공도서관이 있으나 특징이 없고 내부 배치도 너무 구태의연하다고 지적한다.
전국적으로 이름난 도서관은 거기에 걸맞는 외관과 공간 배치, 특별한 프로그램이 있는데 청주시립도서관은 그런게 없다는 것이다. 또 책읽는 청주도 시민들 속으로 파고들지 못하고 도서관 관계자들만의 행사로 그치고 만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천식 본부장은 “한범덕 시장께서 도서관 공간 혁신 과제를 주셨다. 그래서 일본 다케오시립도서관 등 잘 된 도서관을 둘러보고 혁신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다케오시립도서관은 도서관+서점+커피숍+기념품 판매점 등이 들어선 복합문화공간으로 유명하다. 다케오시는 인구 5만명에 불과하나 연 100만명이 이 도서관을 보러 온다고 한다.
고정관념을 깨는 시각으로 일본 전역에 츠타야서점 140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다케오시립도서관장으로 일하는 마스다 무네아키는 ‘지적자본론’이라는 책에서 서점과 도서관을 혁신시킨 이야기를 자세히 썼다. 청주시가 어떤 혁신안을 마련할지는 두고봐야 안다.
행사는 후속조치가 없으면 그 것으로 끝이다. 아무리 많은 예산을 투입해도 손에 쥔 것 없이 끝나기 일쑤다. 직지코리아 국제페스티벌은 60억원을 쓰고도 아무 것도 남기지 못했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이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는 시민들이 많았다. 시는 독서대전을 계기로 매년 청주시 독서대전을 열고 독서동아리 활성화, 시민모임 ‘도서관친구들’ 확대 운영, 독서진흥전담팀 신설을 후속대책으로 내놨다.
그러나 이 후속대책도 시민들이 제안하고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어야 의미가 있다. 지자체에서 공무원의 시각으로 내놓는 대책은 형식적인 것에 불과할 때가 많다. 작은도서관 운영자, 독서동아리 회원, 시민 등 독서를 생활화하는 사람들로부터 제안을 받아 대책을 마련하는 기회가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홍강희 기자  tankhong@cbinews.co.kr
출처 http://www.ccre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739

2019년 2월 18일 월요일

임은정 검사 "나는 고발한다"

임은정 | 청주지검 충주지청 부장검사 입력 2019.02.17. 20:29 수정 2019.02.18. 13:24

[경향신문] 2015년 4월, 중세시대 흑사병마냥 흉흉한 소문이 검찰 내부망을 타고 미친 듯이 퍼졌습니다. 서울남부지검 부장검사와 귀족검사가 공연히 또는 은밀히 성폭력범죄를 저질렀고, 추태를 목격한 수사관들의 문제 제기로 소란이 일자, 사표를 던졌다고. 서울남부지검과 대검 감찰1과에서 피해자들과 목격자들을 조사하기에 이르니, 소문이 담을 넘어 기자들에게까지 흘러들었습니다.
언론 취재가 시작되자, 사표가 황급히 수리되었고, 검찰총장은 대검 간부회의에서 부장검사의 부적절한 언행을 개탄하는 방식으로 귀족검사의 범행을 은폐하고 부장검사의 범행을 축소하였지요. 검찰은 부장검사가 성희롱 ‘발언’을 하였을 뿐이라고 사실을 호도하였고, 귀족검사의 갑작스러운 사표에 대해 서울남부지검 2차장은 “그냥 좀 힘들어서 쉬고 싶다고 하면서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보고받았다”, 대검 대변인실은 “감찰은 모른다고 한다. 위에 있는 부장검사와 사이가 안 좋아 나간 것이라고 한다”고 해명했습니다.
문제의 부장검사가 자신의 범죄를 덮고 2억원이 넘는 명퇴금까지 쥐여준 특별한 은사에 감읍하기보다, 귀족검사를 지키기 위해 기자들에게 먹잇감 던져주듯 자신의 비위를 일부 인정해버린 검찰을 원망한다는 풍문을 듣고 그 뻔뻔함에 모두들 혀를 찼지요. 그리고, 잘 나가는 부장검사조차 희생양 삼는 귀족검사의 고귀한 혈통에 혀를 내둘렀습니다.
아무 일 없었다는 듯 국민들에게 거짓말을 일삼던 간부들은 검찰 내 성폭력범죄를 덮으며 언제나처럼 법과 원칙을 강조하였고, 무슨 일이 우리에게 있었냐는 듯 피해자들과 목격자들은 묵묵히 검찰 밖 성폭력사범들을 수사하였습니다. 한편, 2015년 그해, 검찰은 학내 성폭력을 덮은 교장을 직무유기로 법정에 세웠지요. 우리는 덮어도 되지만, 교장 따위가 그러면 안 되니까.
2018년 1월29일. 서지현 검사가 한 방송사에서 은폐됐던 성폭력사건들을 거론하자, 검찰은 마치 처음 듣는다는 듯 놀라며 대검 캐비닛에 숨겨둔 기록을 마지못해 꺼내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결국 부장검사에게는 500만원의 벌금형이 확정됐고, 귀족검사는 지난 1월 징역 10월을 선고받고 항소심 재판 중입니다.
작년 상반기, 저는 성폭력사건을 은폐한 간부들에 대한 수사와 감찰을 대검에 정식으로 요청했습니다. 문무일 총장이 마이크를 들이대는 기자들에게 심각한 얼굴로 “진상조사를 철저히 하겠다”고 다짐하는 걸 보았지만, 내버려두면 성폭력사범들만 꼬리 자르기 할 것이 빤히 보였거든요.
2018년 5월4일. 대검은 감찰 관련자들의 비위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통보하며 제 요청건을 종결하였고, 조직적 은폐에 관여한 간부들을 대거 검사장으로 승진시켰습니다. 수뇌부 명령에 따라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는 사람들의 성실함은 조직에의 헌신과 충성으로 칭송받고, 인사로 보답받는 걸 늘 보아왔지요.
한편, 2018년 그해, 검찰은 민정수석으로서 최순실 등의 국정농단을 눈감은 우병우에 대해 1심 유죄 판결을 받아냈고, 법원행정처 차장으로서 비위판사에 대한 징계조치를 하지 않은 임종헌도 구속했습니다. 우리는 덮어도 되지만, 이미 끈 떨어진 민정수석이나 판사 따위가 그러면 안 되니까. 수사권과 기소권은 검찰의 여의봉입니다.
박근혜 정부 시절, 김진태 총장 등이 저지른 조직범죄를 문재인 정부의 문무일 총장이 여전히 감싸주는 현실을 지켜보고 있으려니 착잡하기 그지없습니다. 정권은 유한하나, 검찰은 영원하고, 끈끈한 선후배로 이어진 검찰은 밖으로 칼을 겨눌 뿐 내부의 곪은 부위를 도려낼 생각이 전혀 없습니다.
검찰 내 성폭력조차 침묵한 검사들이 위법한 상사의 지시에 이의 제기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 뻔한 사건조차 그 책임을 묻지 않고서야, 검사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고칠 수 있겠으며, 은폐된 검찰 내 복잡한 진실들을 밝힐 수 있을까요?
부득이, 저는 지면을 빌려 검찰권을 감당할 자격이 없는 검사들을 고발합니다. 저는 장영수 검사장을 고발합니다. 그는 2015년 대검 감찰1과장으로 서울남부지검에서 벌어진 성폭력사건을 조사하고도 관련자를 형사입건하지 아니한 채 범죄를 덮었습니다.
저는 문찬석 검사장과 여환섭 검사장을 고발합니다. 그들은 당시 서울남부지검 2차장검사와 대검 대변인으로서 거짓 해명으로 국민들을 속이고, 검찰의 조직적 은폐에 적극 가담하였습니다.
저는 문무일 검찰총장을 고발합니다. 제가 장영수 등의 직무유기에 대한 수사와 감찰을 정식으로 요청하였음에도, 형사처벌은커녕 징계조차 하지 아니하고 검사장 등 요직으로 발탁했습니다.
검찰권을 검찰에 위임한 주권자 국민 여러분들이 고발인의 고발 내용을 판단하여주십시오!

