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28일 목요일

‘10만 독서 동아리·150만 독서인구 창출’ 전방위 지원

[문화] 책 읽는 사회 만들자게재 일자 : 2013년 11월 28일(木)
‘10만 독서 동아리·150만 독서인구 창출’ 전방위 지원
(6) 끝. 정부 ‘독서문화진흥 5개년 계획’

문화체육관광부가 최근 발표한 지난 5년간 하루 평균 독서시간은 평일 26분으로 조사됐다. 반면 인터넷은 2.3시간, 스마트폰은 1.6시간이다. 2012년 전국 가구(2인 이상)당 월평균 도서구입비는 2003년 대비 28% 감소한 1만9026원. 피자 한 판 값에도 못 미치는 액수다. 성인 연간 독서율(지난 1년간 책 한 권 이상 읽은 사람의 비율)은 어떤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연간 독서율은 2011년 66.8%였다. 이는 1994년 86.8%였던 데 비해 20%포인트나 줄어든 수치다. 독서·출판 생태계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암울한 지표는 이 밖에도 많다.

이런 가운데 문체부가 최근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2014∼2018)을 내놨다. ‘독서문화진흥법’에 의해 5년마다 수립되는 독서문화진흥 중장기 계획으로, 2009∼2013년에 이은 2차 계획이다. 문체부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문화융성’의 기반정책으로 독서진흥 및 인문정신 확산을 위한 4대 추진 전략을 제시했다. ▲지역 독서공동체 조성 등 ‘사회적 독서진흥기반 조성’ ▲생애주기별 독서활동 지원 등 ‘생활 속 독서문화 정착’ ▲다양한 매체를 통한 국민독서 참여 확산 등 ‘책 읽는 즐거움의 확산’ ▲병영·교정 시설 독서활동 지원 등 ‘함께하는 독서복지 구현’ 등이 그것이다. 

◆‘10만 독서동아리, 150만 독서인구’ 창출 = 이번 계획에 따르면 정부의 독서문화 진흥정책을 종합·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조정기구로 ‘독서진흥위원회’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독서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를 구성·운영해 전국·지역 단위의 ‘독서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도서수요 확대를 통한 출판산업 지원 및 국민독서율 제고를 위해 도서구입비 세제 감면 혜택을 주고 지방자치단체 독서진흥지수 도입, 국가산업단지 내 독서문화 환경 조성, 소형출판사 출판 지원 등을 추진한다. 

성인 연간 독서율을 2018년까지 80% 이상 높이기로 하고, 독서 동아리 등 자발적인 독서활동 지원을 통해 현재 1만 개인 독서동아리를 2018년까지 ‘10만 독서동아리, 150만 독서인구’가 창출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독서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정보를 한 번(one-stop)에 제공하기 위해 ‘국가 독서정보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영역별, 대상별, 주제별 맞춤형 온라인 독서교육도 확대할 계획이다. 

지역의 풀뿌리 독서운동 전개를 위해 ‘지역별 대표 독서프로그램 지원’도 확대한다. 지자체와 출판, 도서관, 독서 관련 단체가 참여하는 ‘독서 박람회’의 지역별 순회 개최도 눈에 띈다. 아울러 전국 공공도서관과 지역 문화 공간 등에서 독서멘토 역할을 하는 ‘문학작가 파견’ 사업도 늘리기로 했다. 

TV 방송의 독서프로그램 시간 확보(전체 방송시간의 1%)를 위해 관련법 개정을 관계 부처와 협의·추진하는 내용도 계획에 포함됐다. 관공서 및 기업의 각종 기념일에 책을 선물하는 ‘책으로 선물하기’ 사업도 펼친다. 다문화 가정의 독서접근성 확대를 위한 ‘다언어 대역도서’ 출판과 보급을 지원하는 한편, 노인 복지관 등 노인들의 복지시설에 ‘시니어 도서관’을 설치하고 ‘도서관 시설 환경개선’과 ‘도서배달서비스’ 등 장애인 대상 서비스를 강화한다. 군대 내 ‘병영독서 특화부대’도 확대한다. 아울러 ‘병영도서관 시설’과 ‘진중문고 장서’ 확충, ‘독서 멘토’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한다. 교도소, 구치소, 소년원에 우수도서를 지원하고, 수용자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늘리기로 했다.

◆“휴먼웨어 확충-전담조직 절실” = 정부의 이 같은 계획에 대해 관계 전문가들은 어떻게 평가할까. 계획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다. 안찬수 책읽는 사회문화재단 사무처장은 “정부가 1차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자체 평가한 뒤 관련 단체의 목소리를 담아서 큰 그림을 그린 것이다”며 “독서진흥을 위해 나름대로 의미있는 계획을 내놓았다”고 평가했다. 

백원근 한국출판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생애주기별 독서 프로그램 등 1차계획에 비해 내용이 진전됐다”며 특히 중앙 정부 중심의 정책에서 지역에서의 독서 환경 조성 등 지자체에 무게 중심이 쏠리게 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인력 확충과 계획 실행의 ‘동력’ 부분에 있어서는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안 처장은 “독서진흥을 위한 아이디어는 다 나왔다”며 “구체적으로 그 아이디어를 펼칠 사람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절실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도서관 같은 하드웨어는 돈이 많이 들어가지만 눈에 보인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 부분은 눈에 안보이지만 돈이 많이 들지 않는다. 문제는 ‘휴먼웨어’ 부분이다. 도서관의 사서, 독서 활동가, 독서동아리 지도자 등 휴먼웨어는 돈은 많이 들어가는 데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사람에 대한 투자가 부족하다. 지난 10년간 공공도서관은 두 배로 늘었지만 인력은 확충되지 않고 있다.”

백 책임연구원은 “발표 때만 반짝 관심을 가질 게 아니라 실행이 중요하다”며 “정책 추진의 안정성을 위해 독서전담 행정직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독서 확산의 효과와 순기능을 감안하면 독서진흥 정책을 조율하고, 전담해서 추진하는 조직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그는 “전담 조직과 인력확충 등을 통해 계획 추진의 동력이 뒷받침됐을 때, 정부가 추구하는 ‘책으로 여는 행복한 대한민국’도 이룰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김도연 기자 kdychi@munhwa.com

출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