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8월 31일 화요일

'독서이력철'과 관련된 중앙일보의 사설

<중앙일보>의 2010년 8월 30일자 기사. 이원진 기자의 보도, '독서이력철 관리 돈 된다, 사교육시장 들썩'라는 기사를 주목한 바 있다. 그런데 2010년 8월 31일, 오늘자 <중앙일보>에는 이와 관련한 사설까지 등장하였다. 사설의 제목은 '독서이력철, 입시용 ‘스펙 쌓기’로 변질되면 곤란' 이 사설도 스크랩해놓는다.

 

학교에서의 독서교육이 입시 공부에 밀려 뒷전 신세를 면치 못하는 형편이다. 이런 풍토를 딛고 독서교육에 새바람을 일으킨 게 부산시교육청이 2004년 도입한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이다. 초·중·고생들이 책을 읽고 독서교육지원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해 책 내용 관련 퀴즈를 풀고 독후감을 올려 누적 관리토록 하는 게 핵심이다. ‘재미있는 책읽기’를 유도하기 위해 독서이력철(履歷綴)을 만들게 한 것이다. 제도 시행 1년 만에 부산 학생 1인당 연평균 대출 도서수가 전국 평균치의 세 배(연간 9.1권)에 달할 정도로 독서량이 비약적으로 늘었다고 한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다음 달부터 이 제도를 전국 학교에 확대 시행키로 한 것은 이런 성과를 감안해서다. 문제는 독서이력철이 입시와 연계돼 또 다른 사교육의 빌미를 제공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독서이력이 대입 입학사정관제 전형 요소로 활용될 것에 대비해 학원에서 독서이력을 관리하고 독후감까지 대필(代筆)해주는 초등학생용 프로그램까지 나왔다는 것이다. 자칫 독서가 또 하나의 입시용 ‘스펙 쌓기’로 전락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은 학생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길러주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운영돼야 한다. 그러려면 입시와의 연계가 제한적이어야 한다. 우선 대입(大入)에서 초·중학교 때 독서이력은 아예 전형 요소로 삼지 않는 게 옳다. 그래야 획일화된 주입식 독서에서 벗어나 스스로 즐기면서 다양한 독서활동을 할 수 있다. 고교 때의 독서이력도 읽은 책의 숫자나 독후감의 양보다는 면접 과정에서 독서를 통해 형성된 학생의 사고를 평가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선에 그쳐 학생 부담이 크지 않도록 해야 한다.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뒤따라야 한다. 낙후지역 학교나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들이 책을 접하는 기회에서부터 뒤처지지 않도록 지원하는 게 우선이다. 교사들이 학교에서 올바른 독서지도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노력도 긴요하다.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은 책을 강제로 읽히는 게 아니라, 책을 읽고 싶도록 동기 부여를 하는 데서 역할을 찾아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