임은정 | 청주지검 충주지청 부장검사

출처 https://goo.gl/2q2WoC

전강수/ 대구가톨릭대 경제통상학부 교수, <부동산공화국 경제사>(여문책)

"한때 자발적인 근로의욕과 창의력, 높은 저축열, 뜨거운 교육열과 학습열, 모험적인 기업가 정신으로 충만한 사람들이 땀 흘리고 절제하며 노동하며 기업을 일구고 자식을 공부시키며 공평한 경제성장을 이끌었는데, 이들은 다 어디 가고 생산적 투자에는 관심 없이 비업무용 땅 사재기에 열을 올리는 기업, 대출받아서 갭투자를 하는 데 관심과 정력을 쏟는 회사원, 부동산 특강 강사를 따라 '아파트 사냥' 투어에 나서는 주부, 건물주가 꿈인 중학생이 우리 사회의 상징처럼 떠올랐을까? 도대체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지난 2월 1일 유튜브 방송 '알릴레오' 5편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부동산 문제를 얘기하기에 앞서 읽은 <부동산공화국 경제사>(여문책) 서문 한 대목이다.

이 책을 쓴 전강수(60) 대구가톨릭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는 토지공개념 철학에 따라 부동산 불로소득 환수를 주장하는 대표적인 경제학자다. 전 교수는 참여정부 초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이정우 경북대 명예교수 등과 더불어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비롯한 참여정부 부동산 정책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

전 교수는 지난달 펴낸 <부동산공화국 경제사>에서 해방 후 농지개혁으로 '사회구성원 모두가 토지에 대해 평등한 권리를 누리는(평등지권)' 사회가 박정희 정부를 거치며 '부동산(투기)공화국'으로 전락하는 과정을 경제사적 관점에서 추적했다. 아울러 노무현 정부를 비롯한 역대 정부 부동산 정책 관련해서 우리 사회에 잘못 알려진 '부동산 신화' 9가지를 하나하나 팩트체크(사실검증) 했다.

지난 14일 오후 '독자들과의 만남' 행사를 앞둔 전 교수를 서울 경복궁 옆에 있는 커피전문점에서 만났다. 전 교수는 참여정부 당시 '토지공개념 개헌' 논란이 한창이던 지난 2007년 1월에도 <오마이뉴스>와 인터뷰했다. 12년 사이 혈기 넘치던 40대 교수는 60대에 접어들었지만, 부동산 불로소득을 막아 '부동산공화국'을 해체해야 한다는 결기는 더 강해 보였다.(관련기사: "'반값아파트' 이름부터 없애라... 분양가인하, 도깨비방망이 아냐" http://bit.ly/KeEIJ)

[팩트체크 ①] 노무현 정부 부동산 정책은 실패했다? → "기념비적 업적"

보수층은 물론 진보층에서도 설왕설래하는 대표적인 '신화'가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실패했다"는 주장이다. 조중동을 비롯한 보수 언론은 참여정부 당시부터 이른바 '세금폭탄론'를 앞세워 종부세는 물론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판했고, 결국 부동산 가격 폭등을 못 잡았다는 이유로 이를 실패로 단정했다. 노 전 대통령 자신도 임기말 높은 부동산 가격을 들어 정책 실패를 인정했을 정도다.

하지만 전강수 교수는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실패하지 않았다"라면서 오히려 "한국 부동산 정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 기념비적 업적"이라고 추켜세웠다.

유시민 이사장도 지난 11일 '고칠레오' 5편 '노무현, 투기와의 전쟁' 편에서 참여정부 부동산 정책 관련 보수언론의 '가짜뉴스'를 비판하면서, 전 교수가 이 책에서 제시한 근거자료를 활용했다.

ad
"지표상으로 보면 참여정부 부동산 정책은 성공했어요. 부동산 가격만 가지고 얘기해도 그 당시 주요 선진국들 가운데 우리나라가 많이 안 올랐거든요. 참여정부가 부동산에 방비를 잘 한 덕분에 2008년 금융위기도 무난하게 넘어갔어요. 그런 나라가 거의 없거든요. 그런 점에서 노무현 정부 부동산 정책은 잘했다고 봐요."

실제 김수현 현 청와대 정책실장이 지난 2008년 분석한 1997년부터 2006년 사이 주요 선진국 주택가격 변화를 보면, 당시 부동산 침체기를 겪은 일본과 홍콩을 제외하고 주택가격 상승률이 50%를 밑도는 나라는 한국과 스위스 정도다. 당시 유례없는 유동성 확대로 전 세계 국가들의 부동산 값이 폭등했는데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뉴질랜드 등 주요 선진국은 100%를 넘었고 영국, 아일랜드 등은 200%를 웃돌았다.

당시 참여정부는 부동산 보유세 강화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부동산 과다보유자에 양도소득세를 중과하는 한편 실거래가 제도를 도입해 부동산거래를 투명하게 했다.

