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8월 30일 토요일

디스페이스(DSpace)

디스페이스(DSpace)란 무엇인가. 몇 가지 자료를 찾아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DSpace의 아키텍처 다이아그램,  libraries.mit.edu/.../architecture-diagram.html페이지에서

 

 

 

출처: http://blog.paran.com/kissdino/18369023

 

 

MIT를 비롯한 해외의 여러 대학들은 지속적인 데이터의 손실을 억제하고, 영구적인 연구 업적 저장에 대한 필요와 그 관리를 목적으로 기관차원의 저장 공간을 구축하였다. MIT 도서관은 HP와의 합작으로 DSpace라는 프로그램을 구축하였으며, 이는 2002년 11월 시행에 착수되어 Digital Asset Management 혹은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평가와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MIT 도서관의 DSpace 프로젝트는 2003년 가을까지 총 5000여개의 논문 및 연구 업적이 디지털로 저장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2003년 말까지는 7,500여개의 학위논문이 수록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항상 연구 결과보다 늦어지는 출판업계의 진행상황, 저작권법 등에 입각한 한정된 독자계층에 대한 보완, 영구저작에 대한 필요에 입각하여, open-source system으로 제작되었으며, 각 기관의 연구 업적을 영구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려는 digital archive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NYTimes, 8/3/2003 InDSpace, Ideas are Forever)

 


  - 개발 및 관리: MIT 도서관, Hewlett-Packard Company

 - 소프트웨어: dSpace version 1.1

 

------------------------------------------------

출처: http://news.cnet.com/HP,-MIT-bolster-DSpace-open-source-archives/2100-7344_3-6197345.html

 

Users of DSpace digital-archiving technology will now receive help and support via a not-for-profit organization set up by the creators of the tool,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nd Hewlett-Packard.
 

Announced Wednesday, the DSpace Foundation will provide support to more than 200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that use the open-source online tool to manage their digital document archives, HP and MIT said.

 

The organizations also announced that Michele Kimpton, formerly of the Internet Archive, has been appointed as director of the DSpace Foundation.

 

"The creation of the DSpace Foundation and Michele Kimpton's appointment are important steps in the evolution of DSpace," said Ann Wolpert, MIT's director of libraries. "Together, these actions signal that both the platform and the community have successfully reached the point where an independent organization is needed to direct the project."

 

DSpace was developed in 2002, after MIT concluded that it needed a robust software platform to store its collections and research data, which had previously existed only in hard-copy format.

Essentially, DSpace is a centralized, electronic repository for the massive amounts of intellectual property created by research institutions. The heart of DSpace is an open-source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MIT. (*디스페이스는 본질적으로 연구소가 만들어낸 막대한 양의 지적 재산을 위한 통합적인 전자 저장소이다. MIT에 따르면 디스페이스의 핵심은 오픈소스 저장 및 검색 시스템이다.)

 

 

The importance of open-source approaches to digital archives was highlighted earlier this month, when the United Kingdom's National Archives released a joint press release with Microsoft, hinting that it intended to migrate some of its documents to the software maker's Open XML format.

 

Open-source advocates claim that the Microsoft-championed format is not as open as it should be and doesn't compare well to rival formats such as the community-developed OpenDocument Format (ODF).

 

"If it were, Microsoft wouldn't need to make Novell and Xandros and Linspire sign NDAs (nondisclosure agreements) and then write translators for them," Pamela Jones, an open-source expert and editor of the Groklaw blog, wrote recently.

 

But the National Archives said that it is not wedded to any particular data format and that all technology options are being considered at this time.

 

"For people involved in the debate, it can be a very emotive issue, particularly the opponents of the Microsoft approach. We are neutral--we welcome open-source software because it makes our lives easier," said David Thomas, chief information officer of the National Archives.

 

Andrew Donoghue of ZDNet UK reported from London.

 

 

 

-------------------------------------------------------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468867

 

KAIST 코아사스 구축...교수 논문 '어디서나 열람 가능'

기사입력 2007-06-27 13:49

대덕특구=뉴시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교수들이 학술지나 학회에 발표한 논문을 일반인들에게 무상으로 공개하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코아사스(KOASAS, KAIST Open Access Self-Archiving System)'를 구축하고 서비스에 돌입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구축된 KOASAS는 지난 4월 말부터 약 2개월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완료, 내달 2일부터 홈페이지(http://koasas.kaist.ac.kr)를 통해 본격적으로 서비스되며 국내대학 중 이 시스템을 도입하기는 KAIST가 처음이다.

KOASAS는 연구자가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연구결과물을 직접 학교 정보저장 시스템에 올려 일반인들이 학술정보를 무료로 이용하게 하는 시스템으로 2002년 미국 MIT와 HP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디스페이스(DSpace) 시스템을 KAIST 환경에 맞게 개선한 것이다.

학교 내에서 생산되는 디지털 형식의 연구성과물이 이 개방형 디지털 저장소에 수집, 저장, 배포되며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윤현수 학술정보처장은 "이 시스템 구축으로 연구성과물 관리기능과 성과확산 기능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논문 접근성을 높이면 인용 횟수가 증가하고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세계 대학평가나 신입생 모집 등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양수기자 yskim@newsis.com

관련누리집: http://koasas.kaist.ac.kr/

-------------------------------------

 

관련누리집: http://dspace.org/

http://wiki.dspace.org/index.php/Main_Page

http://www.dspace.org/index.php?option=com_content&task=view&id=596&Itemid=182

 

이 누리집에 정리해 놓은, 각국의 DSpace 활용 현황 가운데 한국의 것으로는 딱 1군데만 보인다.

South Kore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http://dspace.kiep.go.kr:8080/dspace/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