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6월 18일 월요일

DU LIVRE À LA VILLE/ La bibliothèque comme espace public

책에서 도시까지

공공 장소로서의 도서관
저자 : 
ISBN : 978-2-94-0563-21-0
출판 날짜 : 14.11.2017
페이지 수 : 224

Alors que la mort du livre traditionnel ne cesse d’être annoncée, et qu’est partout constatée une baisse générale de la lecture, les bibliothèques demeurent des lieux très fréquentés, voire saturés. Leurs usagers semblent cependant s’intéresser davantage aux espaces mis à disposition qu’aux contenus culturels proposés. C’est ainsi que nombre d’établissements publics mettent désormais en exergue des appellations telles que lieu de vie,troisième lieu, espace pour tous, qui témoignent du besoin de la société contemporaine d’avoir des lieux protégés pour les activités collectives. 전통적인 책의 죽음이 계속 발표되고 모든 곳에서 독서가 쇠퇴하는 것으로 밝혀 지지만 도서관은 여전히 ​​바쁘고 심지어 포화 상태입니다. 그러나 사용자는 제공된 문화 콘텐츠보다 사용 가능한 공간에 더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많은 공공 시설에서는 현재 삶의 장소 , 제3의 공간모두를 위한 공간과 같은 이름이 강조되어 있어 집단 활동을 위한 장소를 보호하는 현대 사회의 필요성을 증언합니다 .
Les bibliothèques publiques vont-elles devenir des musées abritant les restes d’une technologie (le livre) tombée en désuétude ? Se transformeront-elles en server rooms auxquelles on accèdera à distance ? 공공 도서관은 기술의 유물을 담고 있는 박물관이 될 것인가? 원격으로 액세스할 서버실로 바뀔 것인가?
Par un renversement de point de vue, Luigi Failla postule un changement de paradigme qui voit le futur de la bibliothèque publique se dessiner non plus seulement selon une évolution liée aux supports de lecture (la question controversée du livre), mais également à son développement en tant qu’espace public et à la manière dont s’y inscrivent les nouveaux rapports à la connaissance. Luigi Failla는 공공도서관의 미래가 독서 자료와 관련된 진화 (책의 논쟁적인 이슈)에 따라 나타날뿐만 아니라,공공 공간으로서의 발전과 지식에 대한 새로운 관계가 새겨지는 방식으로도 나타날 것이라 말한다. 
Le potentiel de la bibliothèque de consolider le lien entre la ville et l’homme contemporain invalide les fondements des années 1990, basés sur une vision hiérarchique de l’espace, au profit d’une conception vicinale. La définition d’un espace non-hiérarchique apparaît alors comme l’emblème de tout projet architectural.  도시와 현대인 사이의 연결 고리를 통합 할 수 있는 도서관의 가능성은 계층적 시각에 근거한 1990 년대의 기초를 무효화하여 인접 개념을 선호한다. 비계급적 공간의 정의는 건축 프로젝트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도서관 건물에 계속 투자하고 있습니다. 디지털의 출현과 독서의 쇠퇴와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일상 생활에서 문화 콘텐츠뿐만 아니라 즐기는 사용자가 널리 퍼져 있으며 관객이 널리 퍼져있는 곳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최근 업적은 사실, 라이브러리가 더 이상 역사적으로 정의 된 규칙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오히려 오늘날의 전통적인 기능은 다양한 목적, 즉 사회적, 문화적 목적에 부응하는 도구가되었습니다. 사실, 공공 도서관의 진화는 더 이상 독서 지원의 진화와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대도시 구조의 복잡한 체계에서의 역할에 연결되어있다.
공공 도서관의 운명은 무엇이 될 것입니까? 그것은 일종의 박물관이 될 것입니까? 원격으로 액세스 할 수있는 폐쇄 형 서버 룸으로 바뀔까요? 또는 그것은 현대의 대도시에서 공공 공간의 손실에 대응할 수있는 도시 장치로 번역 할 모든 요건을 이미 갖추고 있습니까?
이 책은 전 세계에서 실현 된 여러 도서관의 연구에서 출발하여이 질문에 답하고 건물과 영토 사이의 영구적 인 변증법에 기초한 반영을 제공합니다. 문화 공간과 도시 공간의 관계에 대한 실제적인 부족에 직면 한 Luigi Failla의 저서는 도시 공공 공간으로서의 새로운 도서관의 건축을위한 설계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TABLE DES MATIÈRES