"노무현 정부는 공공임대주택을 매년 10만 호 이상 공급했어요. 이건 정말 중요한 정책인데 그걸 이명박 정부가 반 토막을 냈고 결국 전월세난이 따라왔어요. 그 정책도 계속 유지했다면 지금 서민 주거 문제는 상당 부분 해소됐을 거예요. 국민들은 잘 못 느끼지만 '부동산 실거래가 제도'를 도입한 것도 중요한 일이었어요. 그 전에는 정치인만 다운계약서 쓴 게 아니라 국민이 계약서 쓰면서 거짓말하게 만들었거든요. 그런 사회 풍토를 바꾼 것도 중요했다고 생각해요. 그런 면에서 전체 부동산 정책은 성공했다고 보고요, 조중동이나 보수층의 공격은 근거가 없다고 생각해요."

전 교수는 종부세 도입에 대해서도 "참여정부는 보유세 강화를 본격적으로 구현한 최초의 정부"라면서 "기존 노태우 정부나 김영삼 정부는 시도하다가 중도에 꼬리를 내렸지만 참여정부는 끝까지 원칙을 지키고 정책을 고수했다는 점에서 칭찬해줄 만하다"고 높이 평가했다.

전 교수는 이처럼 참여정부에서 보유세 강화 정책이 계속 유지된 원동력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정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라고 밝혔다.

"노 대통령을 가까이 모셨던 사람의 증언을 최근 들었는데 그 당시 청와대 안에서도 (보유세 강화에) 반대가 굉장히 많았는데 그 정책을 포기하지 않고 지속한 건 노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 때문이라고 해요. 노 대통령이 그런 신념을 갖게 만든 이가 당시 참모였던 이정우 당시 청와대 정책실장이에요. 이정우 실장이 보유세 강화 정책의 중요성을 대통령에게 설득했고, 두 사람 역할이 굉장히 중요했어요."

전 교수는 이정우 실장이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던 지난 2004년 일화를 전했다.

"보유세 문제로 한창 시끄러울 때 이정우 위원장을 만났는데, 밖에서 보기에도 걱정스러워 '부동산 시장도 좀 안정됐는데 보유세를 조금 완화시켜야 하는 게 아니냐'고 했더니, 이 위원장이 '무슨 소리냐, 이건 옳은 방향이니까 과세 대상을 확대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라고 하더라고요. 나는 주장만 하는 학자에 불과하고 그 분은 정책을 집행하는 자리에 가서도 소신을 꺾지 않는구나, 생각했죠."

이같은 참여정부를 계승한 문재인 정부에 대한 전 교수의 높은 기대감은 현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아쉬움으로 옮겨갔다.

[팩트체크 ②] 문재인 정부는 참여정부 닮은꼴? "보유세 단기 처방 잘못"

문재인 정부 들어 발표한 부동산 대책들 가운데 보유세 강화 정책이 포함된 건 지난해 9.13대책이 유일하다. 이 때문에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참여정부와 닮았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하지만 전 교수는 "노무현 정부가 부동산 불패신화와 정면대결을 펼쳤다면, 문재인 정부는 단순한 시장관리에 그치고 있다"면서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평가 절하했다. 9.13 대책에서 보유세 강화를 통해 1조 1000억 원 증세했지만 부동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정책이라기보다 서울 부동산 가격 급등을 잡기 위한 단기 처방에 사용했다는 것이다.

"보유세 강화 정책은 부동산 불로소득 문제를 해소하는 부동산 정책의 근본 틀을 구축하는 건데 집값 폭등을 잡는 수단으로 내놨어요. 일부 규제 지역과 다주택자에 초점을 맞춰 세율을 높이는 방식인데, 이거는 굉장히 실수한 거예요. 지금까지 역대 정부는 투기가 일면 중과세했다 침체하면 풀어주는 식으로 양도소득세를 활용했는데, 보유세를 이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가격이 폭등할 때 다주택자만 보유세를 중과세하면 나중에 가격 떨어지고 침체하면 다시 풀어줘야 하잖아요. 근본 정책을 단기시장조정책으로 사용하면 나중에는 보유세도 양도소득세처럼 누더기 세제가 될 수밖에 없어요."

전 교수는 이 같은 정책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를 부동산 문제 원인을 해소하는 근본적인 처방보다 단기적인 부동산 가격 흐름에 집착하는 정부 관료들의 한계라고 봤다. 이른바 '지표 집착증'이다.

"상황을 보는 틀이 중요한데, 대부분 관료들이 가격의 동향을 가지고 정책 성패를 판단하고 있어요. 8.2 부동산 대책 당시 문재인 정부에서 '가격과의 싸움에서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고 발언하거나, 가격 동향을 가지고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는 틀이 잘못됐어요. 노 전 대통령도 마찬가지예요. 말년에 부동산 정책이 실패했다고 한 건 집값을 못 잡았다는 건데, 정부가 아무리 영향력이 강해도 부동산 가격을 자기 뜻대로 할 수 없어요. 가격이 아니라 문제를 만든 원인을 가지고 싸워야죠. 투기가 원인이면 투기를 잠재우든, 공급 부족이 원인이면 공급을 늘리든. 가격은 하나의 결과일 뿐인데 원인에는 처방을 안 한다? 이건 부동산 정책뿐 아니라 문재인 정부에서 전방위로 나타나는 '지표 집착증'이라고 생각해요."

"종부세 트라우마는 핑계 안 돼"

전 교수는 "가격이 국민 여론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크니까 신경을 안 쓸 순 없는데 부동산 정책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그 원인을 다루는 것"이라면서 한숨을 쉬었다. '지표 집착증'뿐 아니라, 참여정부에서 부동산 정책 실무를 맡았던 김수현 현 청와대 정책실장을 비롯해 참여정부 출신 인사들이 이른바 '종부세 트라우마' 때문에 오히려 보유세 강화에 더 소극적이란 지적도 나온다.

"본인들이 직접 그렇게 얘기하는 것도 들었다. 물론 재집권에 실패해서 복기하고 반성하는 차원에서 그렇게 얘기한다면 일종의 겸손의 표현으로 볼 수 있으니 괜찮아요. 하지만 이제 실제 정책을 집행하는 사람이 계속 그런 얘기를 하면서 중요한 정책을 안 하는 핑계로 삼는다면 잘못된 태도죠. 자기가 트라우마가 있다고 그 중요한 정책을 안 해도 되는 건가요?"

물론 보유세 인상에 대한 심리적 저항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부동산값 안정'이라는 명분을 내세울 수밖에 없는 '현실'도 무시할 수 없다.

