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월 18일 수요일

'나꼼수'를 통해본 한국의 언론 자유와 비판문화

2012년 1월 16일 07시 51분에 이코노미스트 지 인터넷판에 올라온 기사, Satire in South Korea-Sneaky tricksters, unite!

ACCORDING to our sister organisation,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South Korea ranks as the world’s 22nd strongest democracy, and as the second strongest in Asia. Its mainstream media, however, is a weak link. An American think-tank, Freedom House, labels the South Korean press only “partly free”, as a result of what it calls “an increase in official censorship” and “government attempts to influence news and information content”.

Journalists themselves worry. A Journalists’ Association of Korea survey conducted in 2010 showed that the top concern of people who work in the media is the “contraction of press freedom”. So-called nakhasan (parachute) appointments of government loyalists into major media outlets have contributed to the impression that newspapers and television news programmes cannot be relied on to hold to account the powers that be.

It is in this environment that one band of rebel podcasters has flourished. The satirical “Naneun Ggomsuda” (roughly, “I’m a sneaky trickster”) reaches an audience of around 10m per episode, according to its founder, Kim Ou-joon (pictured above, second from the right). This would make it the most popular podcast in the world.

The fact that the express purpose of Naneun Ggomsuda (or “Naggomsu” for short) is to pour scorn on a government that Mr Kim openly regards as “greedy” and “suspicious” has raised the hackles of its targets. One regular member of the show, Jeong Bong-ju, a former politician, was recently sentenced to a year in prison for “spreading false information” about the centre-right president, Lee Myung-bak—in contravention of election and defamation laws. Other lawsuits are said to be in the works.

Naggomsu’s case has shed light on South Korea’s unusually strict treatment of its citizens who publicly criticise others. It’s bad enough that one can be sent to jail for it. One can even be judged to have defamed someone when the allegation in question is true. Making a martyr of Mr Jeong though looks to have been an own goal for the government. “It was very stupid to jail him”, according to Mr Kim, because “it is stirring people’s willingness to vote”.

Mr Kim intends to keep his podcast running until South Korea has a new president. Official opposition seems only to encourage him: when asked how he responds to being labelled “dangerous” by a supporter of the government, he smiles broadly and says simply, “I’m very thankful.”


‘나는 꼼수다’가 해외언론에 잇달아 소개되며 한국정치와 언론현실에 대한 이해의 창(窓)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나꼼수’는 지난해 일본 아사히신문 10월 25일자에 ‘내년말 대통령 선거에 영향을 미칠 서울시장 선거전이 뜨거운 상황에서 한국의 인터넷 라디오 토크프로그램이 젊은층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고 있다’는 기사로 등장한 이래, 뉴욕타임즈 11월 1일자 온라인판에는 ‘풍자를 통해 젊은이들의 분노를 대변하는 토크쇼’라는 제목으로, 이번에는 영국의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 16일자 온라인판이 ‘나꼼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소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기사에서 ‘한국은 민주주의 등급 22위이자 아시아 2위인 민주국가이지만 주류언론은 그렇지 못하다. 이는 미국 프리덤하우스 언론자유도에서 부분적 자유국으로 분류되는 것이며 이는 정부가 뉴스정보를 검열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하여 ‘나꼼수’등장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주류언론은 정부의 낙하산 인사들이 임명됨으로서 권력 견제 기능이 부재하게 됐으며 이러한 환경이 반정부적인 팟캐스터들을 등장하게 만든 계기’라고 소개하고' ‘나꼼수’가 공개적으로 정부를 비판하는 것 때문에 비판의 대상(가카)이 곤두섰으며 결국 '나꼼수'의 멤버이자 전직 국회의원 정봉주가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 받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나꼼수의 사례를 봤을 때 타인에 대한 공개적 비판이 민감한 것은 한국의 특성으로 한국에서는 타인에 대한 비판 때문에 감옥에 갈수 있으며, 비판이 사실일지라도 명예훼손이 된다’고 한국의 비판문화를 소개했다. 또한  ‘정봉주를 순교자로 만드는 것은 현 정권이 나꼼수의 목적을 이루게 만드는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정봉주를 가둔 것은 매우 어리석은 짓이다. 왜냐하면 (정봉주를 가둔 것 때문에) 분노한 사람들을 기꺼이 투표에 참여하게 만들기 때문이다”라는 김어준의 말을 소개했다.
 
한편 이코노미스트지는 정권의 반격은 김어준에게 용기만 북돋을 뿐이라며 “정부쪽 인사들이 김어준을 위험인물로 낙인한 것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고 김어준에게 물었을 때 김어준이 “매우 감사하다”고 답변한 것으로 기사를 마무리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