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도 새로운 일상이 올까: 코로나 시대 연극(김소연/ 연극평론가, 서울문화재단 웹진)
-전염병이 돌자 극장이 문을 닫았다. 사람들이 오지 않아서가 아니다. 극장에 올까봐, 오지 말라고, 극장이 먼저 문을 닫았다. 극장에 바이러스가 출현한 것도 아니고, 극장에서 감염이 시작된 것도 아니다. 전염의 위험을 차단하기 위해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피하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모든 극장이 문을 닫은 것은 아니다. 국립극장, 국립극단, 남산예술센터 등등 제작 중심 국공립극장들이 먼저 문을 닫았다. 국공립예술단체들의 공연도 일률적으로 취소되었다. 대관을 운영하는 공공극장들은, 취소나 공연기간 혹은 회차 단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문을 닫지는 않았다.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등 많은 공연들이 취소되었지만 공연이 오르기도 한다.
-공연은 관객을 앞에 두고 상연될 때 비로소 완성된다. 10회 미만의 작은 공연이라도 준비 기간이 있다. 공연을 중단하거나 취소하면 그 준비 기간도 무너진다.
-극장도 그렇다. 전염병 위기 상황에서 국가는 극장을 감염의 위험이 높은 다중 이용시설로 분류하고 폐쇄했다. 그러한 결정과 실천에서 우리가 극장을 두고 논쟁했던 수많은 의미들은 고려되지 않는다.
-공연을 취소해야 할지, 진행해야 할지, 진행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왜 위험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극장을 열고 공연을 올려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설득해야만 한다. 혹은 공연을 취소하고 극장 문을 닫더라도 공연예술가로서의 삶을 어떻게 지속해야 할지, 혹은 포기해야 할지 판단하고 선택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을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선택하고 책임져야 한다. 전염병은 이처럼 모든 것을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민간제작의 고립된 현실을 보여준다.
-지금 공연예술계의 코로나19 피해에 사회적으로 주목하고 피해대책이 발표되고 있지만, 피해 상황에 대한 파악은 물론 어떤 피해에 대해 공적 재원이 어떻게 개입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갈팡질팡이다.
-급박한 상황에 대한 대처도 필요하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주기적인 전염병 또한 대비해야 한다. 그러한 복잡한 현실 속에서 극장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http://webzine.e-stc.or.kr/01_guide/diary_view.asp?SearchKey=&SearchValue=&rd=&flag=READ&Idx=1519
댓글 없음:
댓글 쓰기