"그랬겠죠. 현실을 감안해서 했을 건데. 그건 현상을 현상대로 관리하는 사람들 태도예요. 이 정부는 역사적인 성격이 있어요. 촛불정부이고 일종의 혁명정부예요. 혁명정부가 경제문제 관련해서 개혁을 안 한다? 가장 중요한 경제 문제를 언급도 안 한다? 개혁할 생각도 안 한다? 그럼 잘못된 태도죠. 부동산 정책도 그렇고 재벌개혁도 하는 둥 마는 둥, 소득주도성장 정책도 얻어맞으니까 슬쩍 (넘어가고). 결국 과거 정부가 했던 방식으로 경제 활성화하고 심지어는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하고, 이게 무슨 촛불 정부인가요?"

전 교수는 참여정부 인사들이 단순히 트라우마에만 그치는 게 아니라, 종부세 등 보유세 강화 정책으로 인해 참여정부의 지지율이 깎이고 재집권에 실패했다는 인식을 하는 건 아닌지 걱정했다. 결국 전 교수가 이 책에서 제시한 9가지 부동산 신화들 가운데 가장 깨고 싶었던 것도 "보유세 강화는 조세 조항이 강해 불가능하다"는 현 정부 인사들의 강한 트라우마다. 책 속에도 이 같은 신화를 깨지 않고서는 온 국민이 부동산 가격에 목을 매고, 모든 사회 문제가 부동산 불로소득에 발목 잡히는 '부동산 공화국'에서 영영 벗어날 수 없다는 절박함이 잔뜩 묻어 있다.

"심각한 질병이 있는데 없는 척 해도 환자는 결국 죽어요. 우리 사회도 심각한 사회적 질병이 내재해 있는데 없는 척 눈 가리면 결국 나중에 사회가 심각한 위기에 빠진다고 생각해요. 우리 사회는 '부동산공화국'이다, 부동산이 발목을 잡고 있는 게 너무 크다는 인식만 해도 이 책을 낸 의미가 있어요.

(문재인 정부 캐치프레이즈인) '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 하나 하나에 다 걸려 있는 게 부동산 문제예요. 소득주도성장이 안 되는 것도, 기업들이 혁신에 투자 안 하는 것도, 공정경제를 가장 해치는 것도 모두 부동산 불로소득 때문이에요. 이 문제를 전혀 언급 안 하고 해결할 생각도 없이 어떻게 3대 캐치프레이즈라고 하겠어요. 근본 문제를 드러내고 국민들에게 도와달라고 하고 진짜 개혁을 추진했다면 좀 부족하더라도 그 진정성만큼은 인정해주지 않겠어요?"

전강수 교수가 분석한 '부동산 공화국' 9가지 신화와 진실

[신화1] 해방 이후 농지개혁은 불철저해서 개혁이라 부르기 어렵다.
[진실1] 농지개혁은 개혁 후 자작농 비율이 일본보다 높을 정도로 성공적이었다.

[신화2] 농지개혁은 이승만 작품이다.
[진실2] 농지개혁의 주인공은 조봉암 초대 농림부 장관과 농림부 관료들, 그리고 소장파 국회의원들이다.

[신화3] 한국 경제의 고도성장은 박정희의 리더십 덕분이다.
[진실3] 한국의 공평한 고도성장 동력은 농지개혁이 달성한 평등성에서 나왔다.

[신화4] 박정희의 강남개발은 우국충정에서 비롯됐다.
[진실4] 박정희는 경부고속도로 용지 확보와 정치자금 조달을 위해 강남개발을 밀어붙였다.

[신화5]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실패했다.
[진실5]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한국 부동산 정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 기념비적 업적이다.

[신화6] 문재인 정부는 부동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진실6] 문재인 정부는 근본 부동산 정책인 보유세 강화를 극구 회피하고 단기 시장조절과 주거복지에 치중해왔다.

[신화7]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참여정부의 재판(再版)이다.
[진실7] 노무현 정부는 부동산 불패신화와 정면대결을 펼친 반면, 문재인 정부는 단순한 관리에 그치고 있어, 두 정부 사이에 큰 유사성은 없다.

[신화8] 토지공개념은 반헌법적 또는 사회주의다.
[진실8] 현행 헌법은 토지공개념 조항을 갖고 있다.

[신화9] 보유세 강화는 조세 저항이 강해서 시행이 불가능하다.
[진실9] 보유세 강화는 조세 저항이 뒤따르지만, 기본소득과 결합하거나 국가재건 프로젝트 시행을 표방하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