Introduction | 7
UN CHANGEMENT DE PARADIGME | 15
Un saut d’échelle, 20 / Une question de design, 22 / Une nouvelle recherche, 25 / Le livre à l’âge d’Internet, 25 / De l’objet technologique à l’objet de design, 30 / Des nouveaux supports, 32 / Parcours hypertextuels, 33
ESPACE PUBLIC ET OBJETS CONNECTÉS | 37
Un nouveau rapport à l’urbain, 40 / Les nouveaux lieux collectifs urbains, 44 / Ville hypertextuelle, 46 / Condition de mobilité permanente, 48 / Les nouveaux acteurs de la ville, 50 / Espace de mobilité, 51 / Identité et lieu public, 55
NOUVEAU PUBLIC OU NOUVELLES PRATIQUES? | 61
Nouveaux besoins, 65 / Public et territoire, 67 / Identité partagée, 68 / Lieu protégé, 69 / Public de proximité, public et mobilité, 70 / Étudier son public, 73 / La classe moyenne, 74 / Les étudiants, 75 / Petite enfance et jeunesse, 77 / Les adolescents, 79 / Les adultes, 80 / Les personnes âgées, 81 / Catégories sociales faibles, 82 / … et la lecture? 84 / Lecture en mobilité, 85
LES ANNÉES 1980-2000 ET LA CONCEPTION FONCTIONNALISTE | 89
Le troisième intérêt, 91 / Le modèle à trois niveaux, 93 / L’organisation des espaces, 96
VERS UN NOUVEAU MODÈLE? | 101
Un modèle user-oriented, 105 / Le modèle à deux niveaux, 107 / Un espace non-hiérarchique, 117 / Lieu de vie, 119 / Un retour au nomadisme: le paradigme urbain, 121 / Le paradigme urbain
et le modèle à niveau unique, 123 / L’organisation spatiale, 127 / L’organisation open space, 128 / L’espace interne vide à toute hauteur, 132 / Autour d’une cour, 135 / La succession linéaire, 135
QUESTIONS DE COMPOSITION | 139
Principe de forme, 142 / Quelles formes du savoir? 143 / Les bibliothèques à bloc compact, 144 / Les bibliothèques par articulation de volumes, 149 / Les bibliothèques à développement horizontal, 152 / Les bibliothèques à organisation linéaire, 155 / Les bibliothèques hypogées, 157 / Quelles références à l’âge d’Internet, 158 / Le traitement des façades, 160 / Élement exceptionnel, 165 / L’entrée du bâtiment, 167 / Évolution et permanence, 169
LA BIBLIOTHÈQUE ET LA VILLE | 173
Le contexte urbain, 177 / La réhabilitation des bâtiments existants, 180 / Bibliothèques et friches industrielles, 181 / Espaces intégrés, 187 / Bibliothèques, troisièmes lieux, 191 / L’esthétique des lieux de frontière, 192 / Lieux collectifs et identité, 196 / Lieux de proximité, 198 / Le projet culturel, 201
Annexes | 207
Glossaire | 209
Bibliographie | 215
Sources iconographiques | 221
Crédits | 223
소개 | (7)
패러다임의 변화 | (15)
규모의 도약, 20 / 디자인 문제, 22 / 새로운 검색, 25 / 인터넷 시대의 책, 25 / 기술 대상에서 디자인 대상까지, 30 / 뉴 미디어 , 32 / 하이퍼 텍스트 경로, 33
공공 공간 CONNECT E의 S | (37)
도시와의 새로운 관계, 새로운 집단 도시 공간, 44 / Hypertextual city, 46 / 영구 이동성 조건, 48 / 도시의 새로운 배우, 50 / 이동성 공간, 51 / 신원 및 공공 장소, (55)
새로운 공공 또는 새로운 관행? (61)
새로운 요구, 65 / 공공 및 지역, 67 / 공유 정체성, 68 / 보호 장소, 69 / 공공 복지, 공공 이동성 (70) /  É 그의 청중, 73 / 중산층을 공부 (74) / 학생 (75) / 소형 청소년 / 청소년, 77 / 청소년, 79 / 성인, 80 / 노인, 81 / 약한 사회 카테고리, 82 / ... 그리고 독서? 84 / 이동 중에 읽기, 85
ANN ES 1,980에서 2,000 사이와 기능주의 개념 | 89
제 3의 관심사, 91 / 3 수준 모형, 93 / 공간의 조직, 96
새로운 MOD 향하여 E LE? (101)
템플릿의  사용자 중심 , 105 / 두 계층 모델, 107 / A 비 계층 공간, 117 / 가정 생활, 119 / 유목에 반환 : 도시 패러다임, 121 / 도시 패러다임 
및 레벨 모델 123 번의 공간 / 조직 (127) / 조직  개방 공간 (128) / 어떤 높이에서 내부 빈 공간 마당 약 132 / 135 / 직선 연속 135
중요한 질문 | 139
형태의 원리, 142 / 어떤 형태의 지식? 143 / 컴팩트 블록 라이브러리, 144 / 볼륨 링크 라이브러리, 149 / 수평 라이브러리, 152 / 선형 조직 라이브러리, 155 / Hypogean 라이브러리, 157 / 인터넷 시대에 대한 언급 158 / 치료 정면 160 /  É LEMENT 뛰어난 165 / 빌딩 입구 (167) /  E의 소용돌이 구적 169
라이브러리 E THAT 도시 | 173
177 / 기존 건물의 복구, 180 / 도서관 및 산업 폐기물, 181 / 통합 공간, 187 / 도서관,  3 위 , 191 / 국경의 미학, 192 / 집단 장소 및 정체성, 196 / 근접 지역, 198 / 문화 프로젝트, 201
부속서 | 207 
용어집 | 209 
서지 | 215 
도도 소스 | 221 
크레딧 | (223)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