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눈으로 본 전쟁 Війна очима тварин
안찬수의 더 느린질주
2025년 7월 13일 일요일
동물의 눈으로 본 전쟁 Війна очима тварин
2025년 7월 10일 목요일
어린이도서관배 책의숲호 こども図書館船 ほんのもり号
어린이도서관배 책의숲호
책을 가득 실은 배가 섬과 섬 사이를 다니며 섬의 어린이들에게 꿈을 심어줄 수 있다면! 이런 꿈을 오래 전부터 품어 왔습니다. 그런데 이런 꿈을 실현한 사람이 있군요.
건축가 안도 다다오(安藤忠雄) 씨가 일본 각지에 어린이도서관을 건립하여 기증하는 사업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사카의 중심에 위치한 어린이책의숲 나카노시마(こども本の森_中之島, 2020년 7월 개관)나, 고베의 산노미야 히가시 유원지에 위치한 어린이책의숲 고베(こども本の森 神戸, 2021년 개관) 등등.
이런 ‘어린이도서관 책의숲’ 프로젝트는 계속 이어져 올해에는 ‘어린이도서관배 책의숲호’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어린이도서관배 책의숲호’(こども図書館船 ほんのもり号)는 19톤의 작은 배를 어린이도서관배로 개조한 것입니다. 배 안에 그림책을 비롯한 어린이책을 2천 권의 책을 싣고, 2025년 4월 일본의 혼슈와 시코쿠 사이의 내해인 세토나이카이(瀬戸内海)를 운행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https://www.honnomori-gou.com/
https://www.youtube.com/@%E3%81%BB%E3%82%93%E3%81%AE%E3%82%82%E3%82%8A%E5%8F%B7
2025년 7월 3일 목요일
트럼프 행정부는 도서금지나 작가와의 만남 등 우리의 읽기 방식을 바꿀지 모릅니다
책을 검열하는 것은 상상력, 호기심, 연결, 공감, 영감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도서관은 단지 서가가 있는 건물이 아닙니다. 신호등입니다. 도서관은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합니다. 도서관은 가능성의 피난처입니다. 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심장박동입니다. -사라 제시카 파커(Sarah Jessica Parker, 2025년 PEN아메리카 리터러리 갈라, 배우이자 텔레비전 프로듀서)
2025년 6월 26일 목요일
마을 전체를 도서관으로 (まちじゅう図書館プロジェクト)
마을 전체를 도서관으로
(まちじゅう図書館プロジェクト)
인구 약 7800명. 1년 예산 약 570억 원. 일본 가가와현(香川県) 고토히라초(琴平町)에는 공공도서관이 없다. (일본정부의 사회교육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공공도서관은 시와 구에는 99.1%, 초町에는 64.9%, 무라村에는 29%가 설치되어 있어, 도시 지역과 농산어촌 지역 간 차이가 크다, www.e-stat.go.jp 참조)
이런 상황 속에서 2017년부터 마을 주민들은 공공도서관 건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열악한 예산 사정 때문에 지역 교육위원회는 중학교 건물의 지진 대응이나 초등학교와 유치원 통합 등을 우선순위로 삼았다. 2019년부터 인근한 4개 도시와 초의 공공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회원카드가 발급되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고자 시마다 다카코(嶋田貴子) 씨 등이 중심이 되어 ‘마을 전체를 도서관으로’이라는 프로젝트가 전개되었다.(https://www.sankei.com/article/20250131-I3DQJ6JSJBNUFGK5LL5S7OA4QA/ 참조)
카페와 은행, 병원과 사찰 등에 각기 특색 있는 서가를 설치함으로써 마을 전체를 도서관으로 만들자는 운동이다. 이런 ‘작은도서관’(小さな図書館)이 현재(2025년 6월 26일) 모두 35개가 설치되었다. 이 운동은 세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책과 사람이 연결되는 곳, 사람과 만남으로써 향토와 문화가 계승되는 곳, 공공도서관 건립의 기운을 북돋는 것.(https://kotohira-machitosho.com/)
2025년 6월 17일 화요일
도서관의 영향력 나침반 모델 (Impact Compass Model)
2025년 6월 10일 EURead의 컨퍼런스에서 센토빕(sentobib)의 프란시스 드 보네르(Francis De Bonnaire) 연구원은 도서관의 영향력 나침반 모델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도서관의 영향력 나침반 모델(Impact Compass Model)은 도서관이 시민에게 미치는 교육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측정하여 도서관의 가치를 시각화하려 한 것입니다. 이는 도서관의 내부 전략을 뒷받침할 뿐만 아니라, 정책 입안자와 자금 제공자에게 지역사회 내 도서관의 중요성을 설득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모델은 2019년 영국의 예술인문연구위원회(Art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가 시작한 대규모 연구인 '문화적 가치 프로젝트(The Cultural Value Project, 예술과 문화의 가치 이해)'를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문화가 어떻게 영향력과 가치로 전환되는지, 그리고 문화 기관의 구체적인 영향력과 가치를 경험적 및 분석적 방법을 통해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것인데, 덴마크의 로스 킬레에서 도서관 분야에 맞춰 개선되었습니다. sentobib의 연구(https://www.sentobib.be/)는 VVBAD, 앤트워프대학교, EBLIDA , 그리고 Cultuurconnect의 지원을 받아 플랑드르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스페인, 이탈리아, 네덜란드의 공공 도서관에 동시에 제공되었습니다.
감정적, 지적, 사회적, 창조적 효과
https://www.sentobib.be/_files/ugd/1424c9_01d8b3cacf034d4996355bdf95c9f6e2.pdf
북스타트의 글로벌네트워크
'북스타트(Bookstart)'는 아기와 양육자에게 그림책을 선물하는 활동(Bookgifting Program)입니다. 2018년에는 각국의 북스타트 활동 단체를 연결하는 국제 네트워크(Global Network for Early Years Bookgifting, GNEYB, 이하 글로벌네트워크)가 ‘EURead’ 내에 발족했습니다. EURead는 유럽의 독서문화 진흥 추진 단체의 공동사업체로서 올해로 창립 25주년을 맞이한 단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