출처: 전강수 저, <부동산 공화국 경제사> 중에서
출처 https://goo.gl/nyJXur

2019년 2월 11일 월요일

‘생애 주기별 시간 압박과 스트레스 : 한영(韓英) 비교 연구심포지엄, 교육압박, 메리토크라시, 다각적 서열화, 마이클 영, 사회적 보상 체계계

“한국의 교육열은 냉전시대의 ‘군비 경쟁’을 떠올리게 한다.”“한국의 교육열은 냉전시대의 ‘군비 경쟁’을 떠올리게 한다.”
1월 30~31일 영국 옥스퍼드대 너필드칼리지에서는 ‘생애 주기별 시간 압박과 스트레스 : 한영(韓英) 비교 연구(Time Pressure and Stress through the Life Cycle: a UK-Korea Comparison)’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조너선 거슈니(Jonathan Gershuny) 옥스퍼드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과 영국 청소년의 시간 사용을 비교, ‘교육 압박(Educational Pressure)’이 청소년 일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발표했다. 1월 31일 ‘주간동아’와 인터뷰에 응한 거슈니 교수는 “한국 청소년이 공부에 들이는 시간은 놀라운 수준을 넘어 기괴하다(grotesque)고 느껴질 정도”라고 말했다.
거슈니 교수는 사회과학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로 영국 여왕으로부터 훈장을 수훈 받은 저명한 사회학자로, 옥스퍼드대에서 생활시간연구센터(Centre for Time Use Research) 소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그는 몇 해 전부터 한국의 입시 경쟁을 ‘끝없는 군비 경쟁’에 비유하며 깊은 우려를 표해온 인물이기도 하다.
최근 한국에선 명문대 진학을 둘러싼 갈등을 다룬 TV 드라마 ‘SKY 캐슬’이 큰 인기를 끌었다. 한국의 입시 경쟁을 어떻게 보나.
“비정상적으로 과도하다(Essentially Pathological)고 생각한다. 학력 집착은 능력을 중시하는 ‘메리토크라시’(Meritocracy·실력 위주 사회)에 대한 믿음에 기반을 둔다. 실력 위주 사회는 일견 공정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문제가 많다. 우선 학력을 두고 군비 경쟁 같은 논리의 끝없는 경쟁이 발생한다.”
사교육을 군비 경쟁에 비유하는 건가.
2018년 11월 15일 서울 중구 이화여고 수능 고사장에서 수험생들이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있다. [동아일보]
“그렇다. 상대가 전함을 만들 것이라는 두려움에 우리도 전함을 만드는 거다. 상대는 우리 전함을 보고 실제로 전함을 만들고, 그러면 우리는 추가로 전함을 만들어야 하고…. 결국 경쟁이 가속화된다. 한국 부모들은 ‘다른 집 아이가 사교육으로 더 앞서 나갈지도 모른다’ ‘우리 아이만 뒤처질지 모른다’고 생각하며 사교육에 돈과 시간을 투자한다. 이를 본 다른 부모들도 교육에 투자하고, 다들 지지 않으려 점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것이 첫 번째 문제점이다.”
다른 문제점도 있나.
“좀 더 심각한 문제는 그다음에 온다. 서로 경쟁하다 보면 결국 더는 버틸 수 없는 시점이 온다. 상대가 겨우 좀 더 버텨서 이기면 자신을 패배자로 여긴다. 자신이나 부모가 충분한 능력(Merit)을 쌓지 못했다며 원망하고 자기혐오(Self-Loathing)에 빠질 개연성이 높다. 능력에 대한 판단 기준이 선망하는 대학에 들어갔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에 입시에 실패하면 곧 능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거다.”
‘나는 옥스브리지에 가지 않을 거야’
영국 입시 분위기는 어떤가.
“상류층은 돈이 매우 많이 드는 스페셜 엘리트 아카데미에 자녀를 등록시킨다. 옥스브리지(옥스퍼드대와 케임브리지대를 함께 부르는 명칭)에 진학시키려고 자녀가 9, 10세일 때부터 사교육을 시키기도 한다. 이튼, 해로, 윈체스터 같은 사립고교에 입학시키려 애쓰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사람은 극히 일부다. 대부분은 옥스브리지가 귀족적 이미지를 가질 뿐, 다른 대학에 비해 ‘실질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지 않는다. 영국민의 상당수가 ‘나는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에 가지 않을 거야. 거만한 녀석들만 가득하거든’이라고 말한다.”
일부 상류층을 제외하고는 옥스브리지에 진학할 형편이 되는 사람이 별로 없기 때문 아닌가.
“그렇지 않다. 정부가 다양한 사회계층의 옥스브리지 진학을 지원해도 별로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 런던정경대, 맨체스터대, 브리스틀대, 노팅엄대 등 많은 대학이 옥스퍼드대나 케임브리지대와 마찬가지로 좋은 교육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에도 대입을 향한 경쟁은 있지만, 한국처럼 스카이(SKY) 대학을 정점에 둔 하나의 서열을 놓고 이뤄지는 경쟁은 아니다. 다양한 대학이 있고, 이들이 다각적 서열(Multidimensional Status Hierarchy) 속에서 존재한다는 것이 한국과 다른 점이다.”
옥스브리지 출신이 아니어도 괜찮다?
“법정 변호사가 된다거나, 보수당에 입당한다거나, 정계에 진출하는 데는 옥스브리지를 졸업하는 것이 좀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밖의 직업에서는 옥스퍼드대나 케임브리지대 졸업이 다른 대학보다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없다. 공영방송 BBC는 50년 전쯤에는 옥스브리지 출신만 채용했지만, 그 후에는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이들을 선발해왔다. 상류층 자제뿐 아니라 사회 전반의 젊은이들을 활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하위권 대학 출신이라도 BBC에 취업할 수 있고, 옥스퍼드대 출신이라도 BBC 채용에서 탈락할 수 있다.”
‘메리토크라시’의 허상
자료 | Jonathan Gershuny, ‘First steps in comparing educational pressures on UK and Korean Young People’, 2019
거슈니 교수는 ‘어느 대학을 나왔는가’라는 한 가지 기준으로 사람의 역량을 측정할 수 있다는 생각은 “틀렸다”며 자신에 대해 이야기했다. 자신은 공부를 아주 못한 학생이었고, 걸핏하면 학교를 빼먹고 숙제도 안 한 말썽꾸러기였다고 한다. 그는 “시험 성적이 좋지 않아 그다지 순위가 높지 않은 대학에 진학했는데, 갑자기 학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역시 서열이 높지 않은 대학원에 진학했다”며 “거기서 정말 연구를 잘했고, 결국 옥스퍼드대 교수가 됐다”고 했다. 그는 “내 사례는 사회가 성취를 향한 다양한 경로를 갖추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영국에서는 대학 서열이 획일화돼 있지 않기 때문에 좋지 않은 대학에 진학했다고 트라우마가 생기거나 자기혐오를 갖게 될 개연성은 낮으며, 따라서 삶의 어느 시점에서든 성취를 향한 노력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에선 과도한 경쟁을 해소하고자 대입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쪽으로 논의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 ‘SKY 캐슬’을 계기로 학종(학생부종합전형) 위주의 현 입시 제도가 과연 공정한가에 대한 논란이 뜨거운 것이 그 예다.
“학벌이라는 한 가지 기준으로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아무리 입시 제도를 공정하게 바꾼다 해도 상류층은 결국 자신의 자녀를 경쟁에서 승리하게 할 방법을 찾아내고 만다. 메리토크라시라는 말을 만든 영국 사회학자 마이클 영이 1961년 쓴 소설에 이러한 상황이 생생히 담겨 있다. 사람들이 한 가지 목표를 위해 경쟁한 뒤 그것을 얻지 못했다고 해서 실패라는 느낌을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다.”
마이클 영은 소설 ‘능력주의 사회의 부상(The Rise of Meritocracy 1870-2033: An Essay on Education and Equality)’에서 2033년의 미래를 상정하고 노동당 정부가 1960년대부터 공정한 입시를 위해 온갖 종류의 교육 개혁을 실시해온 상황을 묘사한다. 사립학교 때문에 계층 간 경쟁이 불공정하니 사립학교를 없앤다. 그러자 부자 학부모들은 사교육 등의 방법으로 자녀를 좋은 학교에 보낼 방법을 찾아낸다. 몇 번의 개혁 끝에 정부는 영·유아 시절부터 공정하게 키워야 한다며 유치원 교육을 개선하려고 한다. 그러자 부유층은 또 다른 대안을 찾아낸다. 소설에는 결국 하위계층 자녀들을 중산층에 입양시키자는 안까지 등장한다.
거슈니 교수는 “실력(Merit)은 타고난 능력과 노력의 합으로, 실력 위주 사회란 이러한 가정 하에서 본인이 갖춘 실력에 대해 적절한 보상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공부를 잘해 서울대 의대에 진학해 의사가 되면 사회·경제적 성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실력은 부모의 지위, 정보, 재력 등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으므로 순수한 의미에서 실력이라고 하기 어렵다. 학벌에 대한 보상이 과하지 않도록 사회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거슈니 교수가 발표한 한국과 영국 청소년의 시간 사용 비교 연구에 따르면 영국 학생들이 학업에 쏟는 시간은 한국 학생 대비 74% 수준에 불과하다(그래프 참조). 이 차이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더 커진다. 17세 영국 청소년이 하루 6.9시간을 공부와 학교 관련 활동에 사용하는 데 반해, 같은 연령의 한국 청소년은 11.5시간을 사용한다.
하루 4시간 이상 더 공부하는 한국 청소년
연구 결과를 보고 어떤 생각이 들었나.
최근 인기리에 종영된 TV 드라마 ‘SKY 캐슬’은 학생부종합전형 위주 입시 제도의 공정성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사진 제공 · Jtbc]
“한영 청소년 간 시간 사용 차이는 놀라운 수준을 넘어 기괴하다고 느껴질 정도였다. 한국 청소년은 영국뿐 아니라 다른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매우 많은 시간을 학업 활동에 쏟아붓는다. 군비 경쟁처럼 비합리적인 양의 노력을 소요하는 것이다. 물론 한국 청소년은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한다. 그러나 높은 PISA 점수를 획득하는 것이 국가의 경제발전에 얼마나 기여하는가, 과연 그만한 희생을 치를 가치가 있는가, 무엇보다 그렇게 높은 점수를 얻고자 치르는 정신적 비용을 개인과 사회가 과연 감당할 가치가 있는가를 생각해봐야 한다.
청소년기에 학업에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어떤 영향을 미칠까.
“청소년기에 수면시간과 운동, 놀이 등 활동시간이 적은 만큼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인이 된 뒤에도 항상 일 중심으로 사고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교육과 경쟁에 너무 많은 것을 투자해왔기 때문에 출산이나 육아 등을 선택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마이클 영의 소설에서도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중산층 여성들이 출산파업(Birth Strike)을 선언하는 장면이 나온다. 아이를 낳느라 학교와 직업을 포기할 수 없다는 거다.”
최근 한국에서도 그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육아 휴직, 유연한 근무시간 등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는데, 한국처럼 교육에 너무 많이 투자하면 남성과 여성 모두 높은 기회비용 때문에 직장 대신 출산·육아를 선택하기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한국 사회에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공정한 입시 제도를 만드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소수만이 거머쥘 수 있는 학벌 성취에 모두가 자원을 쏟아붓지 않도록 사회적 보상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대학 서열의 다각화(Multidimensional Status Ordering)를 비롯해 사회적 성취에 이를 수 있는 학벌 외의 다양한 길을 만들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다.
전지원 토론토대 글로벌사회정책연구센터 연구원 latermotherhood@gmail.com
<이 기사는 주간동아 1175호에 실렸습니다>
출처 https://goo.gl/qobdmx

2019년 2월 7일 목요일

나미에 켄(浪江虔), 「한국의 마을문고 운동」, 『도서관잡지図書館雜誌』 78권 제3호, 일본도서관협회, 1984년 3월 20일

한국의 마을문고 운동
멋진 문제 해결 방식
 
나미에 켄(浪江虔)
 
도서관잡지図書館雜誌78권 제3, 일본도서관협회, 1984320
번역 원문은 『도서관 그리고 민주주의 図書館そして民主主義―浪江虔論文集』, 
마치다자치연구센터, 1996년, 188~196쪽.

 
머리말
 
한국 농촌 독서운동의 제일인자 엄대섭(嚴大燮) 씨의 후의로, 우리 부부는 작년 9, 여드레 동안 한국여행을 즐겼다. 우리 부부가 외국을 여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어쩌면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것이어서 일정은 대부분 느슨한 관광으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마을문고 운동(マウル文庫運動)에 대해서는 문자 그대로 그 편린을 건드리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래도 나는 홀딱 반해버렸다.
 
전후 짧은 기간 동안 일본의 농촌에서 도서관(圖書館)=부락문고(부라쿠분코 部落文庫) 만들기에 정열을 불태웠던 나로서는 마을문고 운동의 큰 성공은 아주 경이적인 것이었다. 그리고 지금 나는 뜻있는 사람들의 협력을 얻어서 2년 정도 이 운동을 연구하겠다고 마음을 먹고 있다.1) 따라서 여기에 쓰는 것은 영화의 예고편정도에 불과하다.
 
특히 감복했던 것
 
한국에는 35,025개의 마을이 있는데 거의 대부분의 마을에 마을문고가 있다. 본부(本部)2)에서 만든 리플릿(영문)에 따르면, 3분의 1“run successfully”, 3분의 1“in poor operation”이라고 한다. 그것을 조금 에누리해서 20%는 잘 운영되고 50%는 잘 운영되지 않는다고 보아도, 7천 개의 문고가 활동하고 있는 것이다. 인구 4천만 명의 나라에 7천 개의 문고가 활동하고 있는 것이다. 문고(분코 文庫) 운동은 일본이 가장 발전했다고 생각하고 있던 나로서는 엄청난 인식 부족을 느꼈다.
 
그러나 내가 진정 감복한 것은 높은 보급률보다도 실용적이면서도 아주 읽기 쉬운 농업기술서 시리즈의 발행과 이를 모든 문고에 무상으로 배포한 사업에 성공한 점이다. 부락문고 운동이 진정으로 의미 있는 운동이 되려면 농산어촌 주민의 생산 활동에 꼭 필요한 책을 충분하게 공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전쟁이 끝난 직후 일본에서 부락문고 운동을 제창했던 내가 이 운동을 일단 미루고 우선 누구나 알 수 있는 비료 지식 にもわかる肥料知識을 직접 저술하고, 이런 종류의 책을 간행하는 데 전력을 다한 것은 이런 반드시 필요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 일은 주로 농산어촌문화협회(農山漁村文化協會)3)가 추진하고 다른 곳으로도 파급되어 일본 농민이 활용할 수 있는 책의 저작 출판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게 되었지만, 아쉬운 것은 도서관운동(圖書館運動)과 문고운동(文庫運動)의 접촉면이 얼마 되지 않은 점이었다. 그것이 한국의 마을문고 운동에서는 완전히 일체가 되어 있는 것이다.
 
엄 씨의 거대한 족적
 
한국의 마을문고 운동이 이처럼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던 최대의 원인은 낳은 정보다 기르는 정을 지닌 엄 씨의 이다. 은 아주 의미심장한 것으로 상당한 재력, 그리고 그것보다도 자금을 조달하는 능력, 발군의 기획력과 실행력, 언론계·재계·정계 등을 움직이는 설득력 등이 혼연일체가 된 것이다.
 
엄 씨의 도서관운동은 우선 19516월에 고향인 울산에 사립 도서관을 창립하면서 시작된다. 장서 3천 권에 불과한 조촐한 도서관이었지만 한국에서는 최초의 무료 도서관이었다. 엄 씨는 순회문고용 상자를 50개 정도 만들어 요소요소에 자전거로 배포하여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했지만 그것은 성공하지 못했다. “읽게 하고 싶다라는 마음이 너무 강했기에 도리어 잘 되지 않았던 것이리라. 그러나 그는 이 실패에서 아주 귀중한 교훈을 얻어서 이후 마을문고를 성공으로 이끌었던 것이다. 그 교훈은 문고 운영의 핵심인 사람을 중시하는 것이었으며 자주성(自主性) 자발성(自發性)을 존중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그것은 그들의 강력한 원조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었다.
 
울산에서 물러나와 1953년에 경주에 도서관을 열고 그것을 읍립(邑立, 나중에 市立)으로 만들고 스스로 초대 관장을 지낸 10년 동안 그는 두 가지 중요한 일을 실행한다. 하나는 한국도서관협회(韓國圖書館協會)를 결성하고 1955년부터 1961년까지 초대 사무국장 겸 상무이사가 된 일이었다. 이 일은 경주의 관장으로 활동하면서 동시에 이루어진 일이었다. 또 한 가지는 말할 것도 없이 마을문고 운동이다. 마을문고 운동은 1960년에 구상하여 1961년에 시작했는데, 처음 2년간 생겨난 100개의 문고에 대해서는 사재를 털어 책장과 책 수십 권을 제공했다.
 
실은 이 책장이 마을문고 운동의 성공의 열쇠다. 1980년에 간행된 마을문고 운영과 활동 사례에도 상세하게 그 제작 방법이 실려 있는데, 이 자료에 따르면 엄 씨 자신이 고안하고 설계하여 형무소에서 염가로 제작한 책장은 높이 135센티미터, 91센티미터, 깊이 28.5센티미터, 유리창이 달린 문짝, 2개의 서랍이 달려 있는 것으로, 2백 권의 책을 꽂을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소도서관(小圖書館)’이며, 마을문고의 상징이기도 하다. 수천 권의 장서를 갖고 있는 큰 문고로 성장한 곳도 어김없이 이 책장이 한 구석에 놓여 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상당히 많은 문고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지만, 어쨌든 이 책장과 마을문고본부에서 간행하여 무상으로 배포한 아주 실용적인 책 수십 권이 들어가 있다. 그래서 누군가 해보자라는 마음을 일으키면 틀림없이 생기를 띄게 된다.
 
이야기를 다시 돌리면, 1961년에 서둘러 사단법인 마을문고본부를 창립한 엄 씨는 고향에 미니도서관(ミニ圖書館)을 만드십시오라는 민간운동과 자치체에 마을문고를 만들도록 하는 운동을 정력적으로 전개했다. 자치체가 책을 제값에 출판사에서 구입하고, 운송과 배포를 맡도록 하는 묘수를 짜내었다.
 
그러나 엄 씨는, 문고가 과다한 보호에 빠지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지역의 도서 구입 자금을 자주적으로 조달하도록 하는 기운을 북돋는 일에도 강력한 지도력을 발휘하였다.
 
양과 질 모두 급성장
 
국민적 고양의 시기라는 것도 있었을 터이다. 이 운동은 비상한 형세로 퍼져나갔다. 그래서 거의 18년 사이에 거의 모든 마을에 문고가 생기게 되었다.
 
그렇다고는 해도 책은 아주 부족했다. 1977년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 도서관학 교수인 김중한(金重漢) 박사가 고국의 마을문고 운동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보고서4)를 제출했는데(1978), 이에 따르면 35,011개 문고의 장서 총수는 285만 권에 불과했다.
 
이 조사 보고서는 전국에서 204개 문고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장서수를 다섯 단계로 나누어 그 비율을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0~99권까지 49(24%), 100~199권까지 63(31%), 200~299권까지 32(16%), 300~399권까지 18(9%), 400권 이상이 42(20%).
 
이후, 마을문고 장서는 급증했다. 엄 씨 자신이 일본의  독서추진운동読書推進運動(독서추진협의회 기관지) 197911월호(144)한국의 풀뿌리 독서추진운동마을문고 활동의 현상韓國における根読書推進運動マウル(村落)文庫活動現状이라는 글을 발표하는데, 여기에는 평균 110권이라고 쓰여 있다. 총 장서 수는 385만 권 정도가 될 듯하다.
 
그런데 새마을운동본부가 작성한 SEAMAUL IN NEW AGE 1983을 보면 635만 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아마도 1982년의 실정일 터인데, 5년 사이에 250만 권이 늘어난 것이다.
 
이렇게 장서가 급증한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는 정부 당국이 마을문고 운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책(國策)이며 국민운동이기도 한 새마을운동의 하나로 마을문고를 편입하고 1979년을 마을문고의 내실을 다지는 해로 정하여 육성에 힘썼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마을 주민이 자주적으로 마을문고를 충실히 하려고 한 분위기도 만들어진 것도 있고, 마을문고본부의 실용서 출판 배포사업이 궤도에 올랐던 점도 있었다. 이 사업에 대해서는 뒷부분에서 언급하겠다.
 
농촌 마을의 문고를 방문
 
여기서 우리가 방문했던 농촌 마을의 문고 하나를 소개해보자. 경기도 김포군은 서울공항도 있는 곳이고, 남북 경계선에도 접한 곳이기도 한데, 그 중에서 대곶면 대능리(大陵里)의 한 마을, 호수는 30, 주요 작물이 벼와 포도인 함배5)라는 곳의 마을문고가 그것이다. 신축한 지 1, 2년쯤 되었다고 생각되는 대능 5리 마을회관의 왼쪽 3분의 1 정도가 문고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2칸 또는 2칸 반 정도, 어림잡아 10다다미()6) 정도의 넓이다. 삼면의 벽(일부는 창이 있다)에는 중간 정도의 2단 혹은 3단의 철제 서가가 있고, 그 아래는 베니어합판으로 하나하나 칸막이를 친 책상(15)이 있다. 형광등이 달려 있고 바닥은 온돌로 되어 있다. 장서는 1,320, 1983년의 도서 구입비가 90만 원, 그 중에서 60만 원은 지역 주민이 낸 것이고, 강화군이 20만 원, 약방을 운영하는 군() 지부장이 10만 원을 낸 것이라 한다환율을 계산하면 ()은 엔()의 약 3분의 1 정도 되는데, 버스와 지하철을 110원으로 탈 수 있고 B6판의 실용서 등도 수백 원으로 살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놀랄 만한 도서 구입비다. 그래서 아동용 백과사전 전질(8만 원) 같은 것도 갖추고 있다.
 
안내를 맡은 군()의 문고운동 담당자의 이야기에 따르면, 250개 문고 중에서 이 정도의 공간과 장서를 갖춘 것이 22개 있으며, 조금 작지만 상당한 수준이라 할 수 있는 것이 또 22개 있다고 한다.
 
문고 조사를 위한 여정이 아니었기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듯한 사진밖에 찍지 못했는데 이 사진을 보면 서가와 책상의 모습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고 없이 방문한 것이어서, 소년 한 명이 책상을 향하고 있는 채로 찍은 것이다.


*중앙이 엄대섭 씨, 왼쪽 두 사람은 군의 마을문고 담당자, 오른쪽이 나미에 켄과 부인. 
--『도서관 그리고 민주주의図書館そして民主主義―浪江虔論文集』, 마치다자치연구센터, 1996년, 194쪽에서. 

 
본령은 출판 배포 활동
 
마을문고의 전국적인 보급에 성공한 후, 엄 씨가 좋든 싫든 몰두하게 된 것은 진짜 유용한 책을 제공하는 문제였다. 당시 출판 판매되고 있는 책의 대부분이 마을문고를 이용하는 마을 주민에게는 적합한 도서가 아닌 것은 분명했다.
 
이 점에서도 엄 씨는 멋진 아이디어를 만들어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만화와 거기에 덧붙여져 있는 글만 읽어도 일단 이해할 수 있는 만화 농서(マンガ農書)’(앞에서 언급한 독서추진운동에서 엄 씨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단어)의 간행이었다. 전문학자에게 아주 실용적으로 알기 쉬운 원고를 집필하도록 하고, 일류의 만화가에게 책 내용을 잘 파악한 후에 그 핵심을 만화로 그리도록 하여, 엄 씨는 더없이 곤란한 두 가지 과제를 멋지게 해결했다. 마을문고운동본부에서 그림으로 설명된 최신 농업기술, 알기 쉬운”이라는 공통의 형용 어구를 붙인 만화 농사를 계속해서 간행했다.
 
1973년에 벼키우기를 시작으로 한 20, 1974년에  농작물 병충해 예방법 16종, 1975년에  월별 농가 기술 6종, 합계 42종이 나와 있다. 놀랄 만한 스피드인데, 그 중에서 예를 들면 가축의 병 을 보면 본문 173페이지 중에서 만화가 117페이지, 사진이 5장 들어가 있다. 만화의 글은 대부분 회화로 이루어져 있다. 농업 이외의 실용서도 간행하는데생활인의 법률 상식이라는 것도 있다. 시리즈 중에서 두꺼운 것은 본문이 264페이지가 되는데 그 내용에서도 회화가 들어가 있는 만화가 106페이지가 된다.7)
 
1979년의 시점에 마을문고운동본부가 간행하여 전국의 문고에 무상 배포했던 이런 종류의 책은 48120만 권이었다. 이후에도 이 일은 계속해서 이어져서 우리가 방문했던 사무실의 지하에는 천장까지 닿을 정도로 책이 산처럼 쌓여 있었다.
 
이러한 내용의 책을 모든 문고에 배포했던 것이 어떤 효과를 거두었을까 하는 것은 지금부터 우리가 연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지금 단계에서 가볍게 말할 수는 없어도 이 정도로 서민의 생산 활동과 생활 행동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는 도서관운동이 일본에는 없었다고 단언할 수 있을 듯하다.
 
부기: 엄 씨는 마을문고 운동의 공적으로 1980년도에 막사이사이 상을 받았다. (*)

---------------------------------------------------------
1)역주. 나미에 켄은 이 여행 이후, 19846월에 일본도서관협회에 마을문고조사연구임시위원회를 설치하고 198551차 조사단, 198511월2차 조사단을 이끌고 방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고, 1987년에 일본도서관협회 마을문고조사연구임시위원회日本図書館協会マウル文庫調査研究臨時委員会의 이름으로 마을문고조사연구보고서マウル(村落)文庫調査研究報告書를 펴냈다.

2)역주. 나미에 켄은 이 글에서 본부(本部), 사단법인 마을문고본부(社団法人マウル文庫本部), 마을문고운동본부(マウル文庫運動本部)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마을문고 관련 단체의 이름은 새마을문고운동 40년사 1961~2000(새마을문고중앙회, 2001, 편찬위원회 위원장 이용남)에 따르면, 1961.2.11. 농어촌마을문고보급회, 1962.7.11. 마을문고진흥회, 1968.1.15. 마을문고본부, 1982.11.29. 새마을문고중앙회로 그 명칭이 변화해왔다. 나미에 켄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에는 이미 단체 이름이 새마을문고중앙회로 바뀐 이후이나, 나미에 켄은 마을문고본부에 익숙하여 본부라는 단어를 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역주. 農山漁村文化協會(のうさんぎょそんぶんかきょうかい) '농문협'은 1940325일 창립. 나미에 켄은 이 협회의 상무이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341일부터 일반 사단법인체가 되었으며, 지금도 농업 분야의 책과 잡지 등을 출판하고 있다. 참고 http://www.ruralnet.or.jp/

4)역주. 김중한, 마을文庫運營利用者硏究: 풀브라이트-헤이즈 프로그램 硏究報告書, 서울: 마을문고본부, 1978.

5)역주. ハムペ라고 표기되어 있음, 함배(含盃)일 듯

6)역주. 일본에서는 방의 크기를 다다미 장수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데, 1다다미()는 일반적으로 180×90라고 한다

7)역주. 여기서 말하는 책의 제목은 확인이 필요하다. 국회도서관 온라인 검색을 통해 확인해보면, 마을문고본부가 1979년에 간행한 것으로 최병욱이 지은생활인의 법률 상식가정편』 생활인의 법률 상식재산편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이 나미에 켄이 말하는 책일 듯한데, 불분명하다. 또한 월별 농가 기술 가축의 병』 등의 책 제목은 일본어를 번역한 것일 뿐, 정확한 책 제목인지 